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은 옛날부터 ‘백약지장(百藥之長)’이라고도 하고 ‘백독지장(百毒之長)’이라고도 하였다.
술을 마시되 도를 넘지 않게 하는 것이 힘듦을 말하는 것이다.
또 ‘주유병(酒猶兵)’이라고 하여 술이 마치 무서운 병기(兵器)와 같아서 다루기가 힘듦을 경계하고 있으나 하여간 술이 인생(人生)에 있어서 매력이 있는 기호품(嗜好品)임에는 틀림없어 술을 가리켜 ‘천하지미록(天下之美祿)’이라고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보면 “술은 성(性)이 대열(大熱)하고 맛이 쓰고 달고 매우며,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좋게 하고 위장(胃腸) 기능을 도우며 피부(皮膚)를 윤택하게 하고 근심을 없애며 노여움을 발산시키고 마음껏 지껄이게 한다. 오래 마시면 신경(神經)을 상하게 하고 수명(壽命)에 해롭다. 과음(過飮)하면 몸이 말을 듣지 아니하고 신경(神經)이 마비(痲痺)되니 이는 유독(有毒)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여러 군데에서 과음(過飮)의 해독(解毒)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술의 종류를 무려 32종이나 열거하고 있어 옛날에도 술의 품종이 얼마나 다채로웠던가를 엿볼 수 있다.
조하주(糟下酒) : 막걸리이며 몸을 덥게 한다.
두림주(豆淋酒) : 검은콩 볶은 것을 청주(淸酒)에 넣은 것으로 산후(産後)의 풍(風)에 좋다.
총주(蔥酒) : 한기(寒氣)가 들 때 총백(蔥白)을 썰어 뜨거운 술에 담가 마시면 땀이 난다.
포도주(葡萄酒) : 얼굴을 늙지 않게 하며 신(腎)을 따뜻하게 한다.
상심주(桑椹酒) : 뽕나무 오디의 즙(汁)을 짜서 만든 술이며 오장(五臟)을 보(補)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구기주(枸杞酒) :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살찌게 한다.
지황주(地黃酒) :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좋게 하고 얼굴을 늙지 않게 한다.
무술주(戊戌酒) : 누런 개(黃狗)를 삶아 곤 물에 쌀을 넣어 술을 만들며 양기(陽氣)를 크게 보(補)한다.
송엽주(松葉酒) : 각기(脚氣)와 신경마비(神經痲痺)에 좋다.
송절주(松節酒) : 관절(關節), 신경통(神經痛)에 좋다.
창포주(菖蒲酒) : 신경마비(神經痲痺)에 좋고 장수(長壽)한다.
녹두주(鹿頭酒) : 사슴 머리를 삶아 곤 물로 술을 만들며 기혈(氣血)을 보(補)한다.
고아주(羔兒酒) : 염소 새끼를 고아서 만든 즙(汁)으로 술을 만들며 살찌고 튼튼하게 한다.
밀주(蜜酒) : 꿀로 만든 술로 영양제(營養劑)가 된다.
춘주(春酒) : 음력(陰曆) 정월(正月)의 셋째 해일(亥日)에 빚은 술, 삼해주(三亥酒)와 비슷한 맛좋은 술.
무탄주(無炭酒) : 순도(純度) 높은 술
병자주(餠子酒) : 찹쌀가루에 여러 가지 약재(藥材)를 섞어 만든 술.
황연주(黃蓮酒) : 주독(酒毒)을 풀고 사람을 해치지 아니 한다.
국화주(菊花酒) : 장수(長壽)하고 어지럼증을 없앤다.
천문동주(天門冬酒) : 기혈(氣血)을 돕고 장수(長壽)케 한다.
섬라주(暹羅酒) : 섬라국(暹羅國, 현재의 태국(泰國))에서 온 술이며, 기생충(寄生蟲)을 죽인다고 한 것을 보면 도수(度數)가 높은 술인 듯. 그 때에도 수입주(輸入酒)가 있었던 것 같다.
홍국주(紅麴酒) : 술이 독하다.
동양주(東陽酒) : 술맛 좋기로는 자고로 천하제일(天下第一).
금분로(金盆露) : 처주(處州)에서 나는 술.

그 밖에도 산동추로백(山東秋露白), 소주소병주(蘇州小甁酒), 남경금화주(南京金華酒), 회안녹두주(淮安綠豆酒), 강서마고주(江西麻姑酒) 등도 있다.
또한 소주(燒酒), 자주(煮酒), 이화주(梨花酒)라는 것도 있다.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호두(胡桃)를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 (0) | 2025.10.25 |
|---|---|
| 고량진미(膏粱珍味)보다 담백(淡白)한 자연식(自然食)이 좋다. (0) | 2025.10.24 |
| 노인 변비(便祕)에는 소마죽(蘇麻粥)을 1주일 정도 복용하면 시원하게 볼 수 있다. (0) | 2025.10.23 |
| 쌀만 먹으면 각굴불능행(脚屈不能行) (0) | 2025.10.22 |
| 녹두분(綠豆粉)으로 씻으면 예뻐진다. (0) | 202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