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질병과 음식196

고혈압(高血壓)을 음식으로 다스리는 방법 고혈압(高血壓)은 유전적 원인이 크므로 가족력이 있을 때는 철저하게 예방, 관리를 해야 한다.  운동이 필요하며 온도 변화를 크게 주지 말고, 욕심을 버리고 분노를 최대한 느끼지 않는 생활을 하고 소금기 많은 식사나 기름진 음식을 피해야 한다.  식이요법으로는 첫째 다시마가 좋다.  다시마를 손바닥 크기만큼 잘라서 하룻밤 동안 따뜻한 물에 담가 염분을 빼고 마른 행주에 싸서 토닥토닥 두들겨 물기를 뺀 다음 프라이팬에서 약간 탈 듯 말 듯 구운 다음, 알갱이가 있을 만큼 가루를 내어 식탁 위에 항상 올려놓고 음식에 뿌려서 먹는다.  둘째로 회화나무 꽃봉오리를 ‘괴화(槐花)’라는 약명으로 건재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데, 이것으로 차(茶)를 끓여 마시는 것이 좋다.  루틴이라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2024. 10. 22.
고혈압(高血壓)이 걱정일 때 뽕나무차를 마시면 좋다. ‘뽕나무도 혈압(血壓)을 안정시킨다.’는 얘기, 정말 그럴까?  정말 그렇다.  뽕나무차로 혈압(血壓)이 안정된다.  혈압(血壓)뿐만이 아니다.  중풍(中風)을 예방할 수도 있다.  기침을 내리고 또 열(熱)을 떨어뜨린다.  정말 기가 막힌 것이 뽕나무 잎이다.  뽕나무 잎만 그러냐하면 그렇지 않다.  뽕나무와 관계된 모든 것이 그렇다.  봄에 뽕나무 새싹이 나면 따 두었다가 이것을 푸른 채소와 같은 조리 방법으로 만들어서 먹으면 된다.  이것을 건재약국에서 살 때에는 아주 새싹 같은 잎도 있고, 좀 늙은 잎도 있다.  조금 큰 잎은 그냥 끓여서 먹는 것이 좋다.  뽕나무 잎은 피를 굉장히 깨끗하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건재약국에 가게 되면 뽕나무 잎만 파는 것이 아니다.  뽕나무 뿌리에서 수염뿌리와 .. 2024. 10. 21.
간장(肝臟)을 강화해 주는 다른 음식들 간(肝)기능은 음식과 스트레스에 크게 좌우된다.  특히 기름진 음식이나 술, 그리고 분노와 독선적 아집이나 강박은 큰 영향을 미친다.  여하간 이런 저런 이유로 간(肝)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막으려면 그 약화 원인을 예방하고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간(肝)기능을 강화하는 식품을 많이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1. 배식초절임이 좋다. 껍질 벗긴 배를 씨 부분을 도려 낸 후 얇게 썰어 용기에 넣고 현미식초를 부어 배가 찰랑찰랑 잠기도록 한 후 밀봉해 서늘한 곳에서 하루 동안 절였다가 1일 20g씩, 1일 3회 공복에 배를 씹어 먹는다.  이때 식초는 식초대로 커피 한 잔의 생수에 3~4티스푼씩 섞어 마신다.  이렇게 하면 간(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크레이브 사이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간(肝)기능이 좋아지.. 2024. 10. 20.
간(肝)이 약할 때 모시조개가 좋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간(肝)에 속한 것은 성내는 것이다.’라고 했다.  즉, 간(肝)이 좋지 못하면 사람이 성을 내게 되고 또 모든 것이 짜증스러워지게 된다는 얘기다.  또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간(肝)에 속한 것은 힘줄이다. 그러니까 간(肝)이 좋지 못하면 캥기고 아프다.’라고도 했다.  그리고 ‘간에 속한 것은 눈이다.’라고도 했는데, 간(肝)이 좋지 못하면 눈이 침침하고 충혈(充血)이 잘 된다는 얘기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또 우리 몸에 겉으로 나타나는 것 중에 ‘간(肝)에 속한 것은 손톱이다.’라고 했다.  간(肝)이 좋지 못하면 손톱이 딱딱 부러질 정도로 약하고 물컹거리고 질기다는 얘기다.  그리고 ‘간(肝)이 약하게 되면 사람이 두려움을 잘 느낀다.’라고도 했다.  또 동의.. 2024. 10. 19.
몸이 너무 마르는 것도 병이다. 소수증(消瘦症)이란, 포동포동하니 복스러운 모습 한번 누려보지 못하고, 남 보기 창피스럽고, 기력마저 없으며, 야위고 수척(瘦瘠)한 것이 지나친 경우를 말한다.  소수증(消瘦症)에는 항문(肛門) 에로티즘 경향의 정신적(精神的) 소수증(消瘦症)과 성신경쇠퇴성(性神經衰退性) 소수증(消瘦症)이 있다.  표준 체중에 비해 10% 이상 감소하면 저체중, 20% 이상 감소하면 중증인데, 이쯤 되면 피하지방(皮下脂肪)이 감소하고 까칠해지고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 탄력이 없다.  게다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어 여러 가지 질병에 잘 걸리게 되고, 만사에 흥미를 잃게 된다.  성욕(性慾)마저 떨어지며 정액(精液) 양이나 정자(精子) 수까지 감소하게 된다.  여성의 경우 신경질(神經質), 성욕감퇴(性慾減退), 월경량(.. 2024. 8. 22.
더위 먹었을 때는 고온(高溫), 고습(高濕), 무풍(無風) 때 혹은 강한 햇볕에 머리나 목이 노출되거나 과로(過勞)할 때 더위에 대한 체온조절(體溫調節)이 안 되어 발한(發汗)이 정지되고 체온(體溫)을 발산할 수 없어서 체온(體溫)이 41℃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진 결과 더위 먹은 병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이것은 피로(疲勞), 전신쇠약(全身衰弱), 동맥경화(動脈硬化), 당뇨병(糖尿病), 알코올 중독일 때 보다 쉽게 일어난다.  더위를 먹으면 땀이 멈추고 체온(體溫)이 상승하며, 더위에 손상된 각종 독소(毒素)가 쌓인다.  그래서 구토(嘔吐),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복통(腹痛), 사고력(思考力) 둔화, 두통(頭痛), 현기증(眩氣症)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피부(皮膚)가 건조하고 뜨거워지며, 맥박(脈搏)과 .. 2024. 8. 21.
숙취(宿醉)를 푸는 음식 술은 백약지장(百藥之長)이라는 말처럼 모든 약 중에 가장 으뜸가는 약이지만, “술에 장사 없다.”고 하듯이 과음(過飮)하면 숙취(宿醉)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이럴 때는 아스파라거스처럼 술 깨는 성분이 있는 콩나물국이 좋다.  그리고 숙취(宿醉)로 뒷머리부터 어깨까지 뻐근하고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거나 숙취(宿醉)와 과로(過勞)가 겹쳐 심장(心臟)이 조여들며 통증이 있을 때는 칡차를 마시도록 한다.  매실(梅實)은 간(肝)기능을 보호하며 술을 풀고 술에 손상된 내장기(內臟器) 기능을 회복시킨다.  그리고 식초(食醋)는 간(肝)에서 이뤄지는 크레브스 사이클을 원활하게 해 숙취(宿醉)를 풀어주므로 생수 한 잔에 식초(食醋) 3~4티스푼씩 타고 꿀을 조금 섞어 마시도록 한다.  꿀 역시 과당을 공급해 간(肝).. 2024. 8. 20.
골다공증(骨多孔症)을 예방하려면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렁해져 부러지기 쉬운 상태의 질병으로, 중년 이후 뼈가 노화(老化)될 때 쉽게 일어나며 특히 갱년기(更年期) 여성에게 많다.  하지만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가 약하게 타고난 경우나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강행한 경우 또는 교통사고나 타박상 등으로 뼈에 무리가 주어진 경우 등에도 나이와 관계없이 젊은 남녀 누구에게서나 흔히 나타날 수 있다.  또 혈액(血液) 내의 칼슘이 부족하게 되면 뼛속 칼슘이 혈액(血液) 내로 빠져나가 뼈가 약해지며, 후천적 영양 보충 역할을 하는 비장(脾臟)이 약해져 있거나, 혈액(血液)을 저장하는 간장(肝臟)의 기능이 약해져 있거나, 또는 호르몬 기능을 포괄하는 신장(腎臟) 기능이 약해진 경우에도 골다공증(骨多孔症)이 온다.  골다공증(骨.. 2024. 8. 19.
비듬이 많아 고민일 때는 비듬은 체질(體質), 정신적 긴장, 계절적 영향 및 노화(老化)에 의해 벗겨진 두피(頭皮) 각질층(角質層)에 먼지, 세균(細菌), 피지선(皮脂腺) 기능 이상에 의해 지나치게 기름기가 섞여 생긴다.  비듬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풍열(風熱)성 비듬은 건조하고 머릿결도 거칠고 잘 빠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습열(濕熱)성 비듬은 지루성이며 머리카락이 끈적거리고 번쩍이며 잘 빠진다.  혈열(血熱)성 비듬은 비듬이 덕지덕지 쌓이고 탈락과 신생을 반복하며 두피(頭皮)가 붉고 가렵다.  그리고 체력쇠약(體力衰弱)성 비듬은 회백색이고 모발(毛髮)이 건조해 잘 부러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새박뿌리를 쓴다.  옛날 중국의 하씨라는 사람이 이것을 먹고 머리가 까마귀처럼 까맣게 되고 윤기 나.. 2024. 8. 18.
축농증(蓄膿症)일 때는 이렇게 고친다. 축농증(蓄膿症)일 때 당분을 과잉섭취하면 악화하므로 야채와 해조류를 충분히 먹는다.  그리고 무를 강판에 갈아 꼭 짜서 그 즙을 탈지면에 적신 후 콧속에 넣으면 좋다.  이때 용뇌(龍腦)를 조금 희석시키면 콧속과 머리까지 시원하게 뚫리고 맑아진다.  만약 무즙이 맵거나 코점막이 약해 콧속이 헐 때는 증류수를 가미해도 좋다.  삼백초(三白草) 역시 축농증(蓄膿症)에 잘 듣는 약초이므로, 20g을 끓여 차(茶)처럼 하루 동안 수시로 복용한다.  아니면 창이자(蒼耳子)를 다갈색으로 볶아 10g씩 끓여 마시거나, 창이자(蒼耳子) 볶은 가루를 4g씩 내복한다.  창이자(蒼耳子)의 잎을 1일 20g씩 끓여 차(茶)처럼 수시로 나누어 마셔도 좋다.  지압(指壓)으로도 축농증(蓄膿症)을 개선할 수 있은데, 천주(天柱).. 2024. 8. 17.
눈이 침침할 때는 이글거리는 태양을 직시할 때처럼 눈이 시리거나 눈이 침침하다 못해 눈물이 그렁거리거나 눈에 핏발이 잘 서며 눈이 피로한 증상은 간장(肝臟)과 신장(腎臟) 기능이 약해졌을 때 많이 나타난다.  이때의 신장(腎臟)이란 비뇨생식기계(泌尿生殖器係) 및 내분비계(內分泌係)의 통칭이다.  따라서 간(肝)과 신장(腎臟) 강화식품을 많이 먹는 것이 좋은데 그 첫 번째로 결명자(決明子)가 꼽힌다.  옛날부터 눈을 밝게 한다는 시력회복제로 널리 알려진 결명자(決明子)는 이뇨(利尿)작용과 완화(緩和)작용까지 있어 소변(小便)과 대변(大便)을 원활하게 해준다.  결명자(決明子)를 프라이팬에서 볶아 짙은 황갈색이 될 때까지 충분히 달여서 차(茶)처럼 상복하도록 한다.  이것은 특히 중년층 이상의 눈 피로에 효과가 크다.  구기.. 2024. 8. 16.
태열성(胎熱性) 결막염(結膜炎)일 때는 태열성(胎熱性) 결막염(結膜炎)이란 결막(結膜)에 염증이 생겨 결막(結膜)이 붓거나 충혈 되고 눈곱이 끼는 증세를 말한다.  보통 결막염(結膜炎)이라면 누런 눈곱이 끼지만 태열성(胎熱性)일 때는 눈곱이 희다.  그리고 눈동자가 타는 것 같고 점액성 분비물이 흐르면 눈이 붉어지고 가렵다.  빛을 보면 눈이 부시다고 하며 눈꺼풀 가장자리는 붉으나 유백색이 된다.  때로는 콧속, 입속, 입천장, 귓속이 가려워지며 재채기, 콧물, 코막힘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 질환은 식독(食毒), 수독(水毒), 혈독(血毒)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된다고 한다.  식독(食毒)은 음식물의 이상 발효에 의한 독소가 혈중에 흡수되어 중독을 일으킨 것이며, 수독(水毒)은 배설(排泄)기능 장애로 비생리적인 과잉 체액에 의한 중독을 말하며.. 2024. 8. 15.
두통(頭痛)에 효과적인 민간약 두통(頭痛)에는 어떤 민간약이 좋을까?  다음과 같이 증상에 따라 열거한 방법들 가운데 선택하여 두통(頭痛)을 해결해 보길 바란다.  국화(菊花)는 두통(頭痛)에 좋고, 머리와 눈의 열(熱)을 내리며 혈압강하(血壓降下) 작용까지 한다.  칡뿌리는 숙취(宿醉) 두통(頭痛), 감기(感氣) 두통(頭痛), 특히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고 열(熱)이 있을 때 좋다.  메밀은 열성두통(熱性頭痛)에 효과가 있고, 베개에 넣어 베면 고혈압두통(高血壓頭痛)에 좋다.  만형자(蔓荊子)는 머리가 아프면서 눈이 충혈(充血)되고 눈물이 나며 귀울림이 있을 때 좋고, 백지(白芷)는 머리가 아프면서 두피(頭皮)가 가렵고 어지러운 경우에 좋으므로 12g씩 끓여 마신다.  담궐두통(痰厥頭痛)은 눈 뿌리부터 정수리까지 아프고 어지러워 참.. 2024. 8. 14.
당뇨병(糖尿病), 두려울 것이 없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을 간장(肝臟)의 소설(疏泄) 장애로 당(糖) 생성과 분해에 이상이 있거나, 위장(胃腸), 대장(大腸), 췌장(膵臟) 등 내장기의 열(熱) 축적에 따른 번열(煩熱)과 영양물질이나 호르몬 등 음액(陰液)이 부족한 상태인 음허(陰虛)에 의해 삼초(三焦) 기능에 장애가 와서 삼초(三焦) 부위에 발생하는 전신성, 복합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삼초(三焦)는 기체 대사를 하는 상초(上焦), 수분 대사를 하는 중초(中焦), 호르몬 대사를 하는 하초(下焦) 등 인체의 상중하부에 있는 기능계를 말한다.  당뇨병(糖尿病)은 병의 진행 시기와 경과 기간, 발병 원인, 발병 연령 등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의 혈당치가 120㎎/100㎖을 넘으면,.. 2024. 8. 11.
당뇨병(糖尿病)에 대한 기본 상식을 알아두자. 세종대왕도 엘비스 프레스리나 헤밍웨이 그리고 에디슨도 모두 당뇨(糖尿) 환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또 소변(小便)을 본 자리에 개미떼가 모여들면 당뇨(糖尿)임을 알 수 있다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당뇨병(糖尿病)은 ‘달콤한 소변(小便)’을 보는 병으로 혈당(血糖)이 높아 포도당(葡萄糖)이 많이 섞인 소변(小便)이 나오기 때문이다.  일란성 쌍둥이 가운데 한명이 당뇨(糖尿)이면 다른 한명도 당뇨(糖尿)가 되듯이 이 병은 유전성(遺傳性)이 강하며, 비만(肥滿), 과식(過食), 운동부족(運動不足), 스트레스 증가, 설탕 과잉 섭취 등도 원인이 된다.  또한 췌장(膵臟) 질환, 갑상선(甲狀腺) 기능항진(機能亢進) 등의 질병이 있을 경우에도 당뇨(糖尿)가 되며, 호르몬 약도 원.. 2024.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