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96

유황(硫黃), 살구씨 가루를 술에 개어 바른다. - 治酒齄 우리 속담에 “더운 술을 불고 마시면 코끝이 붉어진다.”는 말이 있다. 과연 코끝 빨개지는 것이 음주(飮酒)와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분명치 않다. 변비(便祕), 위장장애(胃腸障碍), 내분비(內分泌) 이상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그렇다고 누구나 다 주독코가 되지 않는 것을 보면 그것도 원인이라고 하기 힘들겠다. 변비(便祕)가 되지 않도록 음식물을 주의하고 따뜻한 물로 얼굴을 잘 씻고 비타민-B2를 주사(注射)한다는 등의 치료법을 요즘 책에서 볼 수 있지만 도무지 시원치 않다. 모든 병(病)이 다 그렇지만 원인이 분명치 않은 병(病)은 치료법도 시원치 않은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답답하면 이것저것 좋다는 치료를 해 보게 마련인데 그렇다고 나무랄 수도 없는 일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와.. 2025. 8. 30.
음주(飮酒)와 관계없고 건강(健康)에도 지장 없다. - 鼻齄 익살 가운데에도 애수(哀愁)를 담은 얼굴 표정으로 어릿광대 노릇을 하는 피에로(pierrot)라는 것이 있다. 얼굴에 흰 분 또는 붉은 물감을 칠하여 분장을 하며 특히 코끝을 빨갛게 한 것이 볼수록 우스꽝스럽다. 건강이나 기능에는 전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남 보기에 우습고 자기 자신도 그것 때문에 고민하게 되는 것이 비사증(鼻齄症)이다. 속칭 주독코라고 하는데 코끝, 코옆, 뺨 등의 피부(皮膚)가 빨개지고 기름기가 돌아 번질번질하게 된다. 보통 사람도 겨울에 추운 밖에서 실내로 들어올 때 코끝이 빨개지는 수가 있다. 정도에 따라서 제1도, 제2도, 제3도 등으로 나눈다. 제2도는 코끝의 모공(毛孔)이 넓어져서 귤껍질처럼 보이며, 제3도는 아예 코 자체가 주먹처럼 울퉁불퉁 커진다. 원인은 .. 2025. 8. 29.
경분(輕粉)에 식초(食醋)를 섞어 바르면 호취(狐臭)가 없어진다. - 호취(狐臭) 사람이란 정말로 복잡하고 미묘한 존재이다. 직접 건강(健康)이나 기능(機能)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일지라도 있어야 할 곳에 그것이 없다든가 체취(體臭)가 남보다 다르면 때로는 심각한 고민거리가 될 수 있다. 체취(體臭) 중에서도 액취(腋臭)가 가장 문제가 되며 묘령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때로는 결혼길이 막히는 조건도 도기도 한다. 이 같은 증상은 에포크린(apocrine) 한선(汗腺)의 분비(分泌) 이상으로 생긴다. 보통 사람도 에포크린(apocrine) 한선(汗腺)이 겨드랑이 밑, 젖꼭지 근처, 하복부(下腹部), 음부(陰部) 등에 분포되어 있다.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은 절개수술법(切開手術法), 전기분해법(電氣分解法) 등이 있으나 보통은 살균제(殺菌劑) 및 수렴제(收斂劑)가 들어 있는 연고(軟.. 2025. 8. 28.
세신(細辛) 뿌리 달인 물로 입을 헹궈 구취(口臭)를 없앤다. - 口臭 “냄새가 난다.”라는 표현이 있다. 싫증이 났다는 뜻이다. 아무리 좋아하던 남녀 사이일지라도 상대방의 체취(體臭)가 인식되어 싫게 느껴지기 시작하면 사이가 벌어지게 마련이다. 여러 가지 체취(體臭)가 잇겠지만 그 중에서도 입에서 나는 냄새와 겨드랑이 밑에서 나는 암내(腋臭)가 가장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육식(肉食)을 많이 하는 서양 사람들의 체취(體臭)가 강력하며 그래서 서양에서 가장 잘 팔리는 약(藥)이 겨드랑이에 바르는 암내(腋臭) 방취제(防臭劑)이며 몸에 뿌리는 로션 향수(香水) 또는 입에 넣고 씹는 껌 등이 많이 사용된다. 치약 CF도 입김을 향기롭게 하여 준다고 해야 어필이 된다. 구취(口臭)는 충치(蟲齒)라든가 잇몸에서 고름이 나는 치은염(齒齦炎), 치조농루증(齒槽膿漏症), 치아.. 2025. 8. 27.
갈증(渴症)을 풀어주고 소화(消化)를 돕는 궁중의 청량음료 – 醍醐湯 날씨가 덥고 온 전신이 나른하고 갈증(渴症)이 날 때 마시면 후련하게 가슴이 뚫리는 드링크제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 조상들의 계절에 따른 행사를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단오(端午) 때의 제호탕(醍醐湯)이라는 청량음료를 만들었다가 삼복더위 때에 복용한다는 풍습이 적혀 있다. “內醫院造醍醐湯進供”, 조선조 때 대궐 안의 약(藥)을 관장하는 부서를 내의원(內醫院)이라고 하는데 거기서 제호탕(醍醐湯)을 만들어 바친다는 뜻이다. 상감께서는 이 제호탕(醍醐湯)을 받아 측근에 있는 관속(官屬)들에게 나누어 주어 여름철을 잘 지내게 하였다. ‘醍醐湯解暑熱止煩渴 烏梅肉另末一斤 草果一兩 縮砂 白檀香 各五錢 煉蜜五斤 右細末入蜜 微沸攪勻 磁器盛 冷水調服’ 제호탕(醍醐湯)은 더워서 가슴이 답답하고.. 2025. 8. 26.
체질(體質), 음양(陰陽) 가려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 肉無補性 지남철(指南鐵)에 북극과 남극의 양끝이 있음으로써 언제나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고 전지(電池)에 양극과 음극이 있음으로써 전류(電流)가 흐르게 마련이다. 만약 전지(電池)가 기전(起電) 능력이 없어지면 양극도 음극도 없어지고 따라서 전류(電流)의 흐름도 없어진다. 살아 있는 생물체로 전지(電池)와 비슷하여 체내에서 전류(電流)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심전도(心電圖)니 뇌파(腦波)니 하는 것은 그와 같은 전류(電流)를 측정함으로써 진찰(診察)에 응용하는 것이다. 비단 전기(電氣) 현상뿐만 아니라 신경(神經)도 전연 성질이 반대인 교감신경(交感神經)과 부교감신경(副交感神經)이 대립되어 있다. 식염(食鹽)의 나트륨(Na)과 칼륨(K)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런 식으로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의 성질이 대.. 2025. 8. 25.
식욕(食慾)이 없으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 不嗜飮食 소화(消化)기능과 식욕(食慾)은 전신 건강상태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당뇨병(糖尿病)처럼 식사조절을 해야 할 경우에 너무 병적으로 식욕(食慾)이 좋아서 곤란한 예외도 있다. 그러므로 소화(消化)기능이 약해지고 식욕(食慾)이 신통치 않은 것을 단순히 위장병(胃腸病)으로 생각하여 소화제(消化劑)로 다스릴 것이 아니라 보다 더 근본적인 원기(元氣) 회복의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不嗜飮食 由下元陽衰 : 不進食 服補脾藥不効者 蓋腎氣怯弱 眞元衰削 是以不能消化飮食 譬之鼎釜之中置諸米殺 下無火力 終日米不熱其何能化’ 식욕(食慾)이 떨어져서 구미(口味)가 없는 것은 하초(下焦)의 원기(元氣)가 쇠약하기 때문이다. 식욕(食慾)이 없을 때 비위(脾胃)를 보(補)해 주는 약(藥)을 써 봐도 효과가 나타나지 .. 2025. 8. 24.
불섭생, 근심, 무절제가 원인 - 內傷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藥)이 소화제(消化劑)이다. 소화제(消化劑)는 소화불량(消化不良)에 사용하는 약(藥)이 아니냐고 하면 그만이지만 소화불량(消化不良)이 도대체 어떤 병(病)이냐고 하면 대답이 막힌다. 원인이 분명한 위장장애(胃腸障碍), 예컨대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술을 과음(過飮)한 후에 음식이 체(滯)해서 잘 내려가지 않아 트림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급성소화불량(急性消化不良)이라고 한다면, 이렇다 할 뚜렷한 위장병(胃腸病)도 없이 식욕(食慾)이 없고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아 전신(全身)에 기운(氣運)이 없는 사람들이 흔히 자기는 위장(胃腸)이 약해서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만성소화불량(慢性消化不良)이라고 할 수 있다. 소화불량(消化不良)은 하나의 증상이지.. 2025. 8. 23.
비과학적인 처방으로 의외의 효과를 얻는다. - 不畏寒 새로운 약물(藥物)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이러이러한 물질이 약(藥)이 될 것이라고 하여 그런 물질을 찾아내거나 또는 합성하여 만들어내는 방법이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무턱대고 모든 물질을 하나하나 약리실험을 하여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얼른 보기에는 합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특효약(特效藥)들은 대개 우연히 발견된 것들이 많다. 옛날 처방(處方)을 보면 얼핏 황당무계(荒唐無稽)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 많으나 그렇다고 과학적으로 실험도 안한 채 무턱대고 나쁘다고도 할 수 없는 노릇이다. ‘集鼠 : 蟹燒之致鼠 蟹以黑犬血灌之 三日燒之 諸鼠畢至’ 쥐를 모아들이는 방법 : 게를 태우면 쥐가 모여든다. 게에 검정개의 피를 뿌려서 3일 동안 태우면.. 2025. 8. 22.
올바른 식사(食事)와 약(藥)의 성질을 알면 병(病)을 물리칠 수 있다. - 食藥療法 전문의(專門醫) 제도는 현대의학의 소산이라고 생각할지는 모르나 이미 옛날부터 종의(腫醫), 침의(鍼醫), 약의(藥醫), 식의(食醫) 등의 구별이 있으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에 상약국(尙藥局)과 아울러 상식국(尙食局) 제도가 있어 식의(食醫)라는 직분이 있었다. 올바른 식사(食事)에 의해서 병(病)을 예방(豫防)하고 치료(治療)한다는 원칙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는 것이다. 다만 근래 수십 년 동안에 과학적인 화학 의약품의 발전이 너무나 눈부셨기 때문에 일시 약만능시대(藥萬能時代)가 되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약(藥)이 발달되면 그만큼 병(病)도 앞질러가니 그것이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되어가고 있다. ‘食藥療法 : 安身之本 必須於食 救疾之道 惟在於藥 不知食宜者不足以全生 不明藥性者不能以除病.. 2025. 8. 21.
우선 음식(飮食)으로 병(病)을 다스리고 그 다음 약(藥)을 쓴다. - 食療治病 사람이 생명(生命)을 유지하는 것은 결국 식사(食事) 때문인데 그 식사(食事)가 올바르지 못하면 한평생 사는 동안에 건강(健康)과 수명(壽命)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리라는 것은 상상하고도 남음이 있다. 미국에서 골수암(骨髓癌)을 현미식(玄米食)을 주로 하는 식이요법(食餌療法)으로 완치(完治)시켰다고 하여 크게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균형(均衡) 잡히지 못한 식사(食事) 때문에 병(病)이 생기는 것이라면 식사(食事)의 균형(均衡)을 되찾아줌으로써 병(病)을 치료한다는 발상은 가장 이치에 합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진의(眞意)에서 나온 말인지는 모르나 괴테가 “사람은 그가 먹는 음식(飮食)을 보고 알 수 있다.”라는 말을 하였다. 아닌 것이 아니라 식사(食事) 패턴을 보면 그 사람의 건강(健.. 2025. 8. 20.
토종꿀만 진짜 꿀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 白蜜 천연 감미료로써 꿀처럼 좋은 것이 없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거의 완벽한 건강식(健康食)으로서의 성분과 효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부터 꿀을 높이 평가하여 살기 좋은 복지를 형용할 때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하였다. 우리 일상생활의 식탁에도 꿀이 좀 더 많이 보급되었으면 좋겠는데 그러려면 꿀에 대한 우리의 의식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 ‘양봉(養蜂)은 꿀이 아니고 진짜 꿀은 바위틈이나 고목 구멍에서 발견된 토종꿀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이런 완고한 생각 때문에 양봉업(養蜂業)이 크게 발전되지 못하고 가짜 꿀이 횡행하는 전근대적인 풍경이 아직도 남아 있는 것이다. ‘白蜜 主安五臟 益氣補中 止痛解毒 除衆病 和百藥 養脾氣 止腸澼療口瘡 明耳目’ 꿀은 오장(五.. 2025. 8. 19.
치질(痔疾)은 식생활 개선으로 고칠 수 있다. - 治病治法 병원의 외과(外科)를 찾는 환자의 약 60%가 치질(痔疾)환자라고 할 정도로 치질(痔疾)을 앓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다. 치질(痔疾)은 직장(直腸) 하부 항문(肛門) 근처의 혈액순환(血液循環)이 나빠서 울혈(鬱血)되어 정맥(靜脈)이 부풀어 올라 생긴다. 원인은 산성식품(酸性食品), 예컨대 쌀밥, 육류(肉類) 등의 과식(過食), 전신(全身)의 울혈(鬱血), 직장(直腸) 점막(粘膜)의 만성적인 자극, 술이나 매운 음식, 운동(運動) 부족, 직업상 하루 종일 앉아 있거나 서 있어야 할 때, 동물성 지방(脂肪)의 과잉 섭취, 전립선비대(前立腺肥大), 부인(婦人)인 경우에는 임신(妊娠) 때에 자궁(子宮)이 팽창되어 항문(肛門) 근처의 혈액순환(血液循環)이 나빠져서 생긴다. 치질(痔疾)의 예방은 .. 2025. 8. 18.
포식(飽食)하면 원기(元氣)를 손상시킨다. - 食傷症 휘발유를 적게 소비하면서 잘 달리는 자동차가 연비가 좋은 차이며, 차를 운전할 때에 일부러 필요 이상의 휘발유를 태우는 사람은 없을 것이며, 그렇게 하면 쓸데없이 낭비가 될 뿐만 아니라 엔진 수명에도 좋지 않다는 것은 상식으로 되어 있다. 사람이 매일 식사(食事)를 하는 것도 이와 비슷한 관계에 있어서 매일 필요로 하는 칼로리 이상의 음식물을 섭취하면 쓸데없이 체중(體重)만 증가시키고 동맥경화(動脈硬化)를 일으킨다. 물론 체격(體格)이 형성되는 젊은 나이 때는 필요 이상의 칼로리가 체구(體軀)를 형성하는데 이용되지만 중년 이후에는 그럴 필요가 없다. 그런데도 우리가 지니고 있는 관념이 식사(食事)를 많이 할수록 그것이 기운(氣運)이나 정력(精力)이 되어 어딘가 저장되리라 생각하고 있으니 한심하다고 .. 2025. 8. 17.
육체(肉體)와 정신(精神)이 잘 조화되어야 천수(天壽)를 누린다. - 壽夭之異 요즘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壽命)도 꽤 길어져서 70세 가까이 되었다는 것은 경하할 만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노인 인구도 점차 늘어나 노인복지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할 때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생각할 일은 평균 수명(壽命)이 증가되었다는 것이 사람의 수명(壽命) 한계가 늘어났다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 타고난 천수(天壽)가 120세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으나 예나 지금이나 타고난 수명(壽命)을 고스란히 사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매한가지이다. ‘壽夭之異 : 上古之人 春秋皆度 百歲而 動作不衰 今時之人 年半百而動作皆衰者 時世異耶 人將失之耶 上古之人 其知道者 法於陰陽 和於術數 飮食有節 起居有常 不妄作勞 故能形與神俱而 盡終其天年度百歲乃去’ 수명(壽命)이 사람에 따라 길고 .. 2025.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