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생을 병(病) 없이 건강(健康)하게 지낸다는 것은 누구나 원하고 있는 소망이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왜 사람은 건강(健康)을 해치고 병(病)에 걸리는 것일까?
병(病)이 생기는 원인을 알 수 있다면 그런 원인이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건강(健康)의 비결이건만 병(病)의 원인을 모두 다 안다는 것은 힘든 일이다.
그러나 건강(健康)의 주인이 사람의 마음이고 보면 마음을 될 수 있는 대로 평온하게 지니는 것이 건강(健康)을 지키는 길이 되겠다.
옛사람들이 생각한 병(病)의 원인은 외인(外因)이라고 하여 풍(風), 한(恨), 서(暑), 습(濕), 음식(飮食), 노권(勞倦) 등의 기후 조건의 변화라든가 음식물의 부주의, 심신(心身)의 과로(過勞), 성욕(性慾)의 낭비 등 외부적 조건에 의하여 병(病)이 생기는 것도 있지만, 내인(內因)이라고 하여 체내에서의 균형이 흐트러져서 병(病)이 생기는 것이 더 많다고 하였다.
그 중에서도 정신(精神)작용의 과부족에 의하여 병(病)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정신(精神)작용은 칠정(七情)이라고 하여 7종의 감정(怒․喜․思․悲․恐․驚․憂)이 균형이 잡히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善攝生者 常 少思 少念 少慾 少事 少語 少喜 少愁 少樂 少喜 少怒 少好 少惡 行此十二少者 養生之都契也’
요즘 말로 말을 하면 소극적인 건강(健康) 방법이라고 할지는 모르나 12가지를 지나치게 않게 알맞게 하는 것이 건강(健康)의 비결이라고 하였다.
생각이 많으면 신경이 약해지고, 염려가 많으면 뜻이 흩어지며, 욕심이 많으면 뜻이 혼미해지고, 일이 많으면 내장이 상하고, 근심이 많으면 마음이 불안하며, 지나치게 즐기면 뜻이 넘치고, 기쁨이 지나치면 착란에 빠지고, 노여움이 많으면 모든 혈액이 고르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이 많으면 정신이 헷갈려 올바르지 못하고, 미워하는 것이 많으면 초췌하고 즐거움이 없다.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자(精子)마다 유전(遺傳)정보를 간직하고 나온다. - 必審 ‘房勞’ (3) | 2025.04.16 |
---|---|
마음은 건강의 주인 - (心者一身之主) (3) | 2025.04.14 |
야채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3) | 2025.04.13 |
해산물과 궁합이 맞는 식품 (3) | 2025.04.12 |
육류와 궁합이 맞는 식품 (3)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