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60

허약(虛弱, weakling) 체질이다. 특별한 병(病)이 없는데도, 대개 여위고 혈색(血色)이 나쁘며,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이 있다. 한마디로 허약(虛弱) 체질(體質)인 아이들로 이런 아이들은 쉽게 피로(疲勞)해 하고, 잘 안 먹으려 들고, 걸핏하면 배가 아프다거나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며, 쉽게 흥분하고 짜증을 내는 것도 특징이다. 이처럼 아이들이 허약(虛弱)한 것은 타고난 체질 자체가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환경이나 심리적인 요인에 의한 것도 있으므로, 평소 여유를 가지고 아이를 대하며 주변 환경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영양섭취도 중요한데, 식성이 까탈스러운 아이일수록 조리법을 다양하게 해, 식욕을 돋워주며 밝은 식탁 분위기로 식사하는 일을 즐겁게 여기도록 만들어 주자. 적당한 운동(運動)과 충분한 휴식(休息) 등 평소 .. 2023. 11. 25.
밤에 오줌(小便, Urine)을 싼다.(夜尿症 , Nocturnal enuresis) 대부분의 아이들이 두세 살 정도가 되면, 오줌을 가리게 된다. 그런데 다섯 살이 넘도록 밤에 잠자리에다 무의식적으로 오줌을 싼다면, 야뇨증(夜尿症)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심한 경우 초등학교에 입학해서도 일주일에 서번 차례 이상씩 밤에 이불에 오줌을 싸는 어린이도 있는데, 이것은 뇌(腦)의 배뇨중추(排尿中樞)가 충분한 억제 작용을 못하기 때문이다. 야뇨증(夜尿症)은 생활환경이 갑자기 바뀌었거나 정신적으로 크게 충격을 받았을 때 나타날 수도 있고,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계속되는 수도 있다. 오줌을 싼다고 심하게 꾸짖으면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내서 아이를 도와주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소변(小便)을 보게 하는 등 배뇨(排尿) 훈련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은행(銀杏) 넣은 .. 2023. 11. 24.
배탈(腹痛, Abdominal pain)이 잘 난다. 배탈이 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상하거나 좋지 않은 음식을 먹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복통(腹痛)이나 설사(泄瀉)를 일으킬 수도 있고, 체질(體質)적으로 배탈이 쉽게 나는 아이들도 있다. 아이가 복통(腹痛)을 호소하면, 우선 변(便)의 색깔과 상태를 체크한다. 설사(泄瀉)를 하지 않는지, 냄새가 여느 때와 다르지는 않는지를 잘 살펴보아 아이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라면 상태를 보아가며 치료(治療)를 해야 한다. 그런데 조금만 찬 음식을 먹어도 배탈을 일으키거나, 식사 양도 많지 않은데 소화(消化)가 되지 않아 배가 자주 아프다고 호소하는 아이들에게는 평소에도 위(胃)와 장(腸)의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消化)가 잘 되며, 정장(整腸) 작용이 있는 음식들.. 2023. 11. 23.
밥투정이 심하다.(食慾不振, Anorexia) 식사 때마다 먹지 않으려는 아이와 씨름을 하는 엄마들이 있다. 하지만 먹기를 싫어하는 것이 일시적이며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란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문제는 먹기 싫어하는 아이들 대부분이 허약(虛弱)한 체질(體質)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가 밥투정을 부리며 잘 안 먹으려 하면, 억지로 먹기를 강요하기보다는 아이의 체질(體質)을 강화해 주는 것이 급선무이다. 영양(營養)이 풍부하고 체질(體質)을 강화할 수 있는 음식들을 중심으로 균형 있는 식단을 짜는 것이 필요하고, 조리법 역시 소화흡수(消化吸收)가 잘 되고 식욕(食慾)을 자극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량음료나 인스턴트 음식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 대추건강약밥 – 영양(營養)이 풍부해 간식으로 좋다. 대추(大.. 2023. 11. 22.
짜증(Stress)이 심하다. 특별히 어디 아픈 것도 아닌데, 아이가 밤에 자지 않고 보채거나 울면 엄마의 고생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처럼 밤에 잘 자지 않고 보채는 아이는 선천적으로 신경(神經)이 예민하고 짜증이 많은 아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무언가 편안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럴 때 부모가 함께 예민하게 반응하면 상황이 더 악화된다. 느긋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아이가 불편해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해결해 주는 것이 좋다. 방안의 온도(溫度)나 습도(濕度)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것은 아닌지, 배가 고픈 것은 아닌지 등 꼼꼼하게 살펴보자. 한편, 낮에 활동적인 놀이를 많이 시켜 적당히 피로감(疲勞感)을 느끼게 하면 밤에 훨씬 잘 잘 수 있으므로, 생활리듬을 그렇게 유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멸치반찬 – 불면증(不眠症)을 완화한다.. 2023. 11. 21.
한약(韓藥, Korean herbology) 달이는 법 한약(韓藥) 달이는 데 무슨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되는 걸로 생각하여, 미리부터 겁을 내는 사람이 더러 있는 것 같다. 한약(韓藥) 달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라면 끓이는 것과 비슷하다. 국 끓이듯이 물 붓고 좀 끓여서 국물만 마시면 된다. 한약(韓藥) 달일 줄 모르면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다. 첫째, 달이는 그릇은 무엇이든 상관없다. 꼭 약탕기(藥湯器)에 달여야 되는 것도 아니다. 예전에 쇠에 달이지 말라고 한 것은 쇠에 반응하는 약(藥)이 있기 때문이고, 요즘은 다 잡철(합금)이지 무쇠 그릇은 쓰지 않으니 상관없다. 알루미늄 냄비든, 스테인리스 냄비든, 코팅된 냄비든, 순두부찌개 뚝배기든, 유리 주전자든 음식 만드는 그릇은 전부 한약(韓藥)을 달여도 된다. 바닥만 좀 좁으면 그만이다. 바닥이 넓으면 약.. 2023. 11. 20.
기관지(氣管支, Bronchus)가 약하다. 기관지(氣管支)가 약한 아이들은 조금만 건조하거나 추운 공기를 만나면, 기침을 하고, 감기에도 쉽게 걸리며, 잘 낫지 않는다. 특히 기침감기에 잘 걸리는데, 쉽게 가라앉지 않고 오래가거나, 발열(發熱), 구토(嘔吐), 경련(痙攣), 관절통(關節痛), 근육통(筋肉痛) 등의 증세로 발전하는가 하면, 더 심하게는 천식(喘息), 폐렴(肺炎), 소아결핵(小兒結核), 백일해(百日咳) 등의 병 증세로 악화되기도 한다. 이처럼 기관지(氣管支)가 약해 평소에도 잔기침을 자주 하며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라면, 기관지(氣管支)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에도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하고, 온도차가 너무 심하게 나거나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잘 되도록 마른 수건으로 .. 2023. 11. 19.
물 마시는 효율적인 타이밍과 증세(症勢)에 따라 물 마시는 방법 오전 7시 눈을 떴을 때 한 컵의 물을 마신다. ⇒ 내장(內臟)이나 신경(神經) 같은 것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쾌적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 오전 9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물을 마셔서 세포(細胞)를 활성화시키고, 의욕(意慾)과 집중력(集中力)을 높이며, 머리 회전을 빠르게 한다. 오후 12시 식사(食事)를 하기 전에 반 컵의 물을 마신다. ⇒ 장(腸)이 자극을 받아 소화(消化) 기능이 높아진다. 오후 3시 1컵의 물을 마신다. ⇒ 피곤(疲困)이 풀리고, 심신(心身)이 재충전되면서 기력(氣力)이 부활한다. 오후 6시 운동(運動) 전후에 땀이 나온 만큼 보급해 준다. ⇒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운동(運動) 중이라도 물을 마시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오후 7시 저녁 식사 전에 술 대신에 물 반 컵을.. 2023. 11. 18.
물 마시기와 성인병(成人病) 한 컵의 물은 생기(生氣)를 되살려 줄 뿐 아니라, 생활 습관에 의한 병을 비롯해서 갖가지 질병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밤중에 뇌경색(腦梗塞), 오전 중에 심근경색(心筋梗塞) 발작이 일어나기 쉬운 것은, 자는 동안에 땀을 흘려 혈액(血液) 속의 수분(水分)이 줄어들어 혈액(血液) 농도가 올라가서 혈관(血管)이 막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뇌경색(腦梗塞), 통풍(痛風) 발작도 예방할 수 있다. 머리맡에 물병을 두고 자다가 밤중에 화장실 가기 위해서 일어났을 때, 한 컵 마시는 것은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시켜, 뇌경색(腦梗塞)이나 심근경색(心筋梗塞)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통풍(痛風) 발작도 물을 마셔서 예방할 수 있다. 통풍(痛風) 발작은 요산(尿酸) 배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혈액(血液).. 2023. 11. 17.
물(Water), 마시는 방법이 있다. ‘목이 마르다는 것은 몸속의 물이 부족하다는 경계 신호이다.’ 물을 마시는 것은 건강(健康)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 특히 피곤할 때는 혈액(血液)이나 체액(體液)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데, 그럴 때 물을 마시면 순환이 순조로워지기 때문에 영양(營養)과 산소(酸素)가 몸의 각 조직으로 충분히 전달되어 기운(氣運)을 되찾을 수 있다. 사람은 원래 물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이다. 몸속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태아(胎兒)의 경우 90%나 된다. 신생아(新生兒)는 75%, 성인(成人)은 약 65%이므로, 나이가 들면서 몸속의 수분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래도 50% 전후는 차지한다. 몸속의 물의 약 ⅔는 인체(人體)를 구성하는 약 60개조의 세포 속에 존재하며, 세포(細胞) 내부나 세포(細胞) 사이의 정보 전.. 2023. 11. 16.
자궁암(子宮癌, Uterine Cancer) 중년여성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것이 자궁암(子宮癌)이 아닌가 싶다. 요즘은 각종 유해환경과 스트레스 때문에 결혼 전인 여성에게도 자궁근종(子宮筋腫)과 자궁암(子宮癌)이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자궁암(子宮癌)에는 자궁경부암(子宮頸部癌), 난소암(卵巢癌), 자궁내막암(子宮內膜癌) 등으로 나뉜다. 자궁암(子宮癌)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자궁경부암(子宮頸部癌)으로 여성의 암(癌) 중에서 1위를 차지한다. 자궁암(子宮癌)은 성행위로 인해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주된 원인이라고 한다. 조기 결혼한 경우와 암(癌) 요인을 갖고 있는 남성과 결혼한 경우에도 암(癌)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피임제(避妊劑) 과용과 흡연(吸煙) 여성도 위험하다. ◉ 아가위(山楂) – 기혈순환(氣血循環) 작용으로 자궁암(子宮癌) .. 2023. 11. 15.
생리통(生理痛, Dysmenorrhea) 생리(生理) 때만 되면 힘들고 아프다며 생리통(生理痛)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많다. 주된 증상으로는 아랫배가 심하게 아프며, 허리가 끊어질 것 같고, 심지어는 두통(頭痛)과 부종(浮腫)이 생기며, 쉽게 피로(疲勞)를 느끼고 우울해지기까지 한다. 통계에 의하면 월경(月經)을 할 때 80%의 여성들이 여러 가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생리통(生理痛)이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생리통(生理痛)을 당연한 것이려니 하고 참거나, 통증(痛症)이 심하면 그때그때 진통제(鎭痛劑)로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 가볍게 지나쳐서는 안 된다. 몸이 차거나 월경(月經)이 불순한 사람들일수록 더욱 심하며, 자궁(子宮)이나 골반(骨盤)에 이상이 있어 생기는 것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2023. 11. 14.
목욕탕(沐浴湯)에서 주의할 점 더러 목욕탕(沐浴湯)에서 큰일 날 뻔하다 이야기를 듣는다. 늘 해 오던 냉온욕(冷溫浴)인데 그날은 냉탕(冷湯)에서 갑자기 몸이 움직여지지 않고 말도 나오지 않아 냉탕(冷湯)에서 필사의 탈출을 하여 목욕탕(沐浴湯) 바닥에 쓰러져 한참 만에 정신을 차린 예도 있고, 냉탕(冷湯)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심장(心臟)이 멈추는 듯하더니 얼굴에 열(熱)이 달아올라 그 뒤로 몇 달을 숨이 차서 고생했다는 사람도 있으며, 냉온욕(冷溫浴)을 한 뒤로 신경통(神經痛)이 악화(惡化)되었다는 말은 더더욱 흔히 들려온다. 고혈압(高血壓) 저혈압(低血壓)을 막론하고 위험하게도 한증탕(汗蒸湯)에서 나오다 쓰러지는 사람도 자주 입에 오르내린다. 일반적으로 냉온욕(冷溫浴)이 피부(皮膚)를 튼튼히 하고, 혈액순환(血液循環)을 개선하는 것으.. 2023. 11. 13.
자궁근종(子宮筋腫, Uterine fibroids) 아기를 가지면 아기가 자라는 집이 되는 자궁(子宮)은 점막과 근육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근육층에 생기는 혹을 자궁근종(子宮筋腫)이라고 한다. 30세 이상 여성 5명 중 1명은 자궁근종(子宮筋腫)이 있을 정도로 흔한 편이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 분비나 체질(體質)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자궁근종(子宮筋腫)이 있더라도 아무런 증상이 없으므로 모르고 근종(筋腫)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월경(月經)의 양이 많아지고, 월경통(月經痛)이 심해지며, 부정출혈(不定出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산부인과(産婦人科) 검진을 통해 자궁근종(子宮筋腫)의 유무를 체크하고, 자궁근종(子宮筋腫)이 발견되었다면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자궁근종(子宮筋腫.. 2023. 11. 12.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 Toxemias of pregnancy) 임신(妊娠) 중에 생기기 쉬운 이상이, 몸이 붓거나, 단백뇨(蛋白尿)가 나오고, 혈압(血壓)이 올라가는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이다. 임신(妊娠) 중에는 이런 증상이 있다가도 아기를 낳고 나면 대개는 가라앉는다. 그러나 임신(妊娠) 중에는 이런 증상을 그대로 두면 정도에 따라 많은 문제가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임신부(姙娠婦)의 사망 원인 1위가 바로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일 정도이다. 모체(母體)뿐만 아니라 태아(胎兒)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발육을 저하시켜 미숙아(未熟兒)가 생기거나 사산(死産)의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이 많이 생기는 8~10개월의 임신(妊娠) 말기에는 임신중독증(姙娠中毒症)이 나타나지 않는지 잘 봐야 한다. 짜게 먹거나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임.. 2023.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