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심장(心臟)을 보(補)하며 뇌(腦), 신경(神經)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 山芋粥

by 예당한의원 2025. 9. 25.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잣을 갈아서 쌀과 함깨 만든 잣죽을 동그란 그릇에 담아서 붉은 색 테이블 위에 대나무로 만든 깔판 위에 놓아두고 그 옆에는 나무 숟가락과 잣을 담은 동그란 그릇을 놓아두고 찍은 사진
잣죽

 우리나라 음식 중에서 죽()처럼 다양하면서도 특색 있고 맛 나는 음식은 드물 것이다.

 

 얼핏 생각에는 밥거리가 없을 때 죽()이라도 쑤어서 입에 풀칠하는 것으로 생각할는지 모르나 소화(消化)가 잘 되면서도 몸을 보()하는 음식으로 여러 가지 죽()이 개발되어 왔다.

 

 팥죽, 녹두죽, 콩죽, 율무죽, 호박죽, 깨죽, 잣죽, 전복죽, 우유죽 등이 있어 덜 깬 아침참에 간밤의 피로(疲勞)를 회복하는 데 한 그릇 먹음직하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마를 쌀과 함께 갈아서 만든 마죽을 동그란 그릇에 가득 담은 후에 잣 4개를 놓아둔 것을 찍은 사진
산우죽

 산우죽(山芋粥)이라는 것은 마를 넣고 만든 죽()인데,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자양강장제(滋養强壯劑)가 되며 당뇨병(糖尿病) 식사로도 아주 좋다.

 

 ‘山芋粥 能潤肺益氣 山芋生者去皮於石上 或新瓦上 細磨如泥 二合蜜二匙牛乳一鍾 於慢火上同炒 令極熟 乃投白粥一椀中攪 勻服之 不極熟則辣喉

 

 마죽은 능히 폐()를 튼튼하게 하며 기운을 돋운다. 마의 생것을 껍질을 벗겨서 돌 또는 깨끗한 기왓장 위에서 찧어서 죽()처럼 만든 것 2홉에 꿀 2숟가락, 우유 1종지를 섞어 약한 불 위에 끓여서 푹 익게 한 것을 흰 쌀죽 한 사발에 넣어 잘 섞어서 먹으면 되며 마를 완전히 잘 익히지 않은 것은 목구멍을 자극하여 아리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마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여러 개를 놓아두고 찍은 사진

 ‘薯蕷 : 補虛勞 羸瘦 充五臟 益氣力 長肌肉 强筋骨 開達心孔 安神長志

 

 마는 허약(虛弱)한 것을 보()해 주며 살찌지 못하는 사람을 살찌게 하고 오장(五臟)을 충실하게 하며 기력(氣力)을 더해 주고 피부(皮膚), 근육(筋肉) 및 뼈()를 튼튼하게 하고 심장(心臟) 기능을 좋게 하며 뇌()와 신경(神經)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준다.

 

 중국 사람들은 마가 어린이들의 뇌()를 좋게 하여 준다고 하여 구기자(枸杞子)와 함께 달여서 먹인다.

 

 중화민국 학술원 원장이며 중국 신문화 운동의 개척자이던 호적(胡適) 박사가 마가 들어 있는 처방으로 당뇨병(糖尿病)과 신장염(腎臟炎)을 고쳤다는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황기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얇게 편으로 썰어 놓은 것을 회색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황기

 마와 옥수수수염, 돼지 이자, 황기(黃芪), 생지황(生地黃) 등을 배합한 처방이다.

 

 마의 점액 중에는 무틴(quercetin), 디아스타제(diastase) 등이 들어 있어 위()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잎과 줄기 사이에 생기는 육아(肉芽)를 영여자(零餘子)라고 하여 같은 약효가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