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86

인삼(人蔘)은 스트레스를 풀어준다. - 令人不忘 약(藥)을 상약(上藥), 중약(中藥), 하약(下藥)의 삼품(三品)으로 분류한다고 하였는데, 상약(上藥) 120종중에는 인삼(人蔘), 참깨, 구기자(枸杞子), 율무, 꿀 등이 들어 있다. “다복구복불상인(多服久服不傷人)”이 상약(上藥)의 특징이고 보니 식품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어 이른바 “식약일체(食藥一體)”라는 약성(藥性)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보약(補藥)으로 익히 잘 아는 녹용(鹿茸)은 중약(中藥)에 들어 있고, 부자(附子)니 대황(大黃)이니 하는 약(藥)은 하약(下藥)에 들어 있다. 현대 의약품을 보면 특효약(特效藥)이니 화학요법제(化學療法劑)니 하는 것은 거의 모두 생긴 병(病)을 때려잡는 약(藥)들이니 삼품약(三品藥)의 개념에 의하면 하약(下藥)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2025. 7. 21.
상약(上藥)은 독성(毒性)이 없어 오래 먹어도 사람을 다치지 않는다. - 三品藥 사람의 생명(生命)과 건강(健康)에 있어서 약(藥)이란 무엇인가? 병(病)을 치료(治療)하는 데는 꼭 약(藥)이 있어야만 하는가? 먹을수록 몸에 이로운 보약(補藥)이라는 것이 과연 있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지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삼품약성(三品藥性)’을 읽어보기로 한다. 약(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상품약(上品藥), 중품약(中品藥), 하품약(下品藥)의 삼품(三品)으로 분류하는 놀라운 발상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약물학(藥物學)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후한(後漢) 때에 나온 것으로 되어 있으며 365종의 약품(藥品)이 삼품(三品)으로 나누어져 올라 있다. ‘三品藥性 : 上藥一百二十種 爲君主 養命以應天 無毒 多服久服不傷人欲輕身益.. 2025. 7. 20.
양이 지나치면 죽는다. - 養正積自除 오늘날처럼 조직검사, X-ray, CT, MRI 등 여러 가지 진단법(診斷法)이 발달되어 있는 때에도 암(癌)의 조기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암(癌)이라는 병명조차 일정치 않던 옛날에 암(癌)을 가려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방암(乳房癌)이라든가 뱃속에 생기는 종양(腫瘍)이 무서운 병(病)이라는 것은 옛사람들도 분명히 알고 있었다. ‘凡 腹中有塊 不問積聚癥瘕 俱爲惡候 切勿視爲尋常 若脹滿 已成胸腹鼓急 雖倉扁復生 亦莫能救其萬一也’ 대저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것은 ‘적취(積聚)’건 ‘징하(癥瘕)’건 모두 다 나쁜 징조이니 결코 심상하게 생각하여서는 안 된다. 만약 이미 명치와 배가 불러 올랐으면 창공(倉公)이나 편작(扁鵲) 같은 옛날의 명의(名醫)가 되살아와도 만에 하.. 2025. 7. 19.
마음을 다스리면 육체(肉體)도 건강(健康)하다. - 火爲元氣之賊 사람의 성미(性味)가 병(病)이나 건강(健康)과 관계가 깊다는 것은 누구나 다 느끼는 바이지만, 미국의 의사(醫師)이자 심신의학자(心身醫學者)인 마이어 프리드먼(Meyer Friedman) 박사가 성격(性格) 패턴과 심장병(心臟病)과의 상관성을 통계적으로 연구한 결과가 보도되었다. 성격(性格)이 깔끔하고 무슨 일이든지 끝장을 봐야 하고 한 번 틀린 사람과는 다시는 사귀지 않는 철저한 성미(性味)를 지닌 사람을 A형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로 둥글둥글하여 얼른 보면 무원칙적인 것 같으면서도 마찰 없이 일을 처리해 나가는 사람을 B형이라고 하여 사람의 형태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 것이다. 그런데 심장질환(心臟疾患)은 주로 A형인 사람에게 많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차츰 확대시켜 보았더니 심장병(心臟病)뿐만 .. 2025. 7. 18.
태반(胎盤), 현대 약품으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 자하거(紫河車) 징그러운 이야기지만 동물들은 해산(解産)한 후에 태반(胎盤)을 먹어 치운다. 태반(胎盤)에는 단백질, 비타민, 호르몬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먹으면 영양(營養)이 될 뿐만 아니라 유선(乳腺)을 자극하여 젖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든가 자궁(子宮)을 수축시키는 작용 등이 있어 동물들이 해산(解産) 후에 자기의 태반(胎盤)을 먹는 것이 합리성이 있어 자연의 섭리가 빈틈없다는 것에 새삼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의 태반(胎盤)을 포의(胞衣) 또는 자하거(紫河車)라고 하며 동물처럼 산모(産母)가 먹는 일은 없지만 허약한 사람이 약(藥)으로 만들어 먹으면 몸을 보호하고 정력제(精力劑)가 된다고 알려져 왔다. 얼른 생각하면 불결하고 끔찍하고 비인도적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현대 의약학(醫藥學)에서도 사람의 태반(.. 2025. 7. 17.
성인병(成人病)은 도사나 부처처럼 수양(修養)해야 한다. - 風病須防再發 “현대는 바야흐로 전염병(傳染病) 시대가 지나가고 성인병(成人病)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라는 말이 있다. 병원균(病原菌)을 박멸시키는 화학요법제(化學療法劑)의 놀라운 발전과 예방의학(豫防醫學) 및 위생환경(衛生環境)의 향상으로 병균(病菌) 감염(感染)에 의해서 생기는 병(病)은 점차 종식되어 가고 있다. 그 반면에 의식주(衣食住)의 부조리와 육체 및 심리적인 스트레스의 증가에 의하여 성인병(成人病)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3대 사인(死因)이 뇌졸중(腦卒中), 암(癌), 심장마비(心臟痲痺)이며, 이런 병(病)들은 전염병(傳染病)과 달라서 오랜 세월의 원인이 축적되어 발병(發病)하게 되는 것이다. 어느 병(病)치고 괴롭지 않은 것이 있으랴만, 성인병(成人病)처럼 장기적으로 환자 및.. 2025. 7. 16.
보리밥은 오장(五臟)을 튼튼하게 한다. - 五穀之長 요즘 일본(日本)에서는 보리밥이 성인병(成人病) 예방 또는 치료약이 된다고 하여 보리 혼식(混食)이 크게 보급되고 있다. 쌀이 남아서 수출하는 형편이니 쌀 모자라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억지로 보리 혼식(混食)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장내(腸內) 세균(細菌)의 번식이 잘되어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비타민-B5)과 비타민-B6 등이 많이 생겨 그것이 혈관(血管)의 탄력성을 좋게 하여 주는 결합질 생성에 없어서는 아니 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쌀밥을 먹으면 바로 혈당(血糖) 수치가 상승된다. 그러나 보리밥은 그런 폐단이 없기 때문에 당뇨식(糖尿食)으로 좋다는 것도 이미 상식이 되어 가고 있다. ‘糯米 : 令人多熱 大便堅 壅諸經絡氣 使四肢不收 發風動氣.. 2025. 7. 15.
나이에 따라 소변량(小便量)이 다르다. - 小便多寡 하루에 배설(排泄)하는 소변(小便)의 분량은 계절(季節), 기온(氣溫), 건강(健康) 상태, 수분(水分) 섭취량 등에 따라서 변동이 있지만 대체로 건강한 어른은 하루에 맥주병 2개 정도(1,000~1,500㏄)가 보통이다. 맥주병 3개(2,000㏄) 이상이 될 때는 다뇨(多尿)이며 소변(小便)이 맹물처럼 묽게 된다. 5개 이상(3,000㏄)이 되면 틀림없는 병(病)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하루의 횟수도 4~5회 정도가 보통이고 간격은 약 5~6시간인데, 이보다 횟수가 많으면 빈뇨(頻尿)라고 할 수 있다. 당뇨병(糖尿病)이나 노인(老人)의 전립선비대증(前立腺肥大症) 도는 신장위축(腎臟萎縮) 등이 있으면 소변(小便) 횟수가 많아지고 특히 밤에 소변(小便)이 잦은 것은 심장기능부전증(心臟機能不全症)이 .. 2025. 7. 14.
남자와 여자의 처방(處方)은 다르다. - 莫醫一婦人 남녀동권(男女同權)이라고 하지만 건강법(健康法)이나 병(病)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여자와 남자가 다른 점이 너무나 많다. 여성이 남성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체내(體內)에서 태아(胎兒)를 길러내기 위하여 성(性)과 관계되는 여러 가지 복잡한 호르몬의 지배를 여성이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존주의 문학자 사르트르(Jean-Paul Sartre)의 평생의 애인인 보봐르(Simone de Beauvoir)의 ‘제2의 성’이라는 저서에서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하였지만 여성의 생리(生理)와 병(病)의 특징은 타고나는 것이다. “여성을 가장 성실하게 생각했던 시대란 남자가 여자를 자기들과 동등한 인간(人間)이라고 생각했던 시대이다.”라고 보봐르는 외쳤지만 여성을 남성과 마찬가.. 2025. 7. 13.
영양식품(營養食品)으로 가장 우수한 것이 골수(骨髓)이다. - 牛髓 빈혈(貧血), 노화방지(老化防止)의 영양식품(營養食品)인 수(髓)란 뼈 속의 골수(骨髓)를 말한다. 골수(骨髓)가 생명(生命)에 중요하다는 것은 우리 속담의 “골수(骨髓)에 사무친다.”라는 말로 잘 표현되고 있다. 뼈 속에 살이 찐다는 말의 반대로 뼈 속이 말라 시들어지면 건강(健康)이 쇠퇴하게 된다. 골수(骨髓)는 적혈구(赤血球), 백혈구(白血球) 등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빈혈(貧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골수(骨髓) 기능을 자극하여 골수(骨髓)에 영양(營養)을 공급하는 약(藥)이나 식품(食品)을 사용해야 한다. 소의 골수(骨髓)를 높이 치고 있다. ‘牛髓主 五勞七傷’ 소의 골수(骨髓)는 오장(五臟)의 쇠약(심로(心勞)에 의한 혈손(血損), 간로(肝勞)에 의한 신손(腎損), 비.. 2025. 7. 12.
참외, 칡즙 먹이면 회생(回生) - 燒酒毒 술을 지나치게 폭음(暴飮)하여 급성 중독(中毒)이 되면 혼수상태(昏睡狀態)에 빠져서 심한 경우에는 생명(生命)을 잃게 된다. 아직 술을 채 배우지 못한 혈기왕성(血氣旺盛)한 청년들이 멋모르고 친구들과 어울려서 술을 마시다가 이런 변을 당하게 된다. 알코올은 마취량(痲醉量)과 치사량(致死量)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되었다 하면 생명(生命)이 위험하다. 알코올의 치사량(致死量)이 어른의 경우 100~200㏄라고 되어 있으니 25도의 소주(燒酒)로 치면 400~800㏄가 되며, 45도짜리 위스키로는 200~400㏄ 정도가 된다. 하루 저녁에 혼자서 위스키 한 병을 다 마셨다고 자랑하는 용사(勇士)도 있으나 시간을 걸려서 마셨으니 망정이지 단숨에 들이키면 큰일이 난다. 12%의.. 2025. 7. 11.
생맥산(生脈散)은 사람의 기력(氣力)을 용출하게 한다. - 生脈散 우리말로 “맥이 풀린다.”, “맥이 없다.”는 형용이 있다. 기운이 떨어져서 기운이 없다는 뜻을 맥이 풀린다고 하는 것이다. 여름철에는 더위에 지쳐서 맥이 풀리게 마련인데 맥이 생기게 하는 청량음료수(淸凉飮料水)를 우리 조상들은 알고 있어 하절(夏節)에는 으레 집에서 만들어 놓았다가 더위에 지친 가족에게 마시게 하였다. 생맥산(生脈散)이라는 처방이 바로 그것이다. 요새처럼 냉장고가 발달되어 있어 덥다고 무턱대고 얼음에 채운 청량음료수(淸凉飮料水)니 냉수(冷水)를 마셔서 배를 채우면 틀림없이 건강(健康)을 해치게 된다. ‘夏月多食冷物 過飮茶水 氷漿致傷脾胃 吐瀉癨亂 故治暑藥多用溫脾消食治濕 利小便之藥 須要識此意’ 여름철에 냉(冷)한 것을 많이 먹거나 음료수(飮料水), 빙수(氷水) 등을 과음하면 비위.. 2025. 7. 10.
건강관리(健康管理)는 여름이 가장 어렵다. - 夏暑將理法 사람의 건강(健康)이 추운 겨울에는 오히려 딴 계절보다도 괜찮아서 식사(食事)도 잘하고 체중(體重)도 늘게 된다. 그러나 여름은 추위의 위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칫하면 체력(體力)이 소모되고 지쳐서 식욕(食慾)이 떨어지고 소위 더위를 탄다고 하여 몸도 여위는 현상이 일어난다. 1년 중에서 가장 건강관리(健康管理)하기 힘든 때가 여름이라고 되어 있다. ‘夏三月 此謂蕃秀 天地氣交萬物華實 夜臥早起無厭於日 使志無怒 使華英成秀 使氣得泄 若所愛在外 此夏氣之 應養長之道也 逆之則傷心秋爲痎瘧奉收者少 冬與重病’ 여름철 3달을 만물이 무성(茂盛)하는 계절이라고 하여 번수(蕃秀)라 하며 천지(天地)의 기(氣)가 서로 작용하여 만물이 꽃 피고 열매 맺으며 밤에는 늦게 자고 새벽에는 일찍 일어나 하루 종일 부지런히 활동.. 2025. 7. 9.
우황(牛黃)은 우리나라 고려황(高麗黃)이 으뜸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요즘은 우황(牛黃)을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남북 아메리카에서 생산되는 것을 수입해 오고 있지만, 옛날에는 우황(牛黃)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의 고려황(高麗黃)을 으뜸으로 쳤다. 인도에서 나오는 것을 광황(廣黃), 중국의 만주 등지에서 산출되는 것을 동우황(東牛黃)이라고 하였다. 중풍(中風)으로 뇌졸중(腦卒中)이 되어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되었을 때 구급약(救急藥)으로 애용되는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도 우리나라 제품이 제일 좋았기 때문에 중국이나 일본에선 우리의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을 구하는 것이 소원이었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다보니 요즘은 홍콩에서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을 우리나라로 가지고 오느라고 야단들이니 어이없는 노릇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牛黃淸心元 治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㥽 言語蹇.. 2025. 7. 8.
우황(牛黃)은 어린이들의 모든 병(病)을 고쳐준다. - 牛黃 인도에서는 소를 신성시하여 쇠고기를 먹는다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다. 아닌 게 아니라 소처럼 우리에게 고마운 동물은 없다. 평생을 사람을 위하여 뼈가 빠지게 일하거나 영양(營養)이 풍부한 우유(牛乳)를 공급하다가 나중에는 결국 희생이 되어 살, 가죽, 뼈 등 모든 것을 송두리째 바쳐서 사람에게 봉사하니 말이다. 또 약용(藥用)으로 보더라도 소의 모든 부분치고 약(藥)이 되지 않는 것이 없다. 그 중의 하나로 고귀한 동물성 생약(生藥)인 우황(牛黃)이 있다. ‘牛黃 : 安魂 安魄 除邪 逐鬼 主狂癲 驚悸及中惡 療小兒百病’ 우황(牛黃)은 정신(精神)과 신경(神經)을 진정(鎭靜)시키고 모든 잡념(雜念)과 정신혼란(精神昏亂)을 물리치며 미친증, 아이들 경풍(驚風) 및 중독(中毒)을 풀어주며 어린아이들.. 2025.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