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21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에는 양배추와 오적골(烏賊骨)이 좋다. 이런 얘기가 중국 고사에 나온다. 진나라 항온(恒溫)이 촉나라로 가는 도중 삼협(三峽)이라는 곳을 지나갈 때 수행원이 새끼 원숭이 한 마리를 잡아 배에 실었다. 어미 원숭이가 쫓아왔지만 물에 가로막혀 배에 오르지 못하고 홀로 언덕에 앉아 슬피 울고만 있었다. 이를 아랑곳 않고 배는 떠났고 어미 원숭이는 그 배를 뒤쫓다가 배가 포구에 닿자 새끼를 찾아 배 위로 뛰어 올랐지만 그 자리에 쓰러져 죽고 말았다. 사람들이 이 어미 원숭이의 배를 갈라보니 너무도 슬퍼한 나머지 창자가 토막토막 나 있었다고 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 기록된 이 얘기로부터 ‘단장(斷腸)’의 슬픔이라는 말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슬픔은 창자를 토막토막 동강낼 정도라는 얘기다. 단장(斷腸)의 아픔은 이처럼 슬픔이나 분노, 공포.. 2024. 11. 27. 울화증(鬱火症)을 겪고 있다면? 화병(火病), 울화증(鬱火症)은 어떤 심리적 충격에 의해 나타나는 신경(神經) 증상이 복합된 장애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울화증(鬱火症)으로 나타나기까지는 충격기(衝擊期), 갈등기(葛藤期), 체념기(諦念期), 증상기(症狀期) 등 4단계가 있다. 충격기(衝擊期)에는 배신감(背信感)과 증오(憎惡), 분노(忿怒)로 얼룩진다. 이것이 가치체계나 도덕이나 자신의 마음속으로 원하는 것 등과 충돌하면서 마음의 딜레마에 빠지는 것이 갈등기(葛藤期)이다. 엄청난 고뇌(苦惱)는 이 시기에 이루어진다. 그러면서 한(恨)이 맺히고 한(恨)이 쌓이면서 팔자소관이려니 하고 체념(諦念)하는 시기에 들어간다. ‘사는 것이 다 그런 거지 뭐’하면서도 미련(未練)과 집념(執念)을 버리지 못하는 속에서 비로소 울화증(鬱火症).. 2024. 11. 26. 우울증(憂鬱症)에 특효인 음양곽(淫羊藿)은 정력강장제(精力强壯劑)이다. 우울하고 의욕이 감퇴되어 울증(鬱症)이 나타날 때에는 음양곽(淫羊藿)이 좋다. 옛 중국 사천 북부 지방에 하루에도 백회 이상 교미하는 색정이 강한 숫양이 있었는데, 이 음란한 양은 교미를 끝내면 콩잎 같은 풀을 뜯어먹고 정력(精力)을 회복한 뒤 광적인 교미를 거듭했기 때문에 이 최음(催淫)의 풀을 음양곽(淫羊藿)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이 음양곽(淫羊藿)이 우울증(憂鬱症)의 치료가 된다. 울증(鬱症)을 풀고 의욕을 돋우며 머리를 맑게 하고 삶의 보람을 추구하게 하는 신비의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물론 음양곽(淫羊藿)은 강력한 강정제(强精劑)이다. 혹설엔 옛날 한 노인이 이 풀을 먹고는 짚고 있던 지팡이를 내던지고 부랴부랴 집에 달려와 할머니 품에 안겼다는 기적 같은 얘기가 전해올 정도.. 2024. 11. 25. 요통(腰痛)에는 부추술과 청아환(靑娥丸)이 좋다. 요통(腰痛)은 인간이 직립 동물인 이상 숙명적인 질환이라고들 한다. 그래서 요통(腰痛)은 5명중 1명이 겪고 있는 병이라고 할 정도로 많다. 요통(腰痛)은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요부신경통(腰部神經痛),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을 비롯해 소화기(消化器) 질환이나 비뇨기(泌尿器) 질환 도는 부인과(婦人科) 질환 때도 흔히 볼 수 있으므로, 요통(腰痛)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명히 진단받고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허리에서 다리까지 당기고 아픈 것, 허리가 차면서 아픈 것, 비올 것을 신통하게 예보하면서 아픈 것, 밤이면 더 심하게 아픈 것, 성기능(性機能) 저하를 수반하며 아픈 것 등 요통(腰痛)을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중 성기능(性機能.. 2024. 11. 24. 오줌소태에 좋은 음식은? 방광염(膀胱炎)을 집에서 손쉽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그것도 부엌에 있는 몇 가지 남은 음식을 이용해서 말이다. 팥파즙이 좋다. 부엌에 있는 팥 한 줌과 파 한 뿌리를 끓여 마시면 소변(小便)이 잘 나오지 않고 소변(小便)의 색이 흐릴 때, 또는 방광염(膀胱炎)에 의한 통증(痛症)과 혈뇨(血尿)에 좋다. 팥 40g을 물에 담가 잘 불린 다음 끓이다가 파 한 뿌리를 잘 볶아서 함께 넣고 끓인 후 청주 한 컵을 붓고 한소끔 끓여 다 끓여지면 걸러 즙만 받아 따끈할 때, 공복에 마시면 된다. 연근생즙이 좋다. 소염(消炎), 진통(鎭痛) 및 지혈(止血)작용이 있어 방광염(膀胱炎)에 의한 혈뇨(血尿)나 배뇨(排尿) 후의 통증(痛症)에 좋다. 연뿌리 생것 200g을 잘 씻어 강판에 간 다음.. 2024. 11. 23. 어깨가 결릴 때는 모과(木瓜)를 이용하면 좋다. 어깨가 뻣뻣하다, 결린다, 어는 때는 새끼손가락 끝까지 저릿저릿하다는 증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증상은 근육(筋肉)이 뭉쳐 일어날 수도 있지만, 목뼈의 이상이나 어깨 자체의 이상에 의해서도 오고, 고혈압(高血壓)이나 저혈압(低血壓)일 때, 또는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이나 빈혈(貧血)일 때도 올 수 있으며, 혹은 심장(心臟)질환이나 당뇨병(糖尿病), 비타민 결핍일 때도 올 수 있으므로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확실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어깨결림증에는 소위 ‘오십견(五十肩)’이라는 병증도 있다. 어깨 관절(關節)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筋肉), 힘줄, 관절포(關節包) 또는 활액주머니에 노화(老化)현상 및 만성염증(慢性炎症)이 일어나서 어깨 관절(關節)의 주위조직이 유착되어 야기되는 증상이다.. 2024. 11. 22. 어혈(瘀血)을 푸는 데는 검은콩과 자초차가 좋다. 어혈(瘀血)이란 탁(濁)한 혈액(血液), 울체(鬱滯)된 혈액(血液)이다. 말초혈관(末梢血管)의 순환장애, 혈액(血液)의 끈끈한 정도가 상승되었을 때 나타나고, 또 혈소판(血小板)의 점착도가 상승되었거나 혈액(血液) 내 지방질의 상승 따위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어혈(瘀血)이 있으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우선 안색(顔色)이 까맣게 죽거나 검푸르고 거칠다. 피부(皮膚)도 윤기가 없고, 입술도 거무죽죽하고 입술에 꺼풀이 일어나거나 잘 튼다. 또 혀가 선홍빛을 띠지 않고 검붉거나 혹은 검붉은 반점(斑點)이 혀 위나 특히 혀 밑에 흩어져 나타난다. 입이 마르지만 물을 마시고 싶어도 먹히지 않고 머리가 항상 무겁거나 멍하다. 어지럼증이 심하고 메스꺼움을 동반하는 하품이 잦고, 괜히 가슴이 두근거.. 2024. 11. 21. 아토피성 피부에는 열성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아토피성 피부질환은 계절적인 변화에 아주 민감하다. 봄, 가을에 급증하고 겨울에는 건조하기 때문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아토피(Atopy)’라는 용어는 미국의 코카라는 의사가 붙인 것으로 ‘이상한’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이상한 체질에, 이상한 증상에, 이상한 진행을 하는 질병이라는 얘기다. 전문적으로 이야기하면 알레르기성 체질에,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만성습진 양상의 피부증상일 분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여러 증상을 복합적으로 발현하면서 그 병변의 양상이 개체의 성장에 따라 달라지면서 계속적으로 재발하는 난해한 질병이라는 것이다. 이 난해한 질병을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태열(胎熱)’이라고 했다. ‘태열(胎熱)’의 ‘태(胎)’는 태아(胎兒) 때부터, 선천적 체질에 의해 생긴다는 뜻이고,.. 2024. 11. 20. 식은땀을 많이 흘리면, 검은콩이 좋다. 검은콩을 식초에 담갔다가 먹자. 주체할지 못할 정도로 땀을 흘리는 사람들이 있다. 본인도 번거롭지만 옆에서 보고 있는 사람이 민망스러울 정도일 때도 있다.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자한(自汗)’이라고 하고, 체력 쇠약으로 진땀이 흐르는 것을 ‘허한(虛汗)’이라 하며, 잠자는 동안만 옷을 적실 정도로 땀이 나다 잠이 깨면 언제 땀이 났냐는 듯 땀이 싹 가시는 도둑 땀을 ‘도한(盜汗)’이라 한다. 이때 좋은 것이 바로 검은콩이다. 우선 검은콩을 식초에 담가 먹도록 한다. 검은콩을 흑두(黑豆), 오두(烏豆)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도 크기가 작은 것이 약콩이다. 이것을 젖은 행주로 잘 닦아 용기에 담아(물론 검은콩이나 용기에는 물기가 없어야 한다.) 식초를 붓는다. 식초는 현미식초가 좋다. 현미식.. 2024. 11. 19. 술독을 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술독을 풀기 위해서는 섭취한 알코올을 빨리 배설해야 한다. 즉 땀이나 소변(小便), 대변(大便)에서 하품이나 숨을 쉬는 것까지 몸 안의 것을 밖으로 내보내는 모든 행위가 도움이 된다. 그래서 목욕을 하거나 운동을 해야 한다. 술독이 심하다고 축 처져서 앉아 있거나 누워 있으면 술독이 더 오래 가게 된다. 만약 꼭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할 경우라면 가능한 팔이라도 많이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 그럼 왜 술독이 생기는 것일까? 일단 알코올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그 알코올은 체내에 있는 효소들에 의해 여러 가지 물질로 계속 변화한다. 그리고 그 변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초산으로 변하고 그 초산이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되어 결국은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대사(代謝)과정 중에서 만들어지는 .. 2024. 11. 18. 소갈증(消渴症)의 합병증은? 당뇨병(糖尿病)에는 합병증이 무섭다고들 한다. 당뇨병(糖尿病) 범주에 해당되는 한의학(韓醫學)의 소갈증(消渴症)에도 합병증을 무겁게 다루고 있다. 소갈증(消渴症)의 유형에는 ‘강중증(强中症)’이란 것이 있다. 이 증상은 당뇨병(糖尿病) 증세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색욕(色慾)에 탐닉하거나 준렬한 약성을 지닌 약재를 남용하여 체내의 필수 에너지원인 ‘진기(眞氣)’를 소모시켰을 때 야기되는 증상이다. 음식을 먹으면 끓는 물에 눈이 녹듯이 소화(消化)가 이상 촉진되어 쉽게 배고픔을 느껴 음식을 자꾸 섭취하려고 한다. 그러나 먹는 양에도 불구하고 날로 수척(瘦瘠)해져서 체중감소가 눈에 띄고, 소변(小便)의 형태는 기름이 둥둥 뜬 듯 한 모양을 보이며 배뇨(排尿) 상태도 절도가 없다. 입과 입술은 초췌할 .. 2024. 11. 17. 설사(泄瀉)도 원인에 따라 처방이 달라진다. 설사(泄瀉)라고 다 같은 설사(泄瀉)일까? 여기 환자 세 사람이 있다. A-환자는 식욕(食慾)이 없고 밥만 먹으면 설사(泄瀉)를 할 것 같고, 가슴이 답답하며 팔다리에 힘이 없다고 한다. B-환자는 새벽마다 물 같은 설사(泄瀉)를 하며 속이 더부룩하고 복통(腹痛)이 가볍게 오면서 많이 먹지도 못한다. C-환자는 배가 뒤틀리듯 아프다가도 설사(泄瀉)만 하면 조금씩 복통(腹痛)이 약해진다고 한다. 다 같이 설사(泄瀉) 환자이면서도 증상이 다 다르다. 설사(泄瀉)라고 다 같은 설사(泄瀉)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A-환자는 비장(脾臟)이 허약해서 온 것이고, B-환자는 열에너지원이 부족해서 온 것이고, C-환자는 간(肝) 기능이 병적으로 항진되어서 지나치게 비장(脾臟) 기능을 억.. 2024. 11. 16. 뼈를 튼튼하게 하려면 녹각죽(鹿角粥)이 좋다. 신선(神仙) 팽조(彭祖)는 800여 살을 살았다고 하는데, 그가 가장 강력한 정력제(精力劑)로 손꼽았던 것이 녹각(鹿角)이다. 소녀경(素女經)에서 성신경쇠약(性神經衰弱)에 효과적인 처방으로 제시한 것도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산(鹿角散)이라는 처방이고,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도 그의 저서 활인심방(活人心方)에서 뛰어난 보양식(保養食)으로 권하고 있는 것도 바로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죽(鹿角粥)이다. 녹각(鹿角)은 뇌(腦)를 보하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치아(齒牙)를 고르게 하고, 정액(精液)과 혈액(血液)을 보익하며,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는 약재이다. 그래서 만성소모성(慢性消耗性) 질병의 회복의 회복기에 좋고, 노인성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이나 발기부전(勃起不全)에도 .. 2024. 11. 15. 빈혈(貧血), 식이요법(食餌療法)으로 물리칠 수 있다. 타우린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을 먹어야 한다. 첫 손에 꼽히는 것이 가리비와 소라이다. 그리고 낙지, 한치, 모시조개, 게 등도 들 수 있다. 비타민-B12도 빈혈(貧血)에 꼭 필요하다. 철분을 비롯해 비타민-B12가 부족하면 악성 빈혈(貧血)이 되기 쉬우며, 적혈구 자체는 커지지만 그 수가 극단적으로 적어진다. 어린이는 성장(成長) 장애가 일어날 수 있고 중년은 심장(心臟) 박동이 불규칙해질 수 있다. 노년이라면 치매(癡呆)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여성은 불임(不姙)에 이를 수도 있다. 컴프리라는 식물에 이 성분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컴프리를 ‘빨간 비타민’이라고 불러왔을 정도이다. 생즙을 내어 먹어도 좋고, 설탕에 켜켜이 재워 숙성시킨 후 마셔도 좋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 2024. 11. 14. 지나치게 야위거나 살이 쪄도 여성 불임증(不姙症)은 유발할 수 있다. 여성 때문에 불임(不姙)이 되는 원인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가운데 여성 성기(性器)의 해부학적 구조 이상에 의한 불임(不姙)이 있는데 이를 한의학(韓醫學)에서는 ‘쇄음(鎖陰)’에 의한 불임증(不姙症)이라고 한다. 또 배란장애(排卵障礙)로 임신(妊娠)에 지장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불임증(不姙症)의 원인으로 18~50%에 이르기도 한다. 월경(月經)이 없거나 월경(月經)이 정상이라 하더라도 난자(卵子)가 나오지 않는 무배란성(無排卵性)이라면 임신(妊娠)이 안 되는 것이다. 월경(月經)이 완전히 없는 경우는 배란장애(排卵障礙)가 분명히 드러나나 어떤 환자는 6주~6개월의 주기를 갖는 희소월경(稀少月經)이 원인일 수도 있고, 28일 형의 정상 월경(月經)을 갖고 있어도 배란장애(排卵障礙.. 2024. 11. 1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