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6

요통(腰痛)에 좋은 방법 없을까?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십종요통(十種腰痛)’이라 하여 요통(腰痛)을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즉 허리부터 다리까지 당기며 아픈 것은 풍요통(風腰痛), 허리가 아프며 냉할 때는 한요통(寒腰痛), 비생리적 체액이 원인이면 담음요통(痰飮腰痛), 과음 과식 후의 성생활로 오는 식적요통(食積腰痛), 삔 것은 좌섬요통(挫閃腰痛)이라 했다.  특히 삔 허리를 서양에선 ‘마녀의 일격’이라 하는데, 순간적인 격한 통증을 호소한다.  또 탁한 혈액이 뭉쳐 아픈 것은 어혈요통(瘀血腰痛), 습기에 손상되면 습요통(濕腰痛),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은 것이 원인이면 습열요통(濕熱腰痛), 스트레스성은 기요통(氣腰痛)이라 했다.  그리고 성기능 저하를 수반하며 아픈 것은 신허요통(腎虛腰痛)이라 했다.  신허요통(腎虛腰痛)일 경.. 2024. 8. 5.
변형성 슬관절증(膝關節症)일 때는 무릎은 대퇴골(大腿骨), 경골(脛骨), 비골(腓骨), 슬개골(膝蓋骨)로 관절을 이루고 있으며, 관절 면엔 아주 얇고 탄력이 풍부한 연골(軟骨)이 있다.  그런데 혈액(血液)과 임파(淋巴) 공급이 없어 오직 탄력만으로 노폐물을 관절액(關節液) 안으로 밀어내고 영양소를 받아들이므로 나이와 함께 연골(軟骨)도 노화(老化)되어 단단해지고 탄력을 잃어 변형(變形)이나 염증(炎症), 통증(痛症)이 생긴다.  이것이 변형성 슬관절증이며, 무릎 통증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변형(變形)은 연골(軟骨)의 탄력 상실과 마모로 촉진되며, 뼈의 이상증식으로 가시돌기가 나고, 벗겨진 연골(軟骨)이 관절 사이에 끼어 움직임을 방해하며 결국 O자형 다리를 만든다.  염증(炎症)은 연골(軟骨) 마모에 의한 화학자극과 뼈가 서로 부.. 2024. 8. 4.
관절염(關節炎)에는 찜질이 좋다. 관절(關節)이 붓고, 열(熱)이 나며, 벌겋게 성나고, 아픈 것이 관절염(關節炎)의 4대 증상인데, 때로는 관절(關節)이 변형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또한 관절염(關節炎)에는 골성(骨性), 활막성(滑膜性), 범발성(凡發性), 관절변성(關節變性) 관절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골성 관절염이나 활막성 관절염은 관절 어느 부위에 염증(炎症)이 생긴 것이며, 범발성 관절염은 여기저기 온 관절에 두루 나타난 관절염을 말하며, 관절변성 관절염은 관절이 이미 변형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따라서 우선 자신이 고통 받고 있는 관절염이 어떤 종류인가를 정확히 진단 받고 무조건 휴식을 취한다.  그리고 통증이 가라앉으면 관절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병세가 심할 때는 기거(起居)동작이 어려우므로 이것을 해소하는 훈련도 .. 2024. 8. 3.
무릎 통증, 이렇게 하면 말짱해진다 무릎 통증이 있을 때에는 온습포를 하면 좋다.  그러나 무릎에 열이 나며 빨갛게 붓고 아플 때는 하면 안 된다.  이럴 경우에는 약쑥으로 데지 않을 정도로 뜨겁게 무릎 관절(膝關節) 주위에 있는 함몰 부위를 뜸뜬다.  무릎 통증은 무릎 안쪽에 많이 나타나고 계단을 내려갈 때 심하다.  그런데 무릎 바깥에 통증이 있으면 계단을 올라갈 때 심하다.  이때에는 발바닥을 뜨겁게 하고 무릎 주위, 오금 주위, 복사뼈 주위, 장단지에 방향성 진통소염제를 바른다.  또는 용뇌(龍腦)와 홍화(紅花) 각 10g에 소주 1병 분량을 붓고 숙성시킨 것을 바르고 마사지한다.  이와 더불어 모과(木瓜)를 설탕과 켜켜이 재웠다가 차(茶)로 마시거나 모과(木瓜), 우슬(牛膝), 패장초(敗醬草)를 끓여 복용한다.  지압으로도 무릎 .. 2024. 8. 2.
목에서 어깨까지 다 아플 때는 중년 남녀, 특히 중년 여성은 목에서 어깨까지 무겁고 아플 때가 많다.  이런 증상은 봄, 여름보다는 가을, 겨울에 더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리하게 일을 해서 근육(筋肉)이 뭉쳐 일어날 수도 있지만 목뼈의 이상이나 어깨 자체의 이상에 의해서도 온다.  또는 고혈압(高血壓)이나 저혈압(低血壓)일 때,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이나 빈혈(貧血)일 때, 심장질환(心臟疾患)이나 당뇨병(糖尿病), 비타민 결핍일 때도 올 수 있으므로 우선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 진단 결과를 확실히 해둘 필요가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흉곽출구증후군’이라는 것이 있다.  갈비뼈와 빗장뼈 사이의 좁은 통로를 통하여 동맥(動脈)과 정맥(靜脈)이 드나들며 목의 척수(脊髓)에서 나온 신경다발도 이 통로를 통하여 팔로 나오.. 2024. 8. 1.
전립선(前立腺)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전립선(前立腺)은 요도(尿道)를 감싸고 있기에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배뇨장애(排尿障碍)가 와서 소변(小便)이 잦고, 소변(小便)을 보아도 잘 안 나오며, 소변(小便) 줄기가 가늘고, 배뇨력(排尿力)이 떨어진다.  또한 뒤끝도 개운치 않고, 회음부(會陰部)에 불쾌감이나 압박감이 오며 야간 빈뇨(頻尿)가 있다.  배뇨(排尿)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며, 잔뇨감(殘尿感)이 있고, 실제로 잔뇨량(殘尿量)이 증가해서 방광(膀胱)이 확장되며 끝내는 방광(膀胱)이 수축력을 잃게 되어 소변실금(小便失禁)을 일으킨다.  이러한 전립선(前立腺) 이상에는 전립선비대증(前立腺肥大症), 전립선염(前立腺炎), 전립선암(前立腺癌)이 있는데, 이들을 한데 묶어서 ‘전립선증(前立腺症)’이라고 한다.  이 질환은 정도에 따라 가급적 전문의의.. 2024. 7. 31.
치매(癡呆)를 예방하려면 치매(癡呆)는 항문기(肛門期) 성격이 뚜렷할 때 많이 온다.  이 성격은 강박적 성격이요, 만사 철저히 처리하거나 완벽하게 정리하지 못하면 참지 못하는 성격이다.  또한 외골수 성격이요, 사랑에 굶주리고 옹고집에 자기주장이 강한 성격이요, 병적이리만큼 도덕관념이 투철한 성격이다.  따라서 치매(癡呆)를 예방하려면 존경만 받으려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을 존경할 줄 알아야 하며, 관심과 사랑만 받으려 하지 말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사랑을 베풀 줄 알아야 한다.  또한 내 말보다는 다른 사람의 말을 인내하며 듣고 화제를 끌어내 대화할 줄 알고, 철저히 정리 못하고 완벽히 처리를 못해도 편안해질 여유가 필요하다.  아울러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은 변화시킬 수 없다는 인식과 마음의 평정도 필요하며, 자기주장만.. 2024. 7. 30.
치매(癡呆), 막을 수 있다. 치매(癡呆)를 예방하려면 뇌(腦)의 효소를 만드는 지방과 단백질, 뇌(腦)의 에너지원인 포도당과 포도당 생성을 촉진하는 비타민-B1이 필요하다.  따라서 치매(癡呆) 예방에는 포도나 양파가 좋다.  그리고 레시틴이 풍부한 계란 노른자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리놀산은 산화되기 쉽고 과산화지질을 형성해 치매(癡呆)를 일으키는데 관여하므로 항지질 작용을 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비타민-E가 풍부한 견과류를 많이 섭취한다.  특히 호두와 잣이 좋은데, 이들은 일찍이 항노화식품, 건뇌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리포프스틴은 단백질과 결합했을 때 ‘몸의 녹’인 찌꺼기를 만들게 되며, 이 녹에 의해 노화(老化)가 촉진되고 질병(疾病)을 이겨내지 못해 치매(癡呆)가 일어날 수 있다.  비타민-E는 이 녹을 방지하는 역.. 2024. 7. 29.
치매(癡呆)는 왜 걸릴까? 여자는 7의 배수, 남자는 8의 배수로 성장(成長)하고 노화(老化)한다.  그러니까 여자는 14세에 초경(初經)이 있고, 49세에 폐경(閉經)이 되며, 56세에 노화(老化)가 심화된다.  남자는 8세에 사내티를 내고, 24세에 활기찬 청년이 되며, 64세에 노화(老化)가 심화된다.  이러한 노화(老化)과정을 거치며 피부(皮膚)가 탄력을 잃고, 근력(筋力)이 떨어지고, 혈관(血管)이 굳어져 피순환이 안 된다.  그래서 뇌혈관(腦血管) 장애를 일으키고, 이런 장애가 2~3년 계속되면 치매(癡呆)가 되는 것이다.  치매(癡呆) 중에서도 ‘알츠하이머 치매(癡呆)’는 대뇌(大腦)가 위축되어 오는 것으로, 기억이 망각의 늪으로 빠지고 말도 잊고 기동도 못해 걸음을 떼지 못하며, 태아(胎兒)처럼 웅크린 자세로 누워 .. 2024. 7. 28.
늙지 않는 식품이 있다면? 중국의 유명한 성고전 소녀경(素女經)에서 황제에게 섹스의 기법을 가르쳐 준 전설적인 여인, 소녀(素女)는 무청을 먹고 백살 넘게 살았다고 한다.  이처럼 무청은 불로강정(不老强精)의 식품이다.  또한 호박은 노화(老化)물질을 무해물질로 바꿔주기 때문에 장수(長壽)식품으로 꼽히며, 당근은 노화(老化) 촉진 물질을 해독시키고 만병을 고치는 영양식품이다.  그리고 사과는 ‘영원한 청춘’을 누릴 수 있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복숭아는 동방삭과 손오공이 먹고 장수했다는 불로(不老)식품으로 유명하다.  동방삭은 한나라 무제 때 삼천갑자를 누렸다는 사람이다.  그리고 살구는 항노화, 항병 작용이 강하고 항암 성분도 갖고 있어서 “살구꽃 피는 마을에는 전염병이 없다.”는 말이 전해져 올 정도이.. 2024. 7. 27.
인삼(人蔘)으로 체력을 보강한다. 인삼(人蔘) 한 가지만 끓여 마시면 약효가 강하므로 다른 약재가 식품과 배합해 복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인삼(人蔘)과 음양곽(淫羊藿)을 배합하면 성기능 쇠약이나 갱년기 장애에 효과적이다.  이것을 여러 동물에게 실험해 보니 거세한 수탉의 벼슬이 자랐고, 개의 고환이 커지며 정자수가 늘어났다고 한다.  또 암쥐의 젖꼭지가 핑크색을 띠고 난소(卵巢)와 자궁(子宮)의 무게가 늘어났다고 한다.  복용법은 인삼(人蔘) 6g을 끓인 물에 음양곽(淫羊藿) 12g을 넣어 10분 동안 우러낸 뒤 하룻동안 분복하면 된다.  또한 인삼(人蔘)과 오미자(五味子) 각 4g에 맥문동(麥門冬) 8g을 배합하면 간장(肝臟)과 심장(心臟)기능 강화에 좋다.  인삼(人蔘) 6g을 꿀물에 적시고 볶은 황기(黃芪) 12g을 배합해.. 2024. 7. 26.
스태미나 강화운동 종아리 중간쯤에 ‘ㅅ’자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는데, 이 부위가 항상 뻣뻣하면 하반신 노화(老化)의 적신호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신권태(全身倦怠) 증상이 오고, 등 근육이 경직되며, 스태미나도 형편없이 떨어진다.  이럴 때에는 양쪽 발의 발가락에 힘주고 발뒷꿈치를 들어 몸을 곧추 세운 다음 몸을 위아래로 유연하게 흔들어 주는 운동을 자주 한다.  그런 후 몸을 이완시키고 종아리 중간쯤에 ‘ㅅ’자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을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꼭꼭 누른다.  옆구리가 튀어나오고 배가 나온 사람치고 정력(精力) 좋은 사람은 없다고 한다.  “차라리 뚱뚱한 것이 좋지, 옆구리 나온 것은 만병의 징조이다.”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이다.  옆구리와 배가 튀어나온 것을 없애고, 스태미나를 강.. 2024. 7. 25.
스태미나 강화식품 삶은 호두와 대추를 믹서로 갈아 찹쌀가루와 함께 죽을 쒀 먹어보자.  이 죽은 소금에 간을 맞춰 먹으면 되는데, 신경(神經)을 안정시키고 원기(元氣)를 돋우며 기력(氣力)을 강화시켜 준다.  그리고 피부미용(皮膚美容), 변비(便祕), 불면(不眠) 등에도 좋다.  아니면 구기자(枸杞子)와 숙지황(熟地黃)을 청주에 고루 적셔 찐 후 건더기는 버리고 약물만 다시 고아 조청을 만들어 보자.  이것은 2~3g씩 뜨거운 물에 풀고 설탕으로 맛을 내어 마시는데, 보혈(補血)과 강정(强精)작용이 뛰어나고 간세포(肝細胞) 신생을 촉진하며 신허(腎虛)를 개선한다.  신허(腎虛)는 허리와 다리가 새큰하고 힘이 없으며 정력(精力)이 약해지고 잔기침이 잦은 병증이다.  엉겅퀴차는 ‘마시는 정력제(精力劑)’라고 할 만큼 정력(精.. 2024. 7. 24.
장어와 청어는 자양강장(滋養强壯) 식품이다. 장어구이는 산 장어를 포 떠서 칼끝으로 자근자근 두들긴 후 굽고, 양념장을 발라 다시 한 번 구워서 먹는다.  양념장은 보통 생강즙, 설탕, 청주, 간장, 다진 마늘, 깨소금, 후추, 참기름, 물 등을 넣어 살짝 끓여 걸쭉하게 만든다.  여기에 사인(砂仁)을 볶아 가루 낸 것을 섞으면 향기도 좋아지고 약효도 더 뚜렷해진다.  그리고 인삼(人蔘) 생즙을 양념장에 넣으면 쌉쌀한 맛과 향이 나고 스태미나를 보강한다.  장어는 수척하게 야윈 몸을 보강하는 자양강장(滋養强壯)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 노체(勞瘵)라 불리는 만성 소모성 질환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노체(勞瘵)일 경우 마른기침이 나고 미열(微熱)이 있으며, 얼굴과 열이 확 오르다가 언제 열이 난다 싶게 삽시간에 열이 내리며, 오슬오슬 추워지기도.. 2024. 7. 23.
여름철 피부 트러블은 이렇게 무성하게 자란 풀이나 극성을 부리는 벌레, 우글거리는 세균, 땀과 함께 분비되는 기름덩어리, 장마에 의한 습기,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 정말 여름은 피부 트러블의 계절이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물을 많이 마시거나 수분이 많은 음식을 충분히 먹고, 식물성 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해 체내 노폐물 배설을 촉진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여름철 피부 트러블에 좋은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나열해 보겠다.  딸기를 믹서에 갈고 나서 우유와 달걀노른자를 고루 섞고 꿀을 넣어 마시고, 이것을 피부에도 바른다.  이것은 피부를 상큼하고 탄력 있게 만드는 영양 미용팩이다.  또한 딸기는 콩과 궁합이 맞으므로 딸기와 두유와 꿀을 섞어 레몬즙을 첨가해 먹어도 좋다.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산딸기를 정혈제(精血劑)라 .. 2024.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