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16

심장(心臟)이 허하면 어떻게 할까? 기분이니, 기운이니 하는 말을 쓰듯이 심장(心臟)에도 기분이 있고 기운이 있다.  이것을 심기(心氣)라고 하는데, 심장(心臟)도 기분 좋고 기운이 있어야 건강하다.  그런데 심기(心氣)가 허한 경우가 있어서 심장(心臟)이 할랑할랑거리고 두근두근대며, 기운이 뚝 떨어지고, 진땀이 나며, 맥(脈)이 약하거나 부정맥(不整脈)이 보인다.  이럴 경우에는 황기(黃芪), 인삼(人蔘), 자감초(炙甘草), 육계(肉桂) 각 8g을 물 500㏄로 끓여 반으로 줄어들면 먹는다.  이 처방으로 흰쥐를 사육하면 간세포(肝細胞)의 글리코겐 함량이 높아지며, 비위장(脾胃腸) 기능이 회복되고, 열에너지원이 강화되어 심기(心氣)가 충족된다.  심기(心氣)의 허약이 더 심해지면 심장(心臟)의 열에너지인 양기(陽氣)마저 허약해져서 심장(.. 2024. 5. 12.
결핵(結核)에는 이런 식품이 효과 있다. 결핵(結核)이 있을 때에는 현미식초를 커피 잔 한 잔의 생수에 3~4티스푼씩 타서 공복에 마신다.  만약 속이 쓰리면 우유에 식초를 넣어 요구르트처럼 만들어 먹는다.  이런 방법도 있다.  먼저 씻은 달걀을 물기 없이 닦아 컵에 넣고 식초를 달걀이 잠기도록 붓는다.  그런 다음 입구를 랩으로 막고 냉장고에 넣어 4~5일 후 달걀 껍질이 흐물거릴 때 껍질 속의 얇은 막을 집어내고 달걀을 식초에 고루 잘 섞은 뒤 컵 한 잔의 물에 1큰 수저씩 타서 하루 2회 공복에 마신다.  결핵(結核)에는 솔잎도 효과가 있다.  솔잎을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흑설탕을 켜켜이 채운 다음 밀봉하여 상온에 둔다.  3~4주쯤 지나서 솔잎이 떠올랐을 때 여과하여 생수에 20㏄씩 타서 마시거나 참깨 2큰 수저를 씻어 볶은 후 곱게.. 2024. 5. 11.
폐질환(肺疾患)은 이렇게 치료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폐질환(肺疾患)에는 실증(實症)과 허증(虛症)이 있다.  폐질환(肺疾患) 실증(實症) 가운데 풍한(風寒)에 손상된 폐질환(肺疾患)의 경우에는 풍(風)과 한(恨)의 증상으로 발열(發熱), 오한(惡寒), 두통(頭痛), 체절통(體節痛), 맑은 콧물, 해수(咳嗽) 등이 있으며, 맑은 가래가 많이 나오고 백색의 설태(舌苔)가 낀다.  이때에는 소엽(蘇葉)이 효과가 있다.  깻잎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소엽(蘇葉)은 감기 치료, 생선 식중독(食中毒)에 약효가 뛰어나고, 신경안정제(神經安靜劑) 역할도 하므로 하루에 20g씩 끓여 마신다.  폐질환(肺疾患) 실증(實症) 가운데 풍열(風熱) 또는 화열(火熱)에 의한 경우에는 풍(風)과 열(熱), 화(火)의 증상으로 열(熱)이 심하게 나고,.. 2024. 5. 10.
여름철 감기 다스리는 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여름철 감기를 양서(陽暑)와 음서(陰暑)로 구별하고 있다.  양서(陽暑)는 고온에서 피로(疲勞)하여 오는 감기로 발열(發熱)이 심하다.  그리고 기관지염(氣管支炎) 타입, 이형폐렴(異型肺炎) 타임, 인후결막염(咽喉結膜炎) 타입 등으로 많이 나타난다.  음서(陰暑)는 지나친 냉방 등과 같이 몸을 차게 해서 오는 감기로 오한(惡寒)과 오풍(惡風)이 심하다.  그리고 비염(鼻炎) 타입, 소화기장애(消化器障礙) 타입, 류머티즘 타입으로 많이 나타난다.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영양을 충분히 고루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비타민과 칼륨 섭취에 신경쓰도록 하며, 과음(過飮)은 절대 피하도록 한다.  일단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휴식(休息)과 수면(睡眠)을 취하고, 목욕(沐浴)은 열.. 2024. 5. 9.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에는 배가 좋다. 배는 몸에 이롭고 성질이 순조로운 까닭에 이(利)의 의미를 붙여 이(梨)라 불리며, 약으로는 맛이 젖 같은 유리(乳梨), 과즙이 풍부한 아리(鵞梨), 향기가 좋은 소리(消梨)를 쓴다.  고기를 먹고 뒤탈이 생긴 때에는 배에 물을 붓고 끓여 마신다.  그리고 소화불량(消化不良)이나 구토(嘔吐)에는 배에 구멍을 뚫고 정향(丁香)을 박아 젖은 한지(韓紙)를 싼 다음 구워서 먹고, 소아(小兒)의 풍기(風氣)를 수반하는 열(熱)에는 배즙에 쌀가루를 넣어 죽을 쒀 먹으면 좋다.  당나라의 무종 황제는 심열병(心熱病)으로 고생했다는데, 백약이 무효했다고 한다.  심열병(心熱病)이란, 심장(心臟)에 화기(火氣)가 있어 얼굴이 벌겋게 달아오르고 가슴 속에 번열(煩熱)이 나며, 잠잘 때 불안해하고, 이를 갈 뿐만 아니라,.. 2024. 5. 8.
감기를 거뜬히 낫게 하는 비결 감기 치료에 효과적인 약술이나 약차는 없을까?  우선 청주 한 컵에 계란 1개를 넣고 반숙이 될 때까지 데워 마셔 보자.  그리고 나서 곧 이불을 덮고 땀을 내면서 한잠 자고 나면 거뜬해 진다.  과로(過勞) 뒤 감기로 식욕(食慾)이 떨어지고 속이 부글거리며 설사(泄瀉)가 날 때 또는 감기로 관절(關節)이 쑤실 때에는 자두술을 한 잔 마신 후 땀내면서 한잠 자고 나면 된다.  오공(蜈蚣)술은 내장을 제거한 닭의 뱃속에 지네 50마리를 넣고 소주로 끓여 만든 술인데, 한 잔 마신 후 땀을 내면 감기로 온몸이 쑤실 때 효과가 있다.  감기에 좋은 차로는 칡차, 소엽차, 당귀귤피차 등이 있다.  칡차는 칡뿌리를 끓인 차로서 1일 20g씩 끓여 수시로 마시면 된다.  이것은 감기 초기나 두통(頭痛), 오한(惡寒.. 2024. 5. 7.
기침이라고 다 같은 기침이 아니다. 기침은 다른 장기(臟器)의 병이 폐(肺)에 파급되어 발생하기도 하는데, 모든 기침은 일단 크게 외부 감염과 체내 손상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외부 감염은 풍(風) 기후와 건조(乾燥) 기후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풍(風)에 의한 기침에는 또 다시 한기(寒氣)를 띠느냐, 열기(熱氣)를 띠느냐로 구별된다.  풍(風)에 한기(寒氣)를 겸한 것은 해수(咳嗽), 천식(喘息)하고 백색(白色)의 희박한 담(痰)을 뱉으며, 맑은 콧물이 흐르고, 몸은 찬데 발열오한(發熱惡寒)하며, 두통(頭痛)과 온몸에 통증이 온다.  이럴 경우에는 살구씨 6g에 소엽(蘇葉)과 귤껍질 20g을 함께 끓여 마신다.  이때 생강(生薑)을 넣으면 더욱 좋다.  풍(風)에 열기(熱氣)를 겸한 것은 해수(咳嗽)하되 그 기침소리가 무척 크고 호흡이.. 2024. 5. 6.
감기는 이렇게 하면 쉽게 고칠 수 있다. 일설에 의하면 아테네의 멸망은 감기가 원인이었다는 말도 있듯이 풍(風)은 만병의 근원이다.  감기는 풍(風)에 손상되면서도 한기(寒氣)를 띠느냐, 열기(熱氣)를 띠느냐에 따라 다르다.  풍(風)에 한기(寒氣)를 띤 풍한성(風寒性) 감기는 오한(惡寒)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재채기, 맑은 콧물, 기침, 두통(頭痛)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가래는 말갛다 못해 희박하고, 땀이 나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우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총시탕(葱豉湯)을 먹어 보자.  이것은 파의 흰 뿌리와 된장을 함께 넣어 끓인 것이다.  아니면 차조기잎 즉, 소엽(蘇葉) 20g을 끓여 마시자.  기침이 날 경우엔 여기에 귤껍질을 같이 넣어 끓이고, 도라지를 먹는다.  풍(風)에 열기(熱氣)를 띤 풍열성(風熱性) .. 2024. 5. 5.
꿈으로 건강을 체크해 보자. 춘향이가 옥중에서 거울이 깨지는 꿈을 꾼 것은 암행어사 출도를 예견한 것이고, 이성계가 서까래를 짊어진 꿈을 꾼 것은 장차 왕(王)이 될 예견이라 하듯이 세간에는 어떤 표상을 찾아서 꿈 풀이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강아지는 재산을, 꽃은 여성기(女性器)를, 물고기는 남성기(男性器)를, 대변(大便)은 돈을, 돈은 애정(愛情)을 뜻한다고 한다.  또 구두를 잃는 꿈은 재수가 없고, 맨발 꿈은 탈출하고 싶은 마음의 반영이며, 꿈에 불을 보면 자신도 모르는 과격한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수영은 성적 욕망을, 전쟁은 가정이나 형제에 대한 증오(憎惡)를 뜻한다고 한다.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장기(臟器) 기능과 연결하여 꿈 풀이를 하고 있다.  즉 장기(臟器) .. 2024. 5. 4.
대변(大便)도 눈 여겨 살펴보자. 대변(大便)은 먹은 음식물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육식(肉食)을 하면 흑갈색, 식물성 음식을 먹으면 노란색이나 연녹색, 섭취한 음식물에 철분이 많으면 흑녹색을 띤다.  만일 까만 타르 같은 변(便)이면 궤양(潰瘍)을, 선홍색 피가 묻어 있으면 항문질환(肛門疾患)이나 암(癌)을, 흰 연변(軟便)을 보면 간(肝)이나 담낭질환(膽囊疾患) 또는 장(腸)의 흡수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위벽(胃壁) 긴장 때나 위장(胃腸) 연동(蠕動)운동이 약할 때, 산후(産後)나 땀을 많이 흘린 후, 구토(嘔吐)나 설사(泄瀉) 후, 노인(老人)이나 허약(虛弱)할 때, 피가 부족할 때 등은 변(便)이 단단해져 변비(便祕)가 된다.  그리고 너무 굶거나 너무 배부를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을 많이 먹거나 과로(過勞)했을 때, .. 2024. 5. 3.
소변(小便)을 보고 병을 알아보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소변(小便)을 잘 보지 못하는 데는 세 가지 원인이 있다고 했다.  즉, 설사(泄瀉) 후 진액(津液)이 적어진 때, 열(熱)이 하초(下焦)에 몰린 때, 비위장(脾胃腸) 기능이 나쁠 때에 소변(小便)을 잘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소변(小便)이 방울방울 떨어지거나 안 나오는 것을 ‘융폐증(癃閉症)’이라 하는데, 복부(腹部)가 팽창되고 몸이 부으면 토(吐)하거나 숨이 차고 방광(膀胱)이 터질 듯 괴롭고 위태로운 증상을 보인다.  그리고 혈압(血壓)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사구체신염(絲毬體腎炎), 요로폐색(尿路閉塞)일 때 또는 소변(小便)을 참고 달리거나 성행위(性行爲)를 했을 때 소변(小便)이 막히는데, 이를 ‘전포증(轉脬症)’이라 한다.  소변(小便)이 잦고 참지 못하는 것은 비장(脾臟.. 2024. 5. 2.
비장(脾臟)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비장(脾臟)은 운화(運化)작용을 한다고 하는데, 운화(運化)란 말 그대로 운송(運送), 수송(輸送)을 뜻한다.  그러니까 위장(胃腸)에서 일차 소화(消化)된 것을 비장(脾臟)이 재차 소화(消化), 흡수(吸收)의 과정을 거쳐 인체에 이용될 수 있는 물질로 변화시켜 각 조직(組織)이나 장기(臟器)에 수송(輸送)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비장(脾臟)은 각 조직(組織) 및 장기(臟器)에 영양 에센스를 수송하고, 수액(水液)의 수송으로 조직(組織) 및 장기(臟器)를 자양자윤(滋養滋潤)함과 아울러 조직(組織) 및 장기(臟器)에서 이용된 후 나온 불필요한 수액(水液)을 비뇨기(泌尿器)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비장(脾臟)이 약하면 운화(運化)작용에 장애가 생겨 복부(腹部)가 더부룩하게 팽창하고, 수액(.. 2024. 5. 1.
위장(胃腸)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위장(胃腸)은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창고 같기에 ‘태창(太倉)’이라 하며,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바다 같기에 ‘수곡지해(水穀之海)’라고 한다.  또 원기(元氣)는 위장(胃腸) 기운에 의존한다 하여 위장(胃腸)을 ‘후천지본(後天之本)’이라고도 한다.  선천적으로 아무리 튼튼하게 태어났더라도 후천지본(後天之本)이 부족하면, 얼굴이 초췌해지고 혈색(血色)이 없으며 무기력(無氣力)해지고 몸이 야윈다.  그리고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활동이 영양부족(營養不足)으로 부진해 지고, 정신까지 활성화 되지 못하며, 질병에 노출되기 쉽고, 온갖 생명활동이 온전히 보전될 수 없다.  위장(胃腸)이 약하여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작용이 순조롭지 못하면 식사하기가 싫고, 소화(消化)도 안 되어 그득하며, 위통(胃痛)이 있다.  이것이 .. 2024. 4. 30.
간장(肝臟)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간(肝)은 혈액(血液)을 저장하고 혈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간(肝)이 약하면 눈앞에 꽃 같은 것이 아른거리고 어지러우며, 근육(筋肉)의 굴신(屈伸)이 불편해진다.  여성의 경우 월경량(月經量)이 줄고, 심하면 월경(月經)이 아예 그치기까지 한다.  간(肝)은 정서적 활동 촉진과 소화(消化), 흡수(吸收) 및 수분대사(水分代謝)를 원활하게 촉진하는 소설(疏泄) 작용도 한다.  따라서 간(肝)이 약하면 정서적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억울한 기분이 들고 흥분하기 쉽다.  억울하면 옆구리가 그득하고 팽창한 듯하며, 늘 우울하여 즐거움이 없고, 의심이 많으며 걱정을 잘 한다.  심하면 침울하여 울려고 하며 월경(月經)이 불순해진다.  흥분하면 조급해지고 걸핏하면 화(火)를 잘 내고, 잠을 잘.. 2024. 4. 29.
폐(肺)가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폐(肺)는 청(淸)한 것을 흡입하고 탁(濁)한 것을 뱉어 체내의 기(氣)와 외기(外氣)를 교환하며, 외기(外氣)와 곡기(穀氣)와 신장(腎臟)의 정기(精氣)와 결합하여 전신에 고루 분포시켜서 각 조직(組織)과 기관(器官)의 활동을 유지하는 에너지로 작용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모든 기(氣)를 총주관하기 때문에 폐(肺)는 ‘기지본(氣之本)’이다.  그러므로 폐(肺)가 약하면 기운이 없고 말하기 싫으며, 말한다 해도 말소리가 작다.  목도 쉬 가라앉으며 피로(疲勞) 권태(倦怠)가 심하고, 땀이 저절로 흐른다.  뿐만 아니라 기침하고 숨차며,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니 불편한 감을 느끼게 된다.  폐(肺)는 선발(宣發) 작용과 숙강(肅降) 작용을 하는데, 이 작용으로 진액(津液)과 기.. 2024.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