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7

더위 먹었을 때는 고온(高溫), 고습(高濕), 무풍(無風) 때 혹은 강한 햇볕에 머리나 목이 노출되거나 과로(過勞)할 때 더위에 대한 체온조절(體溫調節)이 안 되어 발한(發汗)이 정지되고 체온(體溫)을 발산할 수 없어서 체온(體溫)이 41℃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진 결과 더위 먹은 병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이것은 피로(疲勞), 전신쇠약(全身衰弱), 동맥경화(動脈硬化), 당뇨병(糖尿病), 알코올 중독일 때 보다 쉽게 일어난다.  더위를 먹으면 땀이 멈추고 체온(體溫)이 상승하며, 더위에 손상된 각종 독소(毒素)가 쌓인다.  그래서 구토(嘔吐),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복통(腹痛), 사고력(思考力) 둔화, 두통(頭痛), 현기증(眩氣症)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피부(皮膚)가 건조하고 뜨거워지며, 맥박(脈搏)과 .. 2024. 8. 21.
숙취(宿醉)를 푸는 음식 술은 백약지장(百藥之長)이라는 말처럼 모든 약 중에 가장 으뜸가는 약이지만, “술에 장사 없다.”고 하듯이 과음(過飮)하면 숙취(宿醉)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이럴 때는 아스파라거스처럼 술 깨는 성분이 있는 콩나물국이 좋다.  그리고 숙취(宿醉)로 뒷머리부터 어깨까지 뻐근하고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거나 숙취(宿醉)와 과로(過勞)가 겹쳐 심장(心臟)이 조여들며 통증이 있을 때는 칡차를 마시도록 한다.  매실(梅實)은 간(肝)기능을 보호하며 술을 풀고 술에 손상된 내장기(內臟器) 기능을 회복시킨다.  그리고 식초(食醋)는 간(肝)에서 이뤄지는 크레브스 사이클을 원활하게 해 숙취(宿醉)를 풀어주므로 생수 한 잔에 식초(食醋) 3~4티스푼씩 타고 꿀을 조금 섞어 마시도록 한다.  꿀 역시 과당을 공급해 간(肝).. 2024. 8. 20.
골다공증(骨多孔症)을 예방하려면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렁해져 부러지기 쉬운 상태의 질병으로, 중년 이후 뼈가 노화(老化)될 때 쉽게 일어나며 특히 갱년기(更年期) 여성에게 많다.  하지만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가 약하게 타고난 경우나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강행한 경우 또는 교통사고나 타박상 등으로 뼈에 무리가 주어진 경우 등에도 나이와 관계없이 젊은 남녀 누구에게서나 흔히 나타날 수 있다.  또 혈액(血液) 내의 칼슘이 부족하게 되면 뼛속 칼슘이 혈액(血液) 내로 빠져나가 뼈가 약해지며, 후천적 영양 보충 역할을 하는 비장(脾臟)이 약해져 있거나, 혈액(血液)을 저장하는 간장(肝臟)의 기능이 약해져 있거나, 또는 호르몬 기능을 포괄하는 신장(腎臟) 기능이 약해진 경우에도 골다공증(骨多孔症)이 온다.  골다공증(骨.. 2024. 8. 19.
비듬이 많아 고민일 때는 비듬은 체질(體質), 정신적 긴장, 계절적 영향 및 노화(老化)에 의해 벗겨진 두피(頭皮) 각질층(角質層)에 먼지, 세균(細菌), 피지선(皮脂腺) 기능 이상에 의해 지나치게 기름기가 섞여 생긴다.  비듬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풍열(風熱)성 비듬은 건조하고 머릿결도 거칠고 잘 빠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습열(濕熱)성 비듬은 지루성이며 머리카락이 끈적거리고 번쩍이며 잘 빠진다.  혈열(血熱)성 비듬은 비듬이 덕지덕지 쌓이고 탈락과 신생을 반복하며 두피(頭皮)가 붉고 가렵다.  그리고 체력쇠약(體力衰弱)성 비듬은 회백색이고 모발(毛髮)이 건조해 잘 부러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새박뿌리를 쓴다.  옛날 중국의 하씨라는 사람이 이것을 먹고 머리가 까마귀처럼 까맣게 되고 윤기 나.. 2024. 8. 18.
축농증(蓄膿症)일 때는 이렇게 고친다. 축농증(蓄膿症)일 때 당분을 과잉섭취하면 악화하므로 야채와 해조류를 충분히 먹는다.  그리고 무를 강판에 갈아 꼭 짜서 그 즙을 탈지면에 적신 후 콧속에 넣으면 좋다.  이때 용뇌(龍腦)를 조금 희석시키면 콧속과 머리까지 시원하게 뚫리고 맑아진다.  만약 무즙이 맵거나 코점막이 약해 콧속이 헐 때는 증류수를 가미해도 좋다.  삼백초(三白草) 역시 축농증(蓄膿症)에 잘 듣는 약초이므로, 20g을 끓여 차(茶)처럼 하루 동안 수시로 복용한다.  아니면 창이자(蒼耳子)를 다갈색으로 볶아 10g씩 끓여 마시거나, 창이자(蒼耳子) 볶은 가루를 4g씩 내복한다.  창이자(蒼耳子)의 잎을 1일 20g씩 끓여 차(茶)처럼 수시로 나누어 마셔도 좋다.  지압(指壓)으로도 축농증(蓄膿症)을 개선할 수 있은데, 천주(天柱).. 2024. 8. 17.
눈이 침침할 때는 이글거리는 태양을 직시할 때처럼 눈이 시리거나 눈이 침침하다 못해 눈물이 그렁거리거나 눈에 핏발이 잘 서며 눈이 피로한 증상은 간장(肝臟)과 신장(腎臟) 기능이 약해졌을 때 많이 나타난다.  이때의 신장(腎臟)이란 비뇨생식기계(泌尿生殖器係) 및 내분비계(內分泌係)의 통칭이다.  따라서 간(肝)과 신장(腎臟) 강화식품을 많이 먹는 것이 좋은데 그 첫 번째로 결명자(決明子)가 꼽힌다.  옛날부터 눈을 밝게 한다는 시력회복제로 널리 알려진 결명자(決明子)는 이뇨(利尿)작용과 완화(緩和)작용까지 있어 소변(小便)과 대변(大便)을 원활하게 해준다.  결명자(決明子)를 프라이팬에서 볶아 짙은 황갈색이 될 때까지 충분히 달여서 차(茶)처럼 상복하도록 한다.  이것은 특히 중년층 이상의 눈 피로에 효과가 크다.  구기.. 2024. 8. 16.
태열성(胎熱性) 결막염(結膜炎)일 때는 태열성(胎熱性) 결막염(結膜炎)이란 결막(結膜)에 염증이 생겨 결막(結膜)이 붓거나 충혈 되고 눈곱이 끼는 증세를 말한다.  보통 결막염(結膜炎)이라면 누런 눈곱이 끼지만 태열성(胎熱性)일 때는 눈곱이 희다.  그리고 눈동자가 타는 것 같고 점액성 분비물이 흐르면 눈이 붉어지고 가렵다.  빛을 보면 눈이 부시다고 하며 눈꺼풀 가장자리는 붉으나 유백색이 된다.  때로는 콧속, 입속, 입천장, 귓속이 가려워지며 재채기, 콧물, 코막힘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 질환은 식독(食毒), 수독(水毒), 혈독(血毒)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된다고 한다.  식독(食毒)은 음식물의 이상 발효에 의한 독소가 혈중에 흡수되어 중독을 일으킨 것이며, 수독(水毒)은 배설(排泄)기능 장애로 비생리적인 과잉 체액에 의한 중독을 말하며.. 2024. 8. 15.
두통(頭痛)에 효과적인 민간약 두통(頭痛)에는 어떤 민간약이 좋을까?  다음과 같이 증상에 따라 열거한 방법들 가운데 선택하여 두통(頭痛)을 해결해 보길 바란다.  국화(菊花)는 두통(頭痛)에 좋고, 머리와 눈의 열(熱)을 내리며 혈압강하(血壓降下) 작용까지 한다.  칡뿌리는 숙취(宿醉) 두통(頭痛), 감기(感氣) 두통(頭痛), 특히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고 열(熱)이 있을 때 좋다.  메밀은 열성두통(熱性頭痛)에 효과가 있고, 베개에 넣어 베면 고혈압두통(高血壓頭痛)에 좋다.  만형자(蔓荊子)는 머리가 아프면서 눈이 충혈(充血)되고 눈물이 나며 귀울림이 있을 때 좋고, 백지(白芷)는 머리가 아프면서 두피(頭皮)가 가렵고 어지러운 경우에 좋으므로 12g씩 끓여 마신다.  담궐두통(痰厥頭痛)은 눈 뿌리부터 정수리까지 아프고 어지러워 참.. 2024. 8. 14.
두통(頭痛)을 해소하는 지압법 두통(頭痛)에는 지압(指壓)이 좋다.  지압(指壓)은 태양(太陽), 풍지(風池), 풍부(風府), 태충(太衝), 내관(內關), 용천(湧泉) 경혈을 중심으로 세게 누르지 말고 가벼운 압력으로 10초씩 지속적으로 3회 정도 한다.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와 귀 중간에 있는데, 무엇을 씹으면 움직이는 곳이다.  이 부위는 신경(神經)이 예민해졌을 때 퍼런 핏줄이 불룩 튀어 나온다.  따라서 기분(氣分)의 울체(鬱滯)나 울화(鬱火), 분노(忿怒)에 의한 두통(頭痛) 등 스트레스성 두통(頭痛)에 효과가 있다.  풍지(風池) 경혈은 유양돌기(乳樣突起) 뒤쪽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곳인데, 유양돌기(乳樣突起)란 귀 뒤에서 뒷머리카락 쪽에 있는 엄지손톱 크기의 둥근 돌기이다.  풍부(風府) 경혈은 좌우 두 .. 2024. 8. 13.
당뇨(糖尿) 환자의 건강법 어린이 당뇨(糖尿)는 5세 전후와 12~13세 전후에 발병하는 예가 많은데, 발육 및 성장에 지장이 오고 영양상태도 나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절식과 운동을 열심히 하고, 비만아(肥滿兒)를 제외하고는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젊은이의 당뇨(糖尿)는 일반적으로 야윈 타입으로 비교적 혈당치가 높아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糖尿病)이 많다.  하지만 젊음의 꿈과 용기를 잃지 말고 당뇨병(糖尿病)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익히고 의욕적으로 컨트롤해야 한다.  포부를 한껏 펼쳐야 할 젊은 때부터 평생 규제를 받아야 하는 것은 큰 충격이겠지만 체중 조절에 신경 쓰고 당뇨(糖尿)가 악화되는지, 에너지 설치가 적은지 식별해 대처한다.  또한 인슐린 주사로 인한 저혈당(低血糖) 위험이 있으므로 당질 높은 식품을.. 2024. 8. 12.
당뇨병(糖尿病), 두려울 것이 없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을 간장(肝臟)의 소설(疏泄) 장애로 당(糖) 생성과 분해에 이상이 있거나, 위장(胃腸), 대장(大腸), 췌장(膵臟) 등 내장기의 열(熱) 축적에 따른 번열(煩熱)과 영양물질이나 호르몬 등 음액(陰液)이 부족한 상태인 음허(陰虛)에 의해 삼초(三焦) 기능에 장애가 와서 삼초(三焦) 부위에 발생하는 전신성, 복합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삼초(三焦)는 기체 대사를 하는 상초(上焦), 수분 대사를 하는 중초(中焦), 호르몬 대사를 하는 하초(下焦) 등 인체의 상중하부에 있는 기능계를 말한다.  당뇨병(糖尿病)은 병의 진행 시기와 경과 기간, 발병 원인, 발병 연령 등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의 혈당치가 120㎎/100㎖을 넘으면,.. 2024. 8. 11.
당뇨병(糖尿病)에 대한 기본 상식을 알아두자. 세종대왕도 엘비스 프레스리나 헤밍웨이 그리고 에디슨도 모두 당뇨(糖尿) 환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또 소변(小便)을 본 자리에 개미떼가 모여들면 당뇨(糖尿)임을 알 수 있다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당뇨병(糖尿病)은 ‘달콤한 소변(小便)’을 보는 병으로 혈당(血糖)이 높아 포도당(葡萄糖)이 많이 섞인 소변(小便)이 나오기 때문이다.  일란성 쌍둥이 가운데 한명이 당뇨(糖尿)이면 다른 한명도 당뇨(糖尿)가 되듯이 이 병은 유전성(遺傳性)이 강하며, 비만(肥滿), 과식(過食), 운동부족(運動不足), 스트레스 증가, 설탕 과잉 섭취 등도 원인이 된다.  또한 췌장(膵臟) 질환, 갑상선(甲狀腺) 기능항진(機能亢進) 등의 질병이 있을 경우에도 당뇨(糖尿)가 되며, 호르몬 약도 원.. 2024. 8. 10.
겨울철 신경통(神經痛)에 인동꽃이 좋다. 겨울이 오면 신경통(神經痛)이 제철을 만난 듯 극성이다.  신경(神經)이 혈액(血液)에 의해 영양(營養)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오는 통증이다.  이때에는 술, 커피, 자극성 있는 향신료 등은 피하고, 요오드 성분과 칼슘의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따라서 미역이나 다시마를 많이 먹고, 우유, 뼈째 먹는 생선, 표고버섯, 식초 등도 많이 먹도록 한다.  특히 우유에 식초를 타면 요구르트처럼 되기 때문에 마시기 수월하고, 우유의 칼슘이 식초의 유기산에 힘입어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한몫 한다.  또 부추 요리를 많이 먹으면서 대변(大便)이 원활하도록 하고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부추는 더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식품이라 했으므로, 부추를 많이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고 감기 예방 효.. 2024. 8. 9.
요통(腰痛)의 일상생활 주의, 이렇게 하라.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누워 잘 때는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눕는 것이 좋다.”고 했다.  그러므로 옆으로 누워 밑의 다리는 펴고 윗다리는 가볍게 구부려 자도록 한다.  똑바로 누워 잘 때는 무릎을 가볍게 구부려 밑에 쿠션을 넣도록 한다.  매트는 엉덩이가 아주 조금 파묻힐 정도로 딱딱한 것이 좋고, 너무 푹신하거나 너무 높거나 너무 작은 베개는 좋지 않다.  베개와 목 아래에 틈새가 있을 때는 타월을 말아 그 사이에 넣는다.  아침 기상 때는 누운 채 무릎을 세우고 한쪽과 또 다른 쪽으로 다리를 넘어뜨리는 허리이완 체조로 몸을 푼다.  그런 다음 팔로 매트를 집은 채 상체를 떠받쳐 일어난다.  세수할 때는 받침대 위에 한쪽 다리를 올리거나 샤워로 세수, 세발을 대신한다.  양말이나 스타킹, 바지는 앉아서 .. 2024. 8. 8.
요통(腰痛)을 차게 고칠 때, 뜨겁게 고칠 때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통즉불통(通則不痛)하고, 불통즉통(不通則痛)한다.”라는 말이 나온다.  즉, 기(氣)가 통해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좋아지면 아프지 않고, 기(氣)가 통하지 않아 혈액(血液) 흐름이 나빠지면 아프다는 뜻이다.  이때에는 비닐봉지에 얼음과 소금 한 움큼을 넣어 요통(腰痛) 부위에 찜질한다.  그러면 통증 전달 신경과 냉각 전달 신경이 상쇄하여 고통이 덜해질 뿐 아니라 얼음찜질로 일단 온도가 떨어졌다가 생체 항상성으로 이곳에 혈액(血液)이 몰려 온도가 높아지면서 통증도 가시게 된다.  얼음찜질 후에는 물기를 닦아내고 가볍게 마사지하여 허리가 차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핫팩으로 허리를 따뜻하게 해주어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하면 통증이 가신다.  먼저 요추(腰椎) 중앙부를 따뜻.. 2024.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