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心臟)을 보(補)하며 뇌(腦), 신경(神經)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 山芋粥
우리나라 음식 중에서 죽(粥)처럼 다양하면서도 특색 있고 맛 나는 음식은 드물 것이다. 얼핏 생각에는 밥거리가 없을 때 죽(粥)이라도 쑤어서 입에 풀칠하는 것으로 생각할는지 모르나 소화(消化)가 잘 되면서도 몸을 보(補)하는 음식으로 여러 가지 죽(粥)이 개발되어 왔다. 팥죽, 녹두죽, 콩죽, 율무죽, 호박죽, 깨죽, 잣죽, 전복죽, 우유죽 등이 있어 덜 깬 아침참에 간밤의 피로(疲勞)를 회복하는 데 한 그릇 먹음직하다. 산우죽(山芋粥)이라는 것은 마를 넣고 만든 죽(粥)인데,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자양강장제(滋養强壯劑)가 되며 당뇨병(糖尿病) 식사로도 아주 좋다. ‘山芋粥 能潤肺益氣 山芋生者去皮於石上 或新瓦上 細磨如泥 二合蜜二匙牛乳一鍾 於慢火上同炒 令極熟 乃投白粥一椀中攪 勻服之 不極熟則辣喉’ ..
2025. 9. 25.
기허(氣虛), 혈허(血虛) 때 먹는 약닭
기허(氣虛)라 하여 인체의 에너지원이 쇠약해져 기력(氣力) 저하, 사고력(思考力) 저하, 질병 저하력 감퇴, 소화장애(消化障碍) 등이 있을 때는 닭고기에 인삼(人蔘), 황기(黃芪), 구기자(枸杞子)를 넣어 그 수프를 마시는 것이 좋다. 혈허(血虛)라 하여 인체 내의 혈액(血液)이 부족해져 어지럼증, 귀울림증, 수족저림 등이 있을 때는 닭고기에 구기자(枸杞子), 산약(山藥), 용안육(龍眼肉), 당귀(當歸) 같은 한약재를 넣어 끓여서 그 수프를 마시는 것이 좋다. 혈허(血虛)가 매우 심할 때는 닭을 살짝 삶아서 누린내 나는 첫물을 따라버리고 ‘사물탕(四物湯)’이라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처방을 넣어 중탕해서 즙을 내어 마시면 좋다. 사물탕(四物湯)은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약(白芍藥), 숙지황..
2025. 4. 7.
닭고기를 이용한 음식보약
“버섯을 닭의 뱃속에 넣고 만든 중국식 보양 음식” ◉ 소스 만들기가 맛내기의 포인트다. 홍소(紅燒)란 중국 요리에 자주 나오는 방법으로 홍소새우, 홍소버섯 등의 요리가 있고, 만드는 방법의 포인트는 소스를 얼마나 맛있게 만드느냐에 있다. 물에 불린 목이버섯이나 다른 버섯을 각각 같은 양으로 준비한 뒤, 잘게 썰어서 파, 생강, 김을 조금씩 닭의 뱃속에 넣고 꿰맨 다음 솥에 담고 물과 술을 한 사발 부은 후, 황설탕 120g, 간장 3사발을 넣고 은근한 불로 삶는 중국식 보양 음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닭의 뱃속에 인삼(人蔘), 대추(大棗), 밤, 황기(黃芪) 등을 넣어 보양식을 만드는데, 중국에서는 닭의 뱃속에 버섯을 넣고 보양식을 만든다. ◉ 면역성(免疫性) 증강으로 성인병(成人病)을 예방한다. 버섯은..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