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제우스 대신의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져 있다가 열 달 만에 출산했다는 그리스 신화라면 몰라도 수컷이 새끼를 배고 낳았다는 실화가 있다면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믿기 어려운 사실을 연출하는 것이 해마(海馬)라는 바닷물고기다.
수놈이 자기 뱃속에 있는 알집 주머니라는 육아낭(育兒囊)에 암놈이 까는 알을 받아들인 후, 수놈 뱃속에서 수정, 부화시키는 애처가 노릇을 한다.
20여일 정도 품고 있다가 출산을 한다.
그러나 출산에 혼쭐이 났는지 새끼를 낳자마자 줄행랑을 치고 마는 비정(非情)의 부성(父性) 때문에 역시 동물은 새끼를 암컷이 낳고 기르기 마련인가 싶다.
탄생과 동시에 고아가 된 새끼 해마(海馬)는 적으로부터 생명을 스스로 지켜야 하고 스스로 먹이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교묘한 위장술을 쓴다.
해마(海馬)는 머리를 위로 치켜세워 가지고 10여 개의 여린 등지느러미로 헤엄쳐 다니다가 위험을 느낄 때는 길고 가는 고리로 바다말 등을 검어 쥐고 우거진 수초 사이로 피신을 한다.
5~15㎝의 비교적 작은 몸은 뼈로 덮여 있고 주둥이는 대롱 모양으로 길면서 밑으로 쳐져 있다.
머리 위에는 모자 모양의 돌기가 불쑥 튀어나와 있는데, 얼굴 옆모습이 말대가리와 비슷해서 ‘해마(海馬)’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몸은 말과 같으면서 꼬리는 물고기 같은 괴물을 타고 다녔다고 하는데, 이 괴물의 이름이 히포캄푸스였다고 한다.
그래서 해마(海馬)의 학명이 히포캄푸스다.
한방(韓方)에서는 그냥 해마(海馬)라는 약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원래 암컷은 누런색이며 수컷은 푸른색이라고 하지만, 약물로 시판되어 쓰이고 있는 해마(海馬)는 딱딱한 껍질을 벗긴 골격이기 때문에 흰빛을 띠고 있다.
해마(海馬) 중에서 아주 작은 것을 ‘해저’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에 쓰이지 않는다.
아주 큰 것은 ‘해룡(海龍)’이라고 하는데, 해마(海馬)보다 약효가 월등하다.
임부(姙婦)가 진통(陣痛)이 약해 출산(出産)이 어려울 때 해마(海馬)를 손에 꼭 쥐고만 있어도 순산(順産)하게 된다는 흥미로운 얘기도 있지만, 대단한 흥분성(興奮性) 강장제(强壯劑)이기 때문에 성욕(性慾)을 촉진시키므로 정력쇠약(精力衰弱)에 효과가 크다.
해마(海馬)를 소주에 담가 1~2개월 후에 여과하여 1회에 20㎖씩 1일 2회 공복에 마시면 굉장히 정력(精力)을 강화할 수 있다.
해마(海馬)를 배합한 처방으로는 해마(海馬)와 함께 사막의 인삼(人蔘)으로 불리는 육종용(肉蓯蓉), 남자의 그것과 생김새가 똑같으면서 야릇한 냄새까지 나는 쇄양(鎖陽)을 각 40g, 그리고 고환(睾丸)과 음경(陰莖)의 무게를 크게 한다는 실험적 보고까지 있는 음양곽(淫羊藿) 80g을 배합해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5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효과가 크다.
'약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종용(肉蓯蓉)이라는 정력제(精力劑)는? (8) | 2025.01.08 |
---|---|
인삼(人蔘)으로 체력을 다지면 직장에서도 빛이 난다. (37) | 2024.12.24 |
연꽃씨는 정력제(精力劑)이다. (39) | 2024.12.23 |
염교를 먹으면 마음이 안정된다. (37) | 2024.12.22 |
살구와 살구씨의 약효는 다음과 같다. (47)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