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7

나잇살 빼는 지압법 배의 군살을 빼려면 ‘천추(天樞)’를 지압한다.  그러면 피로하며 끈기 없을 때에도 효과가 있다.  배꼽 좌우 4㎝에 엄지를 대고 배 안쪽을 향하듯 누르기를 5번 반복한다.  윗배 군살을 빼려면 명치와 배꼽 사이 정중앙에 있는 ‘중완(中脘)’을 지압한다. 그리고 아랫배 군살을 빼려면 ‘중극(中極)’을 자극하는데, 배꼽과 치골결합을 5등분하고 치골결합에서 ⅕위에 엄지를 대고 성기(性器) 쪽을 향해 2~3분 정도 누른다.  옆배 군살을 빼려면 배꼽에서 수평으로 그은 가로선과 제11늑골끝에서 그은 세로선이 만나는 점인 ‘대맥(帶脈)’을 누르면서 이곳 군살을 움켜쥐고 약간 비틀 듯 한다.  허벅지 군살을 빼려면 곧바로 서서 팔을 대퇴부에 드리워 댔을 때 가운데 손가락 끝이 대퇴부에 닿는 부위인 ‘풍시(風市)’주.. 2024. 7. 17.
체질별로 본 살 안 찌는 음식 태양인(太陽人)은 상체(上體) 비만형(肥滿型)으로 메밀국수로 포만감을 느끼도록 국물까지 마신다.  그리고 모과(木瓜)를 썰어 말린 후 알갱이로 빻아 하루에 1~2티스푼씩 공복마다 온수(溫水)로 복용한다.  태음인(太陰人)은 비만(肥滿)해질 체질로서, 특히 복부(腹部) 비만형(肥滿型)에 목덜미가 두툼하게 쌀 쪄서 중풍(中風) 위험이 높다.  따라서 삼겹살이나 닭고기를 피하고 콩을 식초에 담가 10알씩 하루 1~2회 식전에 먹는다.  그래야 포만감이 생겨 밥을 많이 먹지 않게 한다.  다시마는 살을 빼는데 좋을 뿐 아니라 중풍(中風)도 예방한다.  다시마를 효과적으로 먹으려면 이렇게 해보자.  우선 다시마를 손바닥 크기로 잘라 물에 불린다.  그리고 마른 행주로 싸서 토닥토닥 두들겨 물기를 없앤 후 알루미늄.. 2024. 7. 16.
비만(肥滿)한 사람이 주의해야 할 음식 나폴레옹의 첫째 패인이 진두지휘를 하지 못할 만큼 비만(肥滿)해진 때문이라 하듯이, 비만(肥滿)은 삶을 파멸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죽음의 저승사자와 다름없다.  특히 식사 후 몸이 후끈 달아오르는 느낌이 적은 체질은 살찔 체질이요, 어릴 때 통통했던 경우나 태음인(太陰人)도 살찔 체질이다.  사상체질(四象體質) 중 태양인(太陽人)은 상체 비만(肥滿)이, 소양인(少陽人)은 하체 비만(肥滿)이 올 수 있고, 소음인(少陰人)은 비만(肥滿)해질 체질이 아니지만, 비만(肥滿)해질 체질이 아니지만 비만(肥滿)해지더라도 쉽게 고칠 수 있다.  그러나 태음인(太陰人)은 선천적으로 비만(肥滿)해질 체질로 소아비만(小兒肥滿)도 태음인(太陰人)에게 많고, 설령 어릴 때 홀쭉했어도 중년에 비만(肥滿)해질 수 있다.  동의보.. 2024. 7. 15.
비만(肥滿)에 이런 식품이 좋다. 메주콩은 지방(脂肪)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찬물에 담갔다가 간장에 조려 먹는다.  혹은 메주콩을 율무식초에 담갔다가 먹으면 장(腸)에서의 당(糖) 흡수를 저지하고, 체내 지방(脂肪) 합성을 억제해 주므로 비만(肥滿)을 예방하는데 큰 몫을 한다.  특히 율무식초는 체지방(體脂肪) 축적을 막고, 영양소의 체내 소비를 촉진하며, 식욕(食慾) 감소 효과와 혈당(血糖) 조절을 통해 비만(肥滿)을 예방한다.  잣은 비만(肥滿) 방지와 미용(美容) 효과 그리고 심신 강화 요소를 갖춘 불노장수(不老長壽)의 묘약으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해송자(海松子)’라 하며 기운까지 돋운다고 하였다.  잣은 하루 10알씩 먹으면 1개월에 변비(便祕)가 낫고, 2개월이면 잔주름이 없어지며, 신경 흥분을 가라앉히고, 뇌.. 2024. 7. 14.
어떤 타입의 비만(肥滿)인가?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肥滿) 남성의 42%, 비만(肥滿) 여성의 36%가 정상 체중인보다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비만(肥滿)은 사망(死亡)의 지름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비만(肥滿)을 다음과 같이 세 타입으로 나누고 있다.  첫째는 비질인(肥質人)으로, 지방(脂肪)이 과잉 축소되어 있으나 신체 용적은 작으며, 피부(皮膚)가 섬세하면 몸이 덥고, 피부(皮膚)가 거칠면 몸이 냉(冷)하다.  둘째는 고질인(膏質人)으로, 지방(脂肪) 과잉 축적으로 아랫배가 축 처진 것이 특징이다.  추위를 잘 견디지만, 살집이 부드러울수록 더위를 이겨내기 어렵다.  셋째는 육질인(肉質人)으로, 살집을 집어 꼬집으려 해도 근육(筋肉)과 피부(皮膚)가 분리되지 않.. 2024. 7. 13.
태교(胎敎) 운동을 해보자. 임신(妊娠)은 우주 창조의 경이로움 그 자체요, 태교(胎敎)는 건전한 우주를 만들기 위한 창조자의 외경스러운 마음가짐과 최소한의 생활 수칙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태교(胎敎)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흐르는 물이 썩지 않고, 문지방이 좀먹지 않는 것은 그것들이 항상 움직이기 때문이다.”라고 하면서 운동이 필요하다고 했다.  썩지 않는 물처럼, 좀먹지 않는 문지방처럼 임신부(姙娠婦) 운동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의학입문(醫學入門)에는 임신(妊娠)중에 “때로 걸어다닐 것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다시 말해서 멀지 않고 평평한 곳을 즐거운 마음으로 걸으면서 청정한 산소를 충분히 흡입하며, 천천히 자주 걷는 것이 태교(胎敎) 운동으로 최고의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기왕이면 즐거.. 2024. 7. 12.
태교(胎敎)가 중요하다. 청나라의 담금장은 태아(胎兒)를 열매 속에 있는 씨로 비유하며 이렇게 말했다.  “태아(胎兒)가 뱃속에 있을 때는, 마치 열매 속에 있는 씨가 아직 여물기 전에는 싹을 돋지 못하고 물크러지거나 혹은 좀먹어 썩어 없어지는 것 같다.”  즉, 열매 속의 씨처럼 태아(胎兒)도 뱃속에서 충분히 성숙(成熟)되기까지는 불안하다는 말이다.  또 명나라의 생생자는 태아(胎兒)를 오이에 비유하여 이렇게 표현하였다.  “오이는 줄기에 달려 자라는데 줄기가 실하면 오이가 잘 자란다. 하지만 잘 익지 않고 떨어지는 건 줄기가 마르고 바람에 흔들렸기 때문이다. 달이 차서 해산(解産)하는 것은 오이가 익어서 꼭지가 떨어지는 것과 같다. 그런데 속으로 상한 것 없고 겉으로 감촉된 일 없다면 어찌 유산(流産)되겠는가?”  즉, 태교.. 2024. 7. 11.
백대하증(白帶下症)을 치유하는 방법 대하증(帶下症) 가운데서도 흰색 냉(冷)이 흐르는 백대하(白帶下)가 가장 많은데, 여기에는 원인별로 네 가지 타입이 있다.  첫째는 스트레스로 소화(消化)기능이 약해진 것으로, 허리가 저려오고 팔다리에 힘이 빠지며 안색이 누렇게 들뜨고 피로해진다.  둘째는 자궁경관(子宮頸管) 질환이 생긴 까닭이요, 셋째는 자궁(子宮)이 냉(冷)한 까닭이다.  이때는 등살이 뻐근하고 시려우며, 추위를 타고 흰색의 설태(舌苔)가 혀에 잔뜩 낀다.  넷째는 허약한 여자가 성교(性交)를 과다하게 해서 백대하(白帶下)가 이루어진 것으로, 허리부터 대퇴부(大腿部)까지 저리고 아프며 몽롱하고 식욕과 체중이 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흰 접시꽃인 백촉규화(白蜀葵花)와 흰 맨드라미인 백계관화(白鷄冠花) 그리고 아교주(阿膠珠) 각 6g.. 2024. 7. 10.
대하증(帶下症)으로 냉(冷)이 흐르면 사상자(蛇床子)로 씻는다. 여성 성기(性器)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이 비생리적으로 양이 많아져 질구(膣口) 밖으로 흘러내리면 외음부(外陰部)가 부으면서 가려운 경우를 대하증(帶下症)이라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대하증(帶下症)을 분류하기를 희면서 콧물 같은 분비물은 백대하(白帶下), 붉고 분량이 적은 것을 적대하(赤帶下), 푸르고 끈끈하며 비릿한 내음이 있는 것을 청대하(靑帶下), 흑황색에 농도 짙고 비릿하며 하복부(下腹部)가 차면서 아픈 것을 흑대하(黑帶下), 그리고 적색과 백색이 섞인 것을 적백대하(赤白帶下)라고 했다.  그리고 대하증(帶下症)의 원인을 하초(下焦)의 냉증(冷症), 기허(氣虛)나 혈허(血虛), 비위장(脾胃腸) 소화기(消化器) 기능의 허약, 정서적 변동, 습열(濕熱)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24. 7. 9.
외음부(外陰部)가 가려운 경우에는 비누거품 같거나 콩비지 같이 뻑뻑한 냉(冷)이 흘러 외음부(外陰部)가 가렵기도 하고 섹스 뒤끝이나 성적불만, 자위 등으로 외음부(外陰部) 충혈(充血)이 있을 때도 외음부(外陰部)가 가렵다.  또 질염(膣炎), 외음염(外陰炎) 등으로 분비물이 많아져 외음부(外陰部)를 자극해 가려워지게 되며, 특정 음식물이나 약물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외음부(外陰部) 가려움증은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나 비만(肥滿) 여성 또는 임신부(姙娠婦)에게서 많이 볼 수 있고, 신장병(腎臟病)이나 당뇨(糖尿) 때도 생기기 쉬우며, 정신적인 원인으로 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남편과의 성관계(性關係)를 거부하는 정신적인 영향으로 가려워진다.  한편 가려움증은 외음부(外陰部) 외에도 항문(肛門)과 외음부(外陰部) 중간 부위인 회음부.. 2024. 7. 8.
갱년기(更年期) 여성의 건강법 폐경(閉經)을 전후하여 자궁(子宮)이 텅 빈 듯하고 정신적으로도 공허하기 때문에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를 흔히 ‘빈 둥지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괜히 심장(心臟)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벌겋게 상열(上熱)하여 홍조(紅潮)를 띠며, 가슴에 번열(煩熱)이 나서 답답하고 초조(焦燥), 불안(不安), 불면(不眠) 등의 증상이 온다.  또 귀가 윙윙 울리고 어지러우며, 머리가 아프고 갈증(渴症)이 나며, 어깨가 쑤셔 오고 소변(小便)이 자주 마려워진다.  게다가 갑자기 추웠다가 갑자기 열(熱)이 나고, 때로 끈적거릴 만큼 땀이 나기도 한다.  이러한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를 극복하려면 40대 초부터 식초요법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좋다.  식초의 유기산은 정신(精神)을 안정시키고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 증상.. 2024. 7. 7.
산후(産後) 유방(乳房) 질환이 있을 때 산모(産母)의 혈액(血液)이 유선(乳腺)의 상피세포(上皮細胞)로부터 가공 생산, 분비되는 것이 젖이다.  특히 분만(分娩) 후 2~3일간 물 같이 반투명하고 끈적한 황색의 젖이 나오는데, 이 초유(初乳)에는 지방, 단백질, 칼슘이 많고, 면역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꼭 먹이도록 한다.  그러나 초유(初乳)가 끈적한 황색이 아니고 묽고 누렇거나 화농(化膿)이나 동통(疼痛)이 있을 때는 돼지족발에 상추씨와 감초(甘草)를 넣고 끓인 후 그 물에 쌀을 넣어 죽을 쒀 먹는다.  상추씨를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와거(萵苣)라 하였는데, 유즙(乳汁) 분비 작용이 강하다.  유두종창(乳頭腫脹)은 유두(乳頭)의 피부점막(皮膚粘膜) 및 유관(乳管)에 생기는 부스럼 형태의 염증(炎症)으로, 가렵고 아프며, 헌 데가 잘 낫.. 2024. 7. 6.
유산(流産)을 예방하려면 심청전의 곽씨부인은 심청을 임신(妊娠)했을 때 모난 곳에 앉지 않고, 기운 곳에 서지 않았으며, 높은 곳에 오르지 않았는데, 이는 유산(流産)을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아기를 낳기 위한 태교(胎敎)의 하나였던 것이다.  그런데 유산(流産)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를테면 자궁경관(子宮頸管) 무력증 등의 자궁질환(子宮疾患), 자간증(子癎症)이나 자종증(子腫症) 등의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 자궁허약(子宮虛弱), 유산(流産) 경향이 있는 선천적 허약체질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유산(流産)은 모성(母性) 원인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태아성(胎兒性) 원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성(父性) 원인도 무시할 수 없다.  태반(胎盤) 완성 전, 즉 임신(妊娠) 16주 전의 유산(流産).. 2024. 7. 5.
입덧이 심할 때는 임신(妊娠) 6~8주쯤에 60%의 임신부에게 나타나는 입덧은 생리적 현상이라고 하지만, 심하면 열(熱)이 나고 위액(胃液)이나 담즙(膽汁) 또는 혈액(血液)을 토하며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입덧은 수정란 주위 융모 조직에서 분비된 독성물질이 혈액 변화를 일으켜 태기(胎氣)가 위장(胃腸)을 자극하여 위산(胃酸)이 적게 분비될 때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증상을 경증에서부터 중증까지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기는 메스꺼움, 구토(嘔吐), 식욕부진(食慾不振), 체중감소(體重減少), 변비(便祕)나 설사(泄瀉)하는 단계이고, 제2기는 발열(發熱) 및 탈수(脫水)에 따른 갈증(渴症), 귀울림, 시력장애(視力障碍), 황달(黃疸)까지 오는 단계이고, 제3기는 두통(頭痛), 정신착란(.. 2024. 7. 4.
임신(妊娠)중 이런 증상을 주의하라.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은 고혈압(高血壓), 부종(浮腫), 단백뇨(蛋白尿) 질환으로, 주로 임신(妊娠) 24주 후에 많이 나타난다.  고혈압(高血壓)이 합병되면 태아(胎兒)의 발육이 부진하거나 산소 결핍으로 질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혈압(高血壓)인 여성은 임신(妊娠)중 정기진단을 받으면서 몸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한편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 발작은 간질(癎疾)이나 풍(風)과 같아 ‘임신간증(妊娠癎症)’ 또는 ‘임신중풍(妊娠中風)’이라 한다.  증상은 갑자기 어지럽다가 정신(精神)을 잃고 넘어지면서 팔다리에 경련(痙攣)을 일으키고 이를 악물며 눈알이 곧추선다.  그리고 입으로 흰 거품 같은 침을 게우며 각궁반장(角弓反張)한다.  각궁반장(角弓反張)이란 등이 가슴 쪽으로 휘어들어 반듯이 누울 때 .. 2024.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