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약맛과 약효

by 예당한의원 2023. 10. 9.
반응형

검은 접시 위에 헝겊을 깔고 그 위에 한약이 반쯤 담긴 하얀 사기그릇을 놓아둔 사진
한약

 달고, 짜고, 시고, 맵고, 쓴맛이 제각기 성질이 있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참고로 알아 두면 좋겠다.

 

매실 나무에서 매실을 따서 잘 세척해서 잘 모아둔 사진과 하얀 그릇에 잘 세척해서 말린 모과를 담아 둔 사진
매실, 모과

 매실(梅實)이나 모과(木瓜)처럼 새콤한 것을 먹으면, 몸이 움츠려지면서 군침이 돈다.

 

 연탄가스 중독으로 어지러울 때, 식초 냄새를 맡게 하거나, 조금 먹이는 것도 이런 톡 쏘는 자극성을 이용한 것이다.

 

 음식에 초를 치면 잠시 빳빳해지는 것도 이와 같다.

 

 그러나 역시 신맛은 오그라뜨려서 빳빳하게 하므로, 가령 식초를 장복하면 처음에는 개운한 것 같으나, 계속하면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오히려 수축(收縮)될 수도 있다.

 

숟가락에 설탕을 한숟가락 가득 담은 사진과 감초를 잘라서 바닥에 놓은 사진과 숟가락 위에 대추를 놓고 그 주변에 반으로 자른 대추를 놓은 사진
설탕, 감초, 대추

 설탕, 굴, 감초(甘草), 대추(大棗), 용안육(龍眼肉)은 달다.

 

 단 맛은 누그러뜨린다.

 

 긴장(緊張)을 풀어준다.

 

 그러므로 바짝 마른 경우, 긴장되어 있는 경우에 촉촉이 적시고 느슨하게 해 준다.

 

 그러나 많이 먹으면 위()가 게을러져, 입맛이 떨어지기도 하고, 소화(消化)가 안되기도 한다.

 

소금을 바닥에 쌓아 두고, 그 옆에 나무 숟가락위로 소금을 반쯤 담아 놓은 사진
소금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쪼그라들면서 부드러워진다.

 

 이와 같이 짠맛은 오그라뜨리기도 하고 연하게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짠 것도 신 것과 공통적으로 우리 인체 내부의 활동력을 붙드는 성질이 있으므로, 심지어 죽염(竹鹽)이라 하더라도 과하게 먹으면 힘이 빠지기도 한다.

 

바닥에 빨갛게 잘 익은 고추 3개를 놓은 사진과 나무 그릇에 후추열매를 가득 감아두고 그 옆에는 나무숟가락에 후추를 가루내에 가득 담은 사진
고추, 후추

 고추나 후추를 먹으면, 혀와 뱃속이 후끈후끈해지고 많이 먹으면 몸이 달아오른다.

 

 즉 매운맛은 기운을 활동시켜 열()을 낸다.

 

 그러므로 추위를 잘 느끼든지 몸이 냉()한 사람은 생강(生薑), 계피(桂皮)와 같은 매운 성질의 약이나 따뜻한 물을 좋아한다.

 

 반면에 위벽이 약한 사람이 매운 걸 함부로 먹으면, 속이 따갑고 쓰려진다.

 

 고무장갑 없이 김장을 담으면 손이 따가워 애를 먹는다.

 

야생에서 고삼을 채취해서 깨끗이 세척을 하고 잘게 잘라내서 바닥에 수북하게 쌓아놓은 사진
고삼

 이때 쓴너삼(苦蔘) 달인 물에 손을 담그면 그만 괜찮아진다.

 

 이와 같이 쓴맛은 매운맛과 반대로 진정(鎭靜)을 잘 시킨다.

 

 매운맛은 조직을 풀어헤치는 발산(發散)의 성질이 있는 반면, 쓴맛은 오그라뜨리는 수렴(收斂)의 성질이 있어 해열(解熱), 진정(鎭靜), 소염(消炎)하는 약은 대개 쓴맛이다.

 

바닥에 잘 세척하고 잘라낸, 황련과 황금과 황백을 수북하게 쌓아놓은 사진
황련, 황금, 황백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栢), 시호(柴胡), 대황(大黃), 용담(龍膽) 등이 그 예이다.

 

 또 위장(胃腸)이 풋풋하니 습기(濕氣)가 많을 때에는 쓴 음식을 먹으면 입맛이 돌아오는 것은 쓴맛이 습기를 말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태우면 쓴맛이 생기는 것도 이와 같다.

 

 그러므로 쓴 걸 많이 먹으면 내장(內臟)이 식어지거나 마를 수도 있다.

 

 냉하거나 수척한 사람은 익모초(益母草), 케일, 영지(靈芝) 등을 너무 많이 먹지 않기를 권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