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東醫寶鑑)에 ‘양성연년약(養性延年藥)’이라고 하여 불로장생(不老長生)할 수 있는 약(藥) 처방 10개와 단방(單方)으로 23개의 생약(生藥)을 소개하고 있다.
단방약(單方藥) 중에 참깨가 들어 있는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胡麻 卽 黑芝麻也 久服輕身不老 耐飢渴 延年 一名 巨僧’
참깨, 즉 검은 참깨인데 오랫동안 계속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굶어도 배고프지 않으며 수명(壽命)이 연장이 된다. 일명 거승(巨僧)이라고도 한다.
건강하다는 표현을 경신(輕身)이라고 한 것은 생각할수록 묘미가 있다.
사람이 과로(過勞)하거나 병(病)이 생기려고 할 때는 왜 그렇게도 몸이 무거운지 팔다리를 꼼짝하기가 싫어진다.
반대로 몸의 컨디션이 좋을 때는 몸이 날듯이 홀가분하게 느껴진다.
참깨는 예로부터 불로장수(不老長壽) 강장강정(强壯强精)의 약효가 있다고 평가되어 왔다.
참깨는 약 50%의 지질(脂質)과 20%의 단백질(蛋白質)이 들어 있으며, 지질(脂質)은 주로 리놀레산(linoleic acid)이라는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으로 되어 있어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의 예방과 치료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蛋白質)에는 간강(肝强) 작용이 있는 메티오닌(methion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이 다량 들어 있어 이상적인 종합영양제(綜合營養劑)로서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
참깨를 먹는 방법 중의 하나를 소개하면 검은깨를 물에 씻어 찜통에서 증기를 쬐어 말린 것을 절구에 빻아서 가루로 만든 다음 꿀을 섞어 약과처럼 빚어두었다가 하루에 약과 크기만큼씩 먹으면 된다.
계속하면 영양(營養)은 말할 나위도 없고 변비(便祕)가 없어지고 피부(皮膚)가 윤택하게 된다.
오래된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도 저절로 낫게 되며, 고혈압(高血壓)도 없어진다.
이런 고사(故事)까지 곁들이고 있다.
‘魯女 生服胡麻餌朮絶穀 八十餘年 甚少壯 日行三百里’
노나라에 여자가 있었는데 참깨를 날로 먹고 백출(白朮)이라는 약초를 밥 대신 먹으며 절곡(絶穀)을 하였더니, 80여 년 동안 심히 젊어지고 원기(元氣)가 왕성하게 되어 하루에 3백리 길을 거뜬하게 걸을 수 있었다.
'약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高血壓)에 무슨 약(藥)이 좋은가? - 治中風藥 ‘豨薟’ (3) | 2025.05.11 |
---|---|
간장(肝臟)은 생명(生命)의 중추기관 – 養肝藥 車前子 (2) | 2025.05.07 |
정력제(精力劑)로 연꽃술, 연밥, 연잎이 최고의 약재다. (6) | 2025.03.10 |
빈혈(貧血)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재로 당귀(當歸)가 좋다. (5) | 2025.03.09 |
복령(茯苓) (3)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