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45

치질(痔疾)은 주색(酒色)과 깊은 관계가 있다. - 洗痔法 우리 속담에 “치질(痔疾) 앓는 고양이 모양 같다.”라는 말이 있다. 주제꼴이 매우 초라한 것을 형용하는 말인데, 치질(痔疾)이 그만큼 귀찮고 거북한 병(病)이기 때문이다. 웬만한 중년 이후의 신사, 숙녀치고 치질(痔疾) 없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치질(痔疾)은 흔하며 간단한 치열(痔裂) 정도에서부터 수치질(牡痔, 痔核), 암치질(牝痔, 痔瘻), 탈항증(脫肛症)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여러 가지 있어 귀찮고 깨끗하지 못한 병(病)이다. 덧나면 항문(肛門) 주위염이 될 수 있고, 결핵성(結核性) 치질(痔疾)은 좀처럼 치료되기가 힘들다. 치질(痔疾)은 주색(酒色)과도 관계가 깊다. ‘醉飽入房 精氣脫泄 淫極入房 致傷’ 술이 취해서 성교(性交)를 하여 정기(精氣)가 지나치게 빠지거나 음사(淫思)가 극도로 .. 2025. 6. 25.
황달(黃疸)의 원인과 종류에 따라 치료법도 다르다. - 黃疸有五 황달(黃疸)이 생기면 누구나 겁을 먹게 마련이다. 소변(小便)이 빨개지고 피부(皮膚)가 누렇게 되며 특히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되면 황달(黃疸)이다. 황달(黃疸)은 여러 가지 병(病)에 의해서 생기는 하나의 증상(症狀)이지 그 자체가 병(病)의 이름은 아니다. 정밀한 검사(檢査)와 진찰(診察)에 의하여 황달(黃疸)이 생긴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현대의학에서도 황달(黃疸)을 비담증성(非膽汁性) 황달(黃疸), 간세포성(肝細胞性) 황달(黃疸), 기계적(機械的) 황달(黃疸) 등으로 나누고 그것이 또 각각 여러 가지 병(病)으로 분류된다. 가령 갓난아기의 황달(黃疸)은 초생아(初生兒) 황달(黃疸)이라고 하여 비담즙성(非膽汁性) 황달(黃疸)의 생리적(生理的)인 것이고, 바이러스성 간염(.. 2025. 6. 24.
철따라 자고 깨는 시간도 다르다. - 四時節宜 늦잠을 자지 않고 새벽 일찍 일어는 것이 건강(健康)에 좋다고 하여 무턱대고 남들이 아직 잠자고 있는 시간에 깨서 부산을 떠는 것은 딴사람에게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무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자고 깨고 하는 것은 우리의 생활 리듬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생활 리듬(사람의 생리(生理)가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바이오리듬이라고 한다.)은 계절 따라, 그날의 일기 따라, 또는 몸의 형편 따라서 가감이 있어야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결같이 하려고 하다가는 건강(健康)을 해친다. 잠에서 깨어나도 수면(睡眠)을 지배하는 대뇌(大腦)의 일부가 깨어났을 따름이지 몸 전체의 기능은 아직 잠자고 있는 상태가 있다. 가령 자율신경(自律神經)만 하더라도 낮에 활동할 때.. 2025. 6. 23.
병(病)은 병자(病者)가 이겨내야 한다. - 有病不治得中醫 “병(病)은 자연(自然)이 고치고 돈은 의사(醫師)나 약사(藥師)가 번다.”라는 말이 있다. 그야말로 병(病)을 치료(治療)하느라고 고생하는 의사(醫師)나 약사(藥師)가 들으면 노발대발할 불손한 말이겠다. 그러나 사실 병(病)은 환자(患者)가 지니고 있는 ‘자연요능(自然療能)’에 의하여 낫는 것이고, 치료(治療)는 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병(病)은 병자(病者)가 이겨내야지 대리전쟁에 의해서 병(病)이 물러가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균(菌)을 잘 죽이는 항생제(抗生劑)를 물 쓰듯 하더라도 환자(患者) 체내(體內)에서 균(菌)과 싸워 이기려는 백혈구(白血球)의 식균(食菌)작용이라든가 면역성(免疫性)이 생기지 않으면 균(菌)을 소탕할 수 없는 것이다. 치료(治療)를 잘.. 2025. 6. 22.
양(陽)은 생기(生氣)이고, 음(陰)은 사기(死氣)가 아니다. - 以肉補陰 얼굴의 근육(筋肉)만 보더라도 좌우 양쪽에서 서로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얼굴 표정이 균형 잡힐 수 있다. 만약 오른쪽 근육(筋肉)이 마비(痲痺)가 되면 얼굴이 왼쪽으로 찌그러지게 마련이며 입도 왼쪽으로 비뚤어진다. 우리의 자율신경계(自律神經系)도 교감신경(交感神經)과 부교감신경(副交感神經)의 대립 가운데서 평형(平衡)이 유지된다. 혈액(血液)이나 체액(體液)도 산성물질과 알칼리성물질의 평형에 의하여 언제나 일정한 수소이온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균형이 깨져서 심한 산성이 되거나 알칼리성이 되면 병(病)이 생긴다. 이와 같이 서로 대립되는 두 가지 성질을 동양 철학에서는 음(陰)과 양(陽)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인체(人體)는 음양(陰陽)이 균형 가운데서 성립된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이와.. 2025. 6. 21.
잣을 장복하면 몸이 산뜻해지고 오래 산다. - 海松子 우리 속담에 호강스럽게 자라났다는 표현을 “돈피(獤皮)옷 잣죽에 자랐느냐”라고 하는 것이 있다. 돈피(獤皮)는 노랑 담비의 모피(毛皮)이며 가장 비싼 것으로 되어 있는데 요즘으로 말하면 밍크코트에나 해당되는 것일까? 잣죽 먹는 것이 역시 사치스러운 조건이 되어 있다. 또 “진잎죽 먹고 잣죽 트림한다.”라는 속담은 실상은 보잘 것 없으면서도 겉을 훌륭한 것처럼 꾸민다는 형용인데 여기에서도 잣죽이 나온다. 이렇게 잣죽은 예부터 귀하고 비싼 것으로 되어 왔다. 잣을 해송자(海松子)라고 하며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특산으로 되어 있어 신라(新羅) 때부터 우리의 잣이 진상품 또는 교역상품으로 중국에 건너간 기록이 사서나 기록에 많이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잣을 신라송자(新羅松子)라고도 하였다. 지금부터.. 2025. 6. 20.
고혈압(高血壓)과 당뇨병(糖尿病)의 원인은 체중(體重) 때문이다. - 肥人多中風 중년 이후의 건강관리 지표로서 가장 중요한 것이 체중(體重)이다. 표준체중(標準體重)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유지되는 상태는 건강(健康)이 순조롭게 관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즘 큰 생산 공장의 제조과정 품질관리를 이런 식으로 몇 개의 지표를 설정하여 그래프를 그려 나감으로써 곡선이 오르고 내리는 것을 보고 자동적으로 관리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 이런 QC-차트는 인체건강 관리에도 필요한 것이다. 이미 상식화되어 있지만 다시 되풀이하면 ㎝로 나타낸 신장(身長)에서 100을 빼고 거기에 0.9를 곱한 숫자를 ㎏으로 표시한 것이 표준체중(標準體重)이 된다. 너무 적은 감이 있어 100만 뺀 것을 표준으로 삼는 사람도 있다. 이런 표준체중(標準體重)보다 20%가 많으면 비만증(.. 2025. 6. 19.
부인병(婦人病)은 남자병(男子病)보다 열 곱절 치료하기 어렵다. - 婦人雜病 여자(女子)가 남자(男子)와 다를 것이 무엇이냐, 남자(男子)가 하는 일이라면 여자(女子)도 모두 다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남녀동권(男女同權)이란 위험천만이다. 남자(男子)와 여자(女子)는 생리(生理)부터 다르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인생이나 사회에 있어서의 직분도 구별되게 마련이다. 같은 약(藥)을 복용하더라도 남자(男子)와 여자(女子)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오고 더욱이 여자(女子)일 경우에는 사춘기(思春期), 임신(妊娠), 수유(授乳), 월경(月經) 등에 따라서 약(藥)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이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女性)의 병(病)은 치료하는 것은 남자(男子)의 열 곱절 더 힘들다고 하였다. ‘婦人之病 與男子十倍難療 以其嗜慾多於丈夫 感病倍於男子 加以疾妬憂恚 慈戀 愛憎 .. 2025. 6. 18.
영양보충도 좋지만 소통이 잘 되어야 한다. - 三仁粥 변비(便祕)가 건강(健康)에 나쁘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으며 옛사람들도 변비(便祕)를 원인에 따라 실비(實秘)와 허비(虛秘) 또는 양결(陽結)과 음결(陰結)의 두 가지로 나누어 여러 가지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천 개의 약방문(藥方文)이 나와 있으나 대개 모두 중국의 의학 원전(原典)에서 뽑아낸 것들인데, 그 중 ‘속방(俗方)’이라고 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처방이 보석처럼 빛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것을 보면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저자인 허준(許浚)은 지식이 해박하고 경험이 깊을 뿐만 아니라 독창성 있는 학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동의보감(東醫寶鑑)이 현재 중국에서까지 귀중한 문헌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변비증(便秘症) 처방 중에서.. 2025. 6. 17.
술로 생긴 설사(泄瀉)는 큰일나기 전에 술을 절제하라. - 酒泄 우리 인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증상은 모두 원인과 뜻이 있어 생기는 것이지 저절로 생기는 것은 하나도 없다. 가령 어느 날 새벽에 배가 살살 아프더니 설사(泄瀉)를 했다고 하자. 앞뒤 생각할 것 없이 설사(泄瀉)니까 설사(泄瀉)를 멈추는 약(藥)을 먹으면 되겠지 하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 짧은 소견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설사(泄瀉)라는 증상은 같더라도 원인은 천차만별로 다르다. 원인을 다스리지 않고 말단의 증상만 다스리려고 하는 임시변통(臨時變通)적 치료법을 대증요법(對症療法)이라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도 설사(泄瀉)의 종류를 무려 20여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약(藥) 처방도 다르게 나와 있다. 설사(泄瀉)가 생기는 부위(部位), 원인(原因), 증상(症狀)에 따라 “위설(胃.. 2025. 6. 16.
인류가 반건강(半健康)에 빠져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 治心療法 오늘날 그렇게도 의(醫)와 약(藥)이 발달되고 건강법(健康法)이 보급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온 천하가 ‘반건강(半健康)’에 빠져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생명(生命)에 대한 철학(哲學)이 빈곤하기 때문이다. 서양 속담에 “사람의 병(病)을 고치는 사람으로서 철학(哲學)을 지닌 사람은 신(神)에 가까운 존재이다.”라는 말이 있다. 오늘날의 건강법(健康法)은 양형(養形)만을 알고 양신(養神)을 무시하고 있다. 육체적(肉體的)인 건강법(健康法)만 알고 정신적(精神的)인 건강법(健康法)을 모르고 있다. 정신(精神)작용이 건강(健康)과 병(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현대의학에서도 입증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기쁜 일이다. “심지(心志)를 양(養)함은 양(養)의 상(上)이요, 체구(體軀)를 양(.. 2025. 6. 15.
일상생활 가운데 건강(健康)의 비결이 있다. - 養生五難 요즘 세대는 휴대폰을 통해서 건강법(健康法)의 토막 지식을 접하는 날이 많고, 텔레비전이다, 헬스클럽이다, 강습회다 온통 건강(健康)에 대한 관심으로 천지가 가득 차 있는 느낌이 든다. 옛날에도 그랬던지 “불구수이자연차양생지대지야(不求壽而自延此養生之大旨也 : 건강(健康), 건강(健康) 외치지 않으면서도 자연적으로 수명(壽命)이 연장되어 장수(長壽)하게 되는 것이 바로 양생법(養生法)의 올바른 길이다.)”고 하였다. 건강(健康)은 멀고 어려운 곳에서 찾으려고 할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가운데서 건강(健康)에 해로운 것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건강(健康)의 비결이라고 하였다. 건강(健康)을 해치는 다섯 가지 조건을 들고 있다. ‘養性有五難 名利不去爲一難 善怒不除爲二難 聲色不去爲三難 滋味不絶爲四難 神虛.. 2025. 6. 14.
기생충(寄生蟲)은 음식 잘못으로 생긴다. - 九蟲 옛사람들이 인체(人體) 내에 생기는 기생충(寄生蟲)을 얼마나 무서워하였는가는 삼시충(三尸蟲)이라고 하여 몸 안에 세 가지 벌레가 있는데 “능히 귀영(鬼靈)과 상통하여 항시 외사(外邪)를 접인(接引)함으로써 병(病)이 생기게 한다.”라는 표현만 보더라도 짐작할 수 있다. 옛 책에 기록되어 있는 기생충(寄生蟲)의 종류를 보면 삼충(三蟲)을 비롯해서 오장충(五藏蟲)이나 구충(九蟲)이니 또 십이종충(十二種蟲)이니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오늘날의 기생충학자 못지않게 관심이 컸었음을 엿볼 수 있다. ‘九蟲 : 諸蟲皆因 飮食不節 或過食腥膾生冷以致積 久成熱濕熱熏蒸痰瘀凝結 隨五行之氣 變化而爲諸般奇怪之形 其名有九’ 아홉 가지 기생충(寄生蟲) : 아홉 가지 기생충(寄生蟲)은 모두 음식 조심을 하지 않거나 또는 생선회, .. 2025. 6. 13.
월경(月經)이 통해야 음양(陰陽)이 합해진다. - 經行有異 여성 건강(健康)에 있어서 매달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생리(生理)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 요즘 소녀들이 조숙(早熟)하여 생리(生理) 시작이 빨라졌다고 하지만 옛날에도 ‘부인년이칠(婦人年二七) 천계지칠칠천계갈(天癸至七七天癸竭)’이라고 하여 여자는 이칠이 십사세(二七而 十四歲)면 천계(天癸)가 시작되고, 칠칠이 사십구세(七七而 四十九歲)가 되면 폐경(閉經)이 된다고 한 것을 보면 예나 지금이나 개인차는 다소 있을망정 크게 변동은 없는 것 같다. ‘月事通行則陰陽和平合始能生子 行年十四歲當時二十歲不行 命如風燭有病發則死 間有不死百中無一 亦令一生多病未嘗一日安裕’ 월경(月經)이 통하게 되면 음양(陰陽)이 합해져서 임신(妊娠)을 하게 되며 14세로부터 20세에 이르기까지에 생리(生理)가 시작되지 않으면 수명(壽命).. 2025. 6. 12.
의학(醫學)보다 미신(迷信)을 더 믿는 사람 – 六不治 병(病)을 치료하려면 고명한 의사(醫師)와 정확한 약물(藥物)요법이 있어야 함은 말할 나위도 없지만, 이러한 치료를 받는 환자(患者) 자신의 몸과 마음가짐이 더욱 필요하다. 창공(倉公)이라는 옛날 명의(名醫)는 ‘삼불치(三不治)’라고 하여 병(病)을 고칠 수 없는 3가지 경우를 주장을 했었고, 전국시대의 편작(扁鵲)은 ‘육불치(六不治)’라고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하고 있다. ‘扁鵲曰 病有六不治 驕恣不倫於理 一不治也 輕身重財 二不治也 衣食不能適 三不治也 陰陽幷藏氣不定 四不治也 形臝不能服藥 五不治也 信巫不信醫 六不治也’ 편작(扁鵲) 가라사대 병(病)에는 여섯 가지 불치(不治)의 경우가 있다. 첫째 불치(不治)는 교만(驕慢)하고 방자(放恣)하여 도리에 어긋나는 짓을 하는 경우이고, 둘째 불치(不治)는.. 2025.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