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방 칼럼441

허브 건강법 –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 있는 천연 치료약 허브란 약용 식물 전반을 가리키는 것인데, 그 중에서 요리의 향신료로 사용되는 것을 스파이스라고 한다. 스파이스를 포함한 허브는 약효가 높아서 최근에 영국, 프랑스, 독일 같은 곳에서는 부작용 없는 천연 치료약으로 허브의 장점이 재인식되고 있다. ◉ 심신(心身)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치료(治療) 효과를 높인다. 외국에서는 메디컬 허버리스트(식물요법사) 제도가 만들어져 있고, 허브 의료가 현대 의료를 대체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등 허브를 생활에 도입시켜 건강(健康)을 관리하려는 생각이 유행하고 있다. 특히 심신증(心身症)이나 알레르기 질환 등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병(病) 치료에 허브가 효력을 발휘한다고 하여 ‘아로마 건강법’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에도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다. 그리고 스트레스 때문에 .. 2024. 1. 8.
한약(韓藥, Korean herbology) 달이는 법 한약(韓藥) 달이는 데 무슨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되는 걸로 생각하여, 미리부터 겁을 내는 사람이 더러 있는 것 같다. 한약(韓藥) 달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라면 끓이는 것과 비슷하다. 국 끓이듯이 물 붓고 좀 끓여서 국물만 마시면 된다. 한약(韓藥) 달일 줄 모르면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다. 첫째, 달이는 그릇은 무엇이든 상관없다. 꼭 약탕기(藥湯器)에 달여야 되는 것도 아니다. 예전에 쇠에 달이지 말라고 한 것은 쇠에 반응하는 약(藥)이 있기 때문이고, 요즘은 다 잡철(합금)이지 무쇠 그릇은 쓰지 않으니 상관없다. 알루미늄 냄비든, 스테인리스 냄비든, 코팅된 냄비든, 순두부찌개 뚝배기든, 유리 주전자든 음식 만드는 그릇은 전부 한약(韓藥)을 달여도 된다. 바닥만 좀 좁으면 그만이다. 바닥이 넓으면 약.. 2023. 11. 20.
물 마시는 효율적인 타이밍과 증세(症勢)에 따라 물 마시는 방법 오전 7시 눈을 떴을 때 한 컵의 물을 마신다. ⇒ 내장(內臟)이나 신경(神經) 같은 것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쾌적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 오전 9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물을 마셔서 세포(細胞)를 활성화시키고, 의욕(意慾)과 집중력(集中力)을 높이며, 머리 회전을 빠르게 한다. 오후 12시 식사(食事)를 하기 전에 반 컵의 물을 마신다. ⇒ 장(腸)이 자극을 받아 소화(消化) 기능이 높아진다. 오후 3시 1컵의 물을 마신다. ⇒ 피곤(疲困)이 풀리고, 심신(心身)이 재충전되면서 기력(氣力)이 부활한다. 오후 6시 운동(運動) 전후에 땀이 나온 만큼 보급해 준다. ⇒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운동(運動) 중이라도 물을 마시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오후 7시 저녁 식사 전에 술 대신에 물 반 컵을.. 2023. 11. 18.
물 마시기와 성인병(成人病) 한 컵의 물은 생기(生氣)를 되살려 줄 뿐 아니라, 생활 습관에 의한 병을 비롯해서 갖가지 질병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밤중에 뇌경색(腦梗塞), 오전 중에 심근경색(心筋梗塞) 발작이 일어나기 쉬운 것은, 자는 동안에 땀을 흘려 혈액(血液) 속의 수분(水分)이 줄어들어 혈액(血液) 농도가 올라가서 혈관(血管)이 막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뇌경색(腦梗塞), 통풍(痛風) 발작도 예방할 수 있다. 머리맡에 물병을 두고 자다가 밤중에 화장실 가기 위해서 일어났을 때, 한 컵 마시는 것은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시켜, 뇌경색(腦梗塞)이나 심근경색(心筋梗塞)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통풍(痛風) 발작도 물을 마셔서 예방할 수 있다. 통풍(痛風) 발작은 요산(尿酸) 배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혈액(血液).. 2023. 11. 17.
물(Water), 마시는 방법이 있다. ‘목이 마르다는 것은 몸속의 물이 부족하다는 경계 신호이다.’ 물을 마시는 것은 건강(健康)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 특히 피곤할 때는 혈액(血液)이나 체액(體液)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데, 그럴 때 물을 마시면 순환이 순조로워지기 때문에 영양(營養)과 산소(酸素)가 몸의 각 조직으로 충분히 전달되어 기운(氣運)을 되찾을 수 있다. 사람은 원래 물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이다. 몸속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태아(胎兒)의 경우 90%나 된다. 신생아(新生兒)는 75%, 성인(成人)은 약 65%이므로, 나이가 들면서 몸속의 수분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래도 50% 전후는 차지한다. 몸속의 물의 약 ⅔는 인체(人體)를 구성하는 약 60개조의 세포 속에 존재하며, 세포(細胞) 내부나 세포(細胞) 사이의 정보 전.. 2023. 11. 16.
목욕탕(沐浴湯)에서 주의할 점 더러 목욕탕(沐浴湯)에서 큰일 날 뻔하다 이야기를 듣는다. 늘 해 오던 냉온욕(冷溫浴)인데 그날은 냉탕(冷湯)에서 갑자기 몸이 움직여지지 않고 말도 나오지 않아 냉탕(冷湯)에서 필사의 탈출을 하여 목욕탕(沐浴湯) 바닥에 쓰러져 한참 만에 정신을 차린 예도 있고, 냉탕(冷湯)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심장(心臟)이 멈추는 듯하더니 얼굴에 열(熱)이 달아올라 그 뒤로 몇 달을 숨이 차서 고생했다는 사람도 있으며, 냉온욕(冷溫浴)을 한 뒤로 신경통(神經痛)이 악화(惡化)되었다는 말은 더더욱 흔히 들려온다. 고혈압(高血壓) 저혈압(低血壓)을 막론하고 위험하게도 한증탕(汗蒸湯)에서 나오다 쓰러지는 사람도 자주 입에 오르내린다. 일반적으로 냉온욕(冷溫浴)이 피부(皮膚)를 튼튼히 하고, 혈액순환(血液循環)을 개선하는 것으.. 2023. 11. 13.
침(鍼, Acupuncture)의 효과 침술(鍼術)은 동양의학(東洋醫學)에서도 가장 신비스러운 부분이다. 그 침술(鍼術)이 서구의 자연과학(自然科學)과 만나면서 신비의 베일을 벗고 있다. 많은 서양의학자들이 침술(鍼術)을 연구하고 있으며, 중국(中國)도 60년부터 침(鍼)의 과학화(科學化)를 시도해 왔다. 침(鍼)을 놓는 경락(經絡)의 존재는 아직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입증이 되지는 않았지만, 인체(人體)는 물론 말과 소의 경락(經絡)까지도 만들어진 상태이다. 경락(經絡)에 바늘을 찔러 넣었을 때의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 피부(皮膚)의 전기저항이 나아지는 것이 확인이 되어, 경락(經絡)의 실제적 존재는 증명이 된 셈이다. 한때 침술(鍼術)이 플라세보(Placebo), 즉 암시(暗示)에 의학 ‘그럴싸한 효과’가 아니냐는 해석도 있었으나, 동.. 2023. 11. 5.
솔잎(Pine leaf)의 효능 소나무는 방크스소나무(Jack pine), 구주소나무(Scotch pine), 솔나무(Korean red pine) 등이 있는데, 토양(土壤)이 좋지 못한 지역에 자라며,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우리나라 산의 대부분에 넓게 퍼져 있다. 솔잎뿐만 아니라 화분(복령(茯苓 : 소나무를 벤 자리 밑동에서 생기는 일종의 균)), 수피(樹皮) 등을 약용(藥用) 또는 식용(食用)으로 사용하는데, 우리 조상들은 가뭄 때 구황식품(救荒食品)으로 많이 써왔다. 송수천년(松壽千年)이라는 말이 있듯이, 송충이에게 해를 받지 않으면, 천 년을 살 수 있는 것이 소나무인데, 특히 우리나라의 소나무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우아함과 존엄성을 겸비하고 있어, 우리들 마음의 상징이 되고 있으나, 이를 채취.. 2023. 10. 29.
소아 경기(驚氣)에 손과 발을 따야 하나? 아이들 경기(驚氣)라는 것은, 순간적으로 의식(意識)을 잃고 몸이 뻣뻣해지거나 눈이 돌아가거나 하는 것으로써, 기운이 머리로 왈칵 올라가서 갑자기 정지하는 바람에 순간적으로 뇌파(腦波)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이 된다. 여기에는 열(熱)이 나서 발생되는 열경기(熱驚氣)가 있고, 열(熱)과는 관계없이 글자 그대로 놀란 뒤끝에 깜박 넘어가는 경기(驚氣)가 있다. 열(熱)이 나는 원인은 매우 많으나, 모두 머리 쪽으로 피가 몰리게 되어, 신경계통(神經系統)에 부담이 되게 되어 발생이 된다. 놀라서 되는 경우는, 큰소리를 들었거나, 뜨거운 물이 몸에 닿았거나, 보행기 같은 데서 떨어져 깜짝 놀랐을 때인데, 이때에도 기운이 머리로 왈칵 몰린다. 곧장 경기(驚氣)를 하는 수도 있고, 한두 시간 있다가 하는 경우도 있다.. 2023. 10. 22.
숙취(宿醉, Hangover) 예방과 해독(解毒) 연말(年末)에는 송년회(送年會)가 자주 있게 된다. 무슨 모임이다 동창회다 해서, 그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이 한자리에 자주 모이다 보니, 1차, 2차에서 끝나지 않고 오래 마시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연히 술을 주거니 받거니 하다 보면, 다음날 숙취(宿醉)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주량이 약하거나, 체력이 약한 사람은 다음과 같은 것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첫째, 술을 너무 차게 먹지 말아야 한다. 보통 술이 열(熱)이 많다고 해서 차게 먹으면 술도 덜 취하고 맛도 좋다고 하는데, 건강에는 매우 좋지가 않다. 술이 열(熱)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실컷 뛰고 나면 후줄근히 지치듯이, 술이 온 내장(內臟)을 흔들어 놓았으니, 이렇게 열(熱)을 내고 나면, 몸이 나른해지면서 빨리 식게 된다. 또 술이.. 2023. 10. 16.
녹차(綠茶, Green tea) 녹차(綠茶)는 설록차(雪綠茶), 작설차(雀舌茶)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모두 단일 품종인 차(茶)나무의 잎으로 만든 것이다. 각지에서 생산되는 양이 많아져서 요즘은 수출도 많이 한다. 우리의 선조들은 원래 녹차(綠茶)를 즐겨 마셔, 일본(日本)에 차(茶) 마시는 법을 가르쳐 주기도 하였는데, 최근 들어 워낙 수입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많아져서, 녹차(綠茶)가 도리어 커피의 뒤를 따라가야 할 형편이 되어 있다. 민족마다 무슨 차(茶)를 마시라고 꼭 정할 수도 없고, 세계사의 흐름에 따라 각자 취향에 맞는 기호식품을 즐기는 것이니 크게 상관할 바는 아니다. 커피의 폐해를 주장하는 학자들이 매일같이 외쳐대도 아랑곳없이 ‘커피 없이는 하루도 못 산다.’라고 단언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사람의 습관이 .. 2023. 10. 15.
약맛과 약효 달고, 짜고, 시고, 맵고, 쓴맛이 제각기 성질이 있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참고로 알아 두면 좋겠다. 매실(梅實)이나 모과(木瓜)처럼 새콤한 것을 먹으면, 몸이 움츠려지면서 군침이 돈다. 연탄가스 중독으로 어지러울 때, 식초 냄새를 맡게 하거나, 조금 먹이는 것도 이런 톡 쏘는 자극성을 이용한 것이다. 음식에 초를 치면 잠시 빳빳해지는 것도 이와 같다. 그러나 역시 신맛은 오그라뜨려서 빳빳하게 하므로, 가령 식초를 장복하면 처음에는 개운한 것 같으나, 계속하면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오히려 수축(收縮)될 수도 있다. 설탕, 굴, 감초(甘草), 대추(大棗), 용안육(龍眼肉)은 달다. 단 맛은 누그러뜨린다. 긴장(緊張)을 풀어준다. 그러므로 바짝 마른 경우, 긴장되어 있는 경우에 촉촉이 적시.. 2023. 10. 9.
두드러기(Urticaria, Hives) 우리 몸 조직(組織)은 이 땅과 같아서 비가 오면 온 대지를 모래알 하나까지 다 적시고 지하수나 강물이 되어 바다에 모이면 다시 증발하여 구름과 비가 되어 또 대지를 적시듯이 몸속의 오장육부(五臟六腑)에서 바깥 피부(皮膚)에 이르기까지 생기가 품어냈다가 다시 거두어들이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그런데 피부는 몸을 싸고 있는 보자기와 같아서 바깥 공기를 막고 우리 체온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내장(內臟)에서 품어낸 기운이 피부에서 순조롭게 돌아오지 못하고 충격이 되면 거기서 생기는 현상이 두드러기이다. 즉 굵은 혈관(血管)이 아니라 피부의 모세혈관(毛細血管)과 신경(神經)에 관계되는 피부병(皮膚病)이다. 그 원인으로 첫째가 음식(飮食) 관계이다. 위(胃)나 소장(小腸)의 움직임이 좋지 못하면 충.. 2023. 8. 29.
우리 모두 병(病)을 겁내지 말자. 흔히 입이 돌아간 사람이 있다. 와사풍(喎斜風)이니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痲痺)니 한다. 밖으로 찬바람이나 습기에 얼굴이 장시간 노출되어 경락(經絡) 조직(組織)이 둔해져 버리든지, 안으로 피로의 누적이나 심약한 사람이 충격을 받든지 해서 안면신경(顔面神經)이 지쳐 잠시 잠들어 버린 것이다. 그런데 입은 비뚤어져도 대수롭지 않은 표정으로 왔다가 설명을 듣고 역시 덤덤하게 가는 사람은 평균 치료기간인 한 달 이내에 잘 낫는다. 반면에 한의원(韓醫院)에 들어설 때부터 얼굴을 가리고 실망과 초조의 빛이 역력하다가 ‘침(鍼)과 약(藥)으로 치료하면 반드시 낫는다.’고 충분히 설명을 줘도 불안을 못 떨치고, 치료 중에도 ‘아직 차도가 없는데 이러다 영영 굳어지면 어떻게 하느냐?’고 매일 한의원으로 전화가 오는 사람.. 2023. 8. 28.
기운(氣運)이 막히면 담(痰)이 된다. 힘든 일을 하지 않았는데도 몸이 쑤시고 아픈 사람이 있다. 목, 어깨, 등, 가슴에 담(痰)이 잘 붙는 사람도 있고, 밤에 쥐가 잘 나는 사람도 있다. 신경을 좀 쓰면 금세 목이 잠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소리는 되는데 말이 잘 안 되는 사람도 있다. 수시로 열이 잘 달아오르고 목에 뭔가 꽉 막고 있는 것 같다는 사람이 있고, 밤에 무단히 이런 증세가 발동하면 가슴이 메이고 숨이 넘어갈 것 같아 응급실로 급히 달려가는 소동을 피우다가 슬그머니 풀리는 사람도 있고, 열 받으면 아예 잠시 까무러치는 사람도 있다. 이 모두 기가 막혀 되는 것이다. 정도의 차이일 뿐이다. 기(氣)란 신경계통(神經系統), 혈액순환(血液循環), 내장(內臟)의 활동 등 모든 생명활동 그 자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흐르는 물은 썩지.. 2023.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