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 이런 방법이 효과적이다.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이란 위(胃) 및 십이지장(十二指腸)의 궤양(潰瘍)을 총칭하는 것으로 상당수가 슬픔, 분노, 공포, 걱정 등 7가지 정서적 변화로 간기능(肝機能)을 울결(鬱結)시켜 일어난다. 그러면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은 어떤 사람이 잘 걸릴까? 이 병은 융통성 없이 고지식하고,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빈틈없이 꼼꼼하고, 도덕적이며 책임감이 강하고, 자기 능력 이상을 성취하고자 안달하며, 식생활이 불규칙하거나 자극성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걸릴 확률이 높다. 주로 나타나는 증상은 속쓰림, 윗배 통증, 구역감 등이며, 때로 출혈(出血)이 있을 수 있다. 출혈(出血)은 토혈(吐血), 하혈(下血)로 나타나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출혈(出血)도 있다. 그리고 아스팔트 녹인 것처럼 검고 진득거리..
2024. 5. 27.
위장병(胃腸病) 가볍게 다루면 안된다.
위장병(胃腸病)엔 허증(虛症), 실증(實症), 한증(寒症), 열증(熱症) 등 다양하게 있으나, 흔한 질병이라고 가볍게 다루면 안된다. 여기서는 위장병(胃腸病)의 증상에 따라 어떤 치료 방법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첫째, 위장(胃腸)이 허(虛)하면서 한냉(寒冷)을 겸한 경우에는 명치 밑이 은근히 아프고, 식사 후 복부팽만감(腹部膨滿感)이 심하면서 오심(惡心), 구토(嘔吐), 설사(泄瀉), 무기력(無氣力), 부종(浮腫), 백대하(白帶下) 증상이 있다. 피부(皮膚)도 누렇거나 어두운 색을 띤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에는 백작약(白芍藥) 20g, 계지(桂枝) 12g, 자감초(炙甘草) 4g, 생강(生薑)과 대추(大棗)를 함께 끓여 먹는다. 둘째, 위장(胃腸)에 진액(津液)이 부족하면 명치 밑이 뿌듯..
2024. 5. 24.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 겁낼 필요 없다.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이란, 혈관(血管) 내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석회질이 굳어져 혈관(血管)이 두터워지고 탄력성을 잃어 약해진 상태로 심혈관계(心血管系) 질환에 좋지 않다. 이 질환은 과로(過勞), 과식(過食), 스트레스, 급격한 온도 변화 등이 원인이므로, 쾌면(快眠), 쾌식(快食), 쾌변(快便)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볍게 운동을 해야 한다. 과음(過飮)과 흡연(吸煙)은 혈관(血管)을 수축시키고, 혈압(血壓)을 높이며, 혈액(血液)을 응고시킨다. 카페인 음료를 많이 마셔도 혈관(血管)이 수축되고 중성지방(中性脂肪)이 늘어 좋지 않다. 또한 비만증(肥滿症)이나 당뇨(糖尿), 통풍(痛風)과 같은 요산(尿酸)의 축적 및 혈액(血液) 응고의 이상도 좋지 않으며, 고혈압(高血壓)과 고지혈증(高脂血症)도 ..
2024.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