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력제4 보신탕, 뱀장어는 음식(飮食)도 되고 정력제(精力劑)도 된다. - 令强熱大 정력제(精力劑)일 뿐만 아니라 여름철을 이겨내는 데는 그만큼 좋은 음식이 또 어디 있겠느냐고 한여름 내내 땀을 뻘뻘 흘리며 보신탕집을 드나드는 신사들이 있는가 하면, 그런 끔찍한 ‘몬도가네(Mondo Cane)’ 악식가(惡食家)들은 마주서기조차 싫다는 결벽가(潔癖家)도 있다. 개고기를 영양학적으로 따지자면 동물성 단백질 음식으로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별 다를 것이 없겠지만 개고기가 과연 정력제(精力劑)가 되느냐, 특별한 약효가 있느냐 하는 문제에 이르면 현대 과학으로서는 아직 이렇다 할 말이 없다. 그만큼 단백질이나 지방질의 약리작용을 따지는 것이 힘들며 아직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黃狗肉 壯陽道 和五味煮熱空心服’ 누렁 개고기는 양기(陽氣)를 왕성하게 해 주니 잘 양념을 하여 끓여서 공복.. 2025. 7. 30. 여자의 질투심(嫉妬心), 남자의 의처증(疑妻症)은 없앨 수 있다. - 去妬方 예전 책을 읽다 보면 저절로 미소가 떠오르는 대목이 있다. ‘거투방(去妬方)’이란 질투심(嫉妬心)을 없애주는 약방문이다. 옛날 사회는 남자에게 편리하게 되어 있어, 남자는 여자를 여러 명씩 거느리고 있으면서도 만약 질투(嫉妬)하는 여자가 있으면 엄하게 다스려 벌을 주었다. 칠거지악(七去之惡)이라고 하여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이유 중에 투거(妬去)가 있어 질투심(嫉妬心)이 강한 아내는 내쫓을 수 있었다니 요즘 같으면 남편이 고소를 당하거나 내쫓기거나 할 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薏苡仁 麥門冬 赤粱米等分蜜丸 男婦服之 皆不妬忌’ 율무(薏苡仁), 천문동(天門冬), 빨간 수수쌀(赤高粱米)의 세 가지를 같은 분량씩 섞어 가루로 만들어 꿀로 개어서 환약(丸藥)을 만들어 남편과 아내가 서로 같이.. 2025. 5. 15. 정력제(精力劑)로 연꽃술, 연밥, 연잎이 최고의 약재다. 연꽃은 건강(健康), 장수(長壽), 불사(不死)를 상징하는 군자(君子)의 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용(芙蓉)이나 만다라화(曼陀羅花)로 불리기도 한다. 이 연꽃에 밀가루, 녹두, 찹쌀을 넣고 짓찧어 천초(川椒)라는 약재를 넣고 반죽해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빚으면 아주 운치 있는 연꽃술이 된다. 이 연꽃누룩에 다시 찹쌀을 넣고 버무려 연잎에 싸 술을 담그면 연엽주(蓮葉酒)가 된다. 춘향 집에 처음 방문한 이도령이 대접받던 술이 바로 이 술이다. 강정주(强精酒)의 하나로 조루(早漏), 유정(遺精), 몽정(夢精) 등에 매우 좋다고 한다. 이보다 더 효과 있는 것은 연예주(蓮蕊酒)다. 연예(蓮蕊)란 연꽃의 꽃술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연꽃의 꽃술을 항아리에 담고 그 분량의 1.5배 되는 술을 부어 .. 2025. 3. 10. 육종용(肉蓯蓉)이라는 정력제(精力劑)는? 육종용(肉蓯蓉)은 양귀비(楊貴妃), 그리고 중국의 많은 궁녀들이 은밀히 애용했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약재로 일명 ‘사막의 인삼(人蔘)’으로 불리고 있다. 주로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陰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의 하나이다. 이것을 정력증강(精力增强)의 요약(要藥)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그의 생김새가 남성의 그것과 너무 흡사할 뿐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마저 남성의 그것과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고양이 이것을 즐기기 때문에 이 약물 속에 성(性) 유인물질(誘引物質)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까닭이었을 것이다. 사실 육종용(肉蓯蓉)은 교감신경(交感神經)을 강하게 하고 고환(睾丸)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땅 속의 정기(精氣)를 듬뿍 흡수한 금덩어리같.. 2025. 1.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