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재 이야기

인삼(人蔘)으로 체력을 다지면 직장에서도 빛이 난다.

by 예당한의원 2024. 12. 24.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인삼을 잘 세척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초록색 이끼풀을 깔아놓고 그 위에 한뿌리를 놓아두고 찍은 사진
인삼

 인삼(人蔘)은 작업 능력이나 기억력(記憶力)을 증진시킨다.

 

 방사선(放射線)에 의한 손상으로 빨리 회복시키며, 기아(飢餓) 상태를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고, 질병(疾病)에 대한 저항력(抵抗力)을 높인다.

 

 알코올의 산화(酸化)를 촉진하여 숙취(宿醉)를 빨리 풀어주기도 한다.

 

 또 성장발육(成長發育)을 돕고 성선(性腺) 자극 작용 및 성신경(性神經)에 대한 흥분 작용도 한다.

 

 그래서 정낭(精囊), 난소(卵巢)의 무게가 늘며 정자(精子)가 증가하고 정자(精子) 활동이 활발해지고 정자(精子)의 체외생활 지속 시간도 길어지고, 배란(排卵) 날짜가 연장되기도 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인삼 2뿌리를 깨끗하게 새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서로 포개서 놓아두고 찍은 사진
인삼

 인삼(人蔘)은 조혈(造血) 기능을 자극하여 혈구(血球)를 늘리고 백혈구(白血球)의 탐식(貪食) 기능을 높이며, 산성체질(酸性體質)을 개선하고 각종 대사(代謝)를 촉진하고 생체 기능을 균형 잡아 준다.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혈당량(血糖量)을 낮추며 지방간(脂肪肝)을 막아주기도 한다.

 

 항암(抗癌)작용까지 하며, 항스트레스 작용도 한다니 명약 중의 명약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두뇌(頭腦)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건망증(健忘症)을 없애고, 원기(元氣)를 보하고 진액(津液)을 생성하며, 만성적인 기허(氣虛)상태를 개선하고 소화(消化)기능을 강화하고 폐활량(肺活量)을 늘리며 진액(津液)을 늘려 갈증(渴症)을 푼다고 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인삼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편을 낸 것을 물에 넣고 끓인 인삼차를 고동색 바닥 위에 투명한 찻잔을 두고 그 속에 가득 담아두고 인삼편을 3개 넣어두고 위에서 찍은 사진
인삼차

 인삼(人蔘) 한 가지만 복용하는 것을 독삼탕(獨蔘湯)이라고 하는데, 그 약효가 강렬하기 때문에 대개 다른 약재나 식품과 배합해서 복용하는 것이 좋다.

 

 또 이렇게 다른 약재를 첨가하면 질병(疾病) 치료에 더 효과적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삼지구엽초, 즉 음양곽 나무의 잎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음양곽

 예를 들면 인삼(人蔘)과 음양곽(淫羊藿)을 배합하면 성기능(性機能) 쇠약 및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에 효과적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맥문동 풀의 뿌리인 맥문동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동그란 대나무 그릇을 두고 그 속에 가득 담아두고 찍은 사진
맥문동

 인삼(人蔘)과 오미자(五味子), 맥문동(麥門冬)을 배합하면 간()기능 강화, 심장(心臟)기능 강화에 효과적이며, 인삼(人蔘)과 황기(黃芪)를 배합하면 기운이 없고 몸이 여위고 나른하며 특히 땀이 많을 때 효과적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생강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고동색의 나무바닥 위에 2개를 놓아두고, 그 중에 한개는 일부를 편으로 잘라 놓고 찍은 사진
생강

 또 인삼(人蔘)과 생강(生薑), 꿀을 배합하면 소화기(消化器)가 허약하여 입맛이 없고 자주 메스꺼울 때 효과적이고, 인삼(人蔘)과 당귀(當歸)를 배합하면 빈혈(貧血)이 심하거나 산후(産後) 회복에 좋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산약, 즉 마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큼지막하게 잘라 놓은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산약(마)

 인삼(人蔘) 가루를 계란 흰자에 풀어서 들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찰 때 좋으며, 인삼(人蔘)과 마를 배합하면 술 마시고 설사(泄瀉)할 때 좋다.

 

 인삼(人蔘)은 사상체질(四象體質) 중 소음인(少陰人)에게 가장 잘 맞는다.

 

 그리고 인삼(人蔘)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열성(熱性)식품이다.

 

 따라서 평소 열()이 많은 열성(熱性)체질이나 아토피 체질은 인삼(人蔘)을 피하는 것이 좋다.

 

 까닭에 몸이 항상 뜨겁고 기()가 너무 왕성하여 맥박(脈搏)이 지나치게 힘차거나 찬물을 좋아하며 소변양(小便量)이 적고 대변이 굳은 사람에게는 맞지 않다.

 

 단, 체질(體質)에 맞는다 해도 너무 어린아이들에게는 주지 않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열()이 나는 초기 감기(感氣)나 어떤 질병으로 열()이 심할 때는 인삼(人蔘)을 피해야 한다.

 

 또 식체(食滯) 등으로 헛배가 부르면서 설사(泄瀉)할 때나 양 뺨이 붉고 미열(微熱)이 오르며 마른기침이 날 때도 피하는 것이 좋다.

 

고혈압 환자가 전자혈압계를 통해서 혈압을 재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으로, 180-120으로 고혈압임을 나타내고 있는 사진
고혈압

 물론 고혈압(高血壓)이 심할 때도 피해야 한다.

 

 특히 고혈압(高血壓) 환자 가운데 머리가 아프고 쉽게 어지럼증을 느끼며 화를 잘 내는 사람이나 수축기 혈압(血壓)180Hg 이상인 경우에는 인삼(人蔘)을 먹는 것이 위험하다.

 

 말초(末梢)혈관을 수축하는 작용이 있어 일시적으로 혈압(血壓)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