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방 칼럼269

수험생의 빈혈(貧血) 대책은 혈색소 농도가 정상 범위의 최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빈혈(貧血)이라 한다.  여기에는 철결핍성(鐵缺乏性) 빈혈(貧血), 재생불량성(再生不良性) 빈혈(貧血), 용혈성(溶血性) 빈혈(貧血), 악성(惡性) 빈혈(貧血) 등이 있는데, 수험생에게는 주로 철결핍성(鐵缺乏性) 빈혈(貧血)이 많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서 많다.  빈혈(貧血)이 있으면 쉽게 피로(疲勞)하다, 운동하면 호흡곤란(呼吸困難)이 온다, 어지럽다, 귀가 울린다, 두통(頭痛)이 있다, 심장(心臟)이 두근두근 빠르게 뛴다, 안색이 창백하다, 미열(微熱)이 있다, 잘 붓는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철분이 부족하면 주의력이 산만해지고, 지능 테스트나 학업 성취에 나쁜 영향 주는 사례 등이 발견되고 있다. 그래서 이런 면에서의 철분 공급에 .. 2024. 9. 2.
스트레스로 미열(微熱)이 날 때 수험생들도 직장인 못지않게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  이렇게 스트레스가 쌓이면 신진대사(新陳代謝)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기능적 무형의 응어리가 맺히는데, 이를 ‘간기울결(肝氣鬱結)’이라 한다.  이때에는 미열(微熱)이 생기며 양 뺨과 이마가 발그스레하게 홍조(紅潮)를 띠는데 뚜렷한 발열(發熱) 상태가 아니므로 그냥 지나치기 쉽다.  그대로 방치하면 머리가 무겁고 멍해지며 어지럽고 심한 피로(疲勞)를 느끼게 된다.  또 눈이 충혈(充血)되거나 침침해지고 귀가 울리며, 입이 마른 증상이 나타난다.  콧속도 건조해져 코딱지가 잘 생기고 그러다보니 코피가 잘 난다.  또한 간기울결(肝氣鬱結)은 비위장(脾胃腸) 소화기(消化器) 기능을 정상 궤도에서 일탈시켜 비장(脾臟) 기운은 상승하는 대신 아래로 내려가 가.. 2024. 9. 1.
수험생의 마음이 불안정할 때는 수험생의 심신 불안정증은 일률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두통(頭痛), 두중(頭重), 두훈(頭暈)을 호소한다.  두통(頭痛)은 한쪽 머리에 통증이 오기보다는 백회(百會) 경혈과 양쪽의 태양(太陽) 경혈을 잇는 삼각형 부위에 통증이 오는 경향이 더 많다.  백회(百會) 경혈은 정수리 중앙 부위이고,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 끝과 귀 사이의 오목한 부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두통(頭痛) 호소 범위는 주로 정수리부터 이마와 눈초리 그리고 관자놀이 둘레인 것이다.  두중(頭重)은 머리가 맑지 않고 무거워 무엇을 뒤집어 쓴 것 같거나 안개 속에 갇힌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두훈(頭暈)은 뇌(腦)가 출렁이는 듯 또는 빙글 도는 듯 어찔하며 눈까지 아물아물한다.  이밖에 초조(焦燥), 우.. 2024. 8. 31.
수험생의 건강한 여름나기 여름나기 어렵다는 수험생들이 많은데, 그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방, 설탕, 청량음료, 빙과류 따위를 선호할수록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결핍되며, 둘째, 더위와 스트레스로 글리코겐이 감소되고 젖산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특히 더위를 몹시 탄다든가 아토피성 체질인 경우에는 더 심하다.  여름을 타면 머리가 무겁고 맑지 못하며, 자주 졸리고 눕고만 싶으며, 하품을 자주 한다.  또한 기억력이 떨어지며, 매사에 의욕이 없고 초조하며, 화를 잘 내고 끈기가 없어진다.  뿐만 아니라 눈꺼풀이 잘 떨리고 다리에 쥐가 잘 나며 항상 미열(微熱)을 느끼고 우울하다.  이렇게 여름나기 힘든 수험생에게 가장 좋은 식품은 까치콩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까치콩은 소화(消化)기능을 보하고 .. 2024. 8. 30.
수험생 건강관리, 봄과 여름이 중요하다. 수험생 건강은 봄과 여름에 다잡아야 한다.  춘곤증(春困症)이나 주하병(注夏病)이 있으면 학습 능률이 저하되며 졸립거나 괜히 나른하여 긴 세월 다 놓치고 막상 시험이 코앞에 닥치면 발을 동동 구르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춘곤증(春困症)이나 주하병(注夏病)에 걸리면 피곤(疲困)하다.  머리가 무겁고 맑지 못하다.  자주 졸립고 눕고만 싶다.  하품을 잘 하고 기억력이 떨어진다.  매사에 의욕이 없고 초조하다.  짜증만 나고 끈기가 없다 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럴 때에 쓸 수 있는 처방이 많으므로 빨리 한의사(韓醫師)의 진찰을 받도록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재되어 있는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과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이 있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은 황기(黃芪) .. 2024. 8. 29.
기억력(記憶力)을 증진시키려면 기억력을 좋게 하기 위해 총명탕(聰明湯)을 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총명탕(聰明湯)은 수험생 건강을 도맡을 만한 대표적인 처방은 아니다.  수험생 건강관리 요령은 첫째, 체력과 기억력 증진, 둘째, 수면 조절과 신경 안정, 셋째, 성적 충동 억제 이렇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수험생을 위한 보약을 조제할 때는 이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자면 한의사(韓醫師)의 진찰을 받아 개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데, 체력 보강을 위해서는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이나 팔물탕(八物湯)을, 기억력 증진을 위해서는 귀비탕(歸脾湯)이나 총명탕(聰明湯)을, 수면 조절과 신경 안정을 위해서는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등을 쓸 수 있다.  이것은 모든 동의보감(東醫寶鑑) 처방으로, 어떤 처.. 2024. 8. 28.
수험생은 뱀장어를 많이 먹자. 영국의 마이클 크로포드 박사는 “생선의 DHA가 뇌(腦)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시 말해서 뇌세포(腦細胞) 구성 성분의 하나인 DHA는 뇌세포(腦細胞)의 막(膜)구조를 연하게 하는데, 뇌세포(腦細胞)의 세포막(細胞膜)이 유연하게 되어 정보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 기억력이 좋아지고 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선을 많이 먹으면 학습 기능이 높아지고 머리가 좋아진다.  이 성분의 적정 섭취량에 대해선 정설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1주일에 다섯 끼 이상 생선을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DHA가 많이 들어 있는 생선으로는 참치, 꽁치, 정어리, 뱀장어 등이 있는데, 특히 뱀장어는 허로증(虛勞症)을 다스리는데 좋다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강조하고 있.. 2024. 8. 27.
두뇌(頭腦) 건강에 좋은 정신환(精神丸) 당질(糖質)은 포도당(葡萄糖)으로 분해되어 뇌(腦)에 공급되며 뇌(腦) 활동을 위한 에너지원이 된다.  뇌(腦)는 그 활동의 에너지원으로서 아무 영양분이나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옛날의 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기구가 있어서 엄하게 체크하므로 포도당(葡萄糖)만이 통과된 후 변환되어 지질(脂質)이나 단백질(蛋白質)로써 뇌세포(腦細胞)에 정착하게 된다.  따라서 당질(糖質)을 많이 섭취해야 수험생의 두뇌(頭腦) 건강 증진에 좋다.  한편 뇌세포(腦細胞)는 60%가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시로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을 받아 들여야 할 구조로 되어 있다.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이 부족하게 되면 그 대용품으로 품질이 좋지 못한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을 받아들이게 된다.  집.. 2024. 8. 26.
수험생 건뇌보폐(健腦補肺) 간식 건뇌보폐(健腦補肺) 간식은 두뇌(頭腦)를 맑게 하고 호흡기(呼吸器)를 보하는 간식을 말한다.  여기에는 잣, 호두, 은행, 곶감, 올리브의 다섯 재료가 있는데, 이들을 모둠하면 훌륭한 건뇌보폐(健腦補肺) 간식이 된다.  잣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해송자(海松子)’라 하고 기운을 돋운다고 했다.  그만큼 잣은 칼로리가 높고 비타민-B군도 풍부하며, 비타민-E, 철분, 양질 단백질 등도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입맛을 돋우고 체력을 키우며 말라서 기력이 없을 때 좋다.  또한 잣은 신진대사(新陳代謝)를 활발하게 하고, 눈이 충혈(充血)되거나 부시고 침침한 것을 없애준다.  입 안이 잘 헐거나 혓바늘이 돋는 것을 막고, 성장발육(成長發育)을 도울 뿐 아니라 월경(月經)도 정상으로 유도하고 생리통(生理痛)을 .. 2024. 8. 25.
머리 좋아지는 식품 요오드가 부족하면 발육부전(發育不全) 및 지능계발(知能啓發)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해조류(海藻類), 패류(貝類) 등을 많이 먹도록 한다.  해조류(海藻類)는 조혈(造血)작용을 하고 뇌(腦)에 맑은 혈액(血液)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패류(貝類)는 ‘바다의 현미(玄米)’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높은 건뇌(健腦)식품이다.  그리고 뇌(腦)의 노화(老化)를 예방하는 세라늄은 버터를 비롯해 동물의 간(肝), 청어, 마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자주 먹도록 한다.  이 식품들은 비타민-E와 함께 먹으면 세라늄 섭취가 강화되지만 가열하면 성분이 파괴된다.  비타민-E는 건뇌(健腦)작용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성분으로, 특히 열매기름에 많다.  따라서 참깨, 해바라기씨, 아몬드, 소맥 배아유 등을 많이 섭취하도록.. 2024. 8. 24.
두뇌(頭腦) 활동 촉진과 체력 보강하기 「머리가 좋아지는 비결」이라는 책을 보면 “단백질은 글루탐산으로 분해되며, 글루탐산에서 특히 뇌수(腦髓)에서만 있는 반응으로 ‘가바(GABA)’라는 것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 효소(酵素)가 작용하는데 이것은 대개 보효소(補酵素)가 있어야 작용한다.”라고 다소 어려운 설명하면서 보효소(補酵素)는 비타민-B류라고 했다.  다시 쉽게 풀이한다면 머리를 좋게 하려면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아울러 비타민-B류를 함께 고루고루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단백질이 부족하면 체력(體力)이 약해지고 의욕(意慾)이 떨어져 두뇌(頭腦) 활동이 저하된다고 한다.  또한 비타민-B류가 부족하면 뇌(腦)나 신경(神經)으로 에너지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므로 정서불안(情緖不安)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며, 집중력(集中力)과 .. 2024. 8. 23.
두통(頭痛)을 해소하는 지압법 두통(頭痛)에는 지압(指壓)이 좋다.  지압(指壓)은 태양(太陽), 풍지(風池), 풍부(風府), 태충(太衝), 내관(內關), 용천(湧泉) 경혈을 중심으로 세게 누르지 말고 가벼운 압력으로 10초씩 지속적으로 3회 정도 한다.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와 귀 중간에 있는데, 무엇을 씹으면 움직이는 곳이다.  이 부위는 신경(神經)이 예민해졌을 때 퍼런 핏줄이 불룩 튀어 나온다.  따라서 기분(氣分)의 울체(鬱滯)나 울화(鬱火), 분노(忿怒)에 의한 두통(頭痛) 등 스트레스성 두통(頭痛)에 효과가 있다.  풍지(風池) 경혈은 유양돌기(乳樣突起) 뒤쪽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곳인데, 유양돌기(乳樣突起)란 귀 뒤에서 뒷머리카락 쪽에 있는 엄지손톱 크기의 둥근 돌기이다.  풍부(風府) 경혈은 좌우 두 .. 2024. 8. 13.
당뇨(糖尿) 환자의 건강법 어린이 당뇨(糖尿)는 5세 전후와 12~13세 전후에 발병하는 예가 많은데, 발육 및 성장에 지장이 오고 영양상태도 나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절식과 운동을 열심히 하고, 비만아(肥滿兒)를 제외하고는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젊은이의 당뇨(糖尿)는 일반적으로 야윈 타입으로 비교적 혈당치가 높아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糖尿病)이 많다.  하지만 젊음의 꿈과 용기를 잃지 말고 당뇨병(糖尿病)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익히고 의욕적으로 컨트롤해야 한다.  포부를 한껏 펼쳐야 할 젊은 때부터 평생 규제를 받아야 하는 것은 큰 충격이겠지만 체중 조절에 신경 쓰고 당뇨(糖尿)가 악화되는지, 에너지 설치가 적은지 식별해 대처한다.  또한 인슐린 주사로 인한 저혈당(低血糖) 위험이 있으므로 당질 높은 식품을.. 2024. 8. 12.
요통(腰痛)의 일상생활 주의, 이렇게 하라.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누워 잘 때는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눕는 것이 좋다.”고 했다.  그러므로 옆으로 누워 밑의 다리는 펴고 윗다리는 가볍게 구부려 자도록 한다.  똑바로 누워 잘 때는 무릎을 가볍게 구부려 밑에 쿠션을 넣도록 한다.  매트는 엉덩이가 아주 조금 파묻힐 정도로 딱딱한 것이 좋고, 너무 푹신하거나 너무 높거나 너무 작은 베개는 좋지 않다.  베개와 목 아래에 틈새가 있을 때는 타월을 말아 그 사이에 넣는다.  아침 기상 때는 누운 채 무릎을 세우고 한쪽과 또 다른 쪽으로 다리를 넘어뜨리는 허리이완 체조로 몸을 푼다.  그런 다음 팔로 매트를 집은 채 상체를 떠받쳐 일어난다.  세수할 때는 받침대 위에 한쪽 다리를 올리거나 샤워로 세수, 세발을 대신한다.  양말이나 스타킹, 바지는 앉아서 .. 2024. 8. 8.
관절염(關節炎)에는 찜질이 좋다. 관절(關節)이 붓고, 열(熱)이 나며, 벌겋게 성나고, 아픈 것이 관절염(關節炎)의 4대 증상인데, 때로는 관절(關節)이 변형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또한 관절염(關節炎)에는 골성(骨性), 활막성(滑膜性), 범발성(凡發性), 관절변성(關節變性) 관절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골성 관절염이나 활막성 관절염은 관절 어느 부위에 염증(炎症)이 생긴 것이며, 범발성 관절염은 여기저기 온 관절에 두루 나타난 관절염을 말하며, 관절변성 관절염은 관절이 이미 변형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따라서 우선 자신이 고통 받고 있는 관절염이 어떤 종류인가를 정확히 진단 받고 무조건 휴식을 취한다.  그리고 통증이 가라앉으면 관절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병세가 심할 때는 기거(起居)동작이 어려우므로 이것을 해소하는 훈련도 .. 2024.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