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갈7

당뇨병(糖尿病)은 화농증(化膿症) 병발에 조심 당뇨병(糖尿病)의 식이요법(食餌療法)에 있어서 당분(糖分)이 나쁘다고 하여서 육식(肉食)만하라는 것은 아니다. 균형이 잡힌 자연식(自然食)을 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다소의 당분(糖分) 섭취보다는 무서운 것은 칼로리(calorie) 과도 섭취라고 되어 있다. 술에 들어 있는 소량의 당분(糖分) 함량을 따져서 맥주나 청주는 어떻고, 소주나 위스키는 어떻고 할 계제가 아니다. 술은 금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되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의 원인을 거의 전적으로 주(酒)와 색(色), 그 중에서도 특히 주후색욕과다(酒後色慾過多)에 두고 있음은 무엇 때문일까? “단석(丹石)을 많이 먹어서 진기(眞氣)는 없는데도 열사(熱邪)만 왕성해지면 음식을 먹어도 끓는 물에 눈 녹는 격이 되어 나날이 .. 2025. 11. 26.
주색(酒色)은 당뇨병(糖尿病)의 적 당뇨병(糖尿病) 환자 수가 늘어가고 있으며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가운데 생기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그런 의미에서도 매년 한 번 정도 정기적으로 신체검사를 받아 혈압(血壓), 당뇨(糖尿) 등의 이상 유무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당뇨병(糖尿病)은 소위 요즘 유행하는 성인병(成人病)의 하나로 대체로 45세 이상인 경우가 많고 젊은 연령에서는 드문 것으로 되어 있다. 당뇨병(糖尿病)의 직접적인 원인이 췌장(膵臟) 호르몬인 인슐린(insulin)과 관계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췌장(膵臟) 호르몬에는 또 하나 글루카곤(glucagon)이라는 혈당(血糖)을 상승시키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인체는 반드시 이와 같이 정반대되는 두 가지 요소가 서로 균형을 잡고 있게 마련이고 이 균형이 무슨.. 2025. 11. 25.
인간의 원시적인 욕망(欲望)을 절제하라. - 消渴 禁忌 옛 말에 소갈병(消渴病)이라고 하는 것은 오늘날의 당뇨병(糖尿病)에 해당된다. 구갈증(口渴症)이 심하여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小便) 횟수가 잦으며 소변(小便)의 맛이 달다고 하였다. 소갈병(消渴病)의 경중(輕重)에 따라 소중(消中), 격소(膈消), 폐소(肺消), 소신(消腎),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보면 옛사람들도 당뇨병(糖尿病)에 관한 연구가 세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종기(腫氣)가 생기면 좀처럼 낫지 않아 위험하고, 다식(多食)을 하여도 점점 여위어가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빠지고, 시력(視力)도 약해지며 심하면 실명(失明)하게 된다고 하였다. ‘凡消痺肥貴人則膏粱之疾也 此人因數食甘美而多肥故 其氣上溢 轉爲消渴’ 무릇 소단(消癉)은 살찌고 귀(貴)하게 생.. 2025. 5. 24.
소갈증(消渴症)의 합병증은? 당뇨병(糖尿病)에는 합병증이 무섭다고들 한다.  당뇨병(糖尿病) 범주에 해당되는 한의학(韓醫學)의 소갈증(消渴症)에도 합병증을 무겁게 다루고 있다.  소갈증(消渴症)의 유형에는 ‘강중증(强中症)’이란 것이 있다.  이 증상은 당뇨병(糖尿病) 증세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색욕(色慾)에 탐닉하거나 준렬한 약성을 지닌 약재를 남용하여 체내의 필수 에너지원인 ‘진기(眞氣)’를 소모시켰을 때 야기되는 증상이다.  음식을 먹으면 끓는 물에 눈이 녹듯이 소화(消化)가 이상 촉진되어 쉽게 배고픔을 느껴 음식을 자꾸 섭취하려고 한다.  그러나 먹는 양에도 불구하고 날로 수척(瘦瘠)해져서 체중감소가 눈에 띄고, 소변(小便)의 형태는 기름이 둥둥 뜬 듯 한 모양을 보이며 배뇨(排尿) 상태도 절도가 없다.  입과 입술은 초췌할 .. 2024. 11. 17.
당뇨병(糖尿病)의 원인은? 성군(聖君) 세종대왕(世宗大王)은 갖가지 병마에 시달렸다고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에 기록되어 있다.  곁에 앉은 사람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만성적인 안질(眼疾)에 시달렸다고 하는데, 옆구리에 난 종창(腫瘡), 풍질(風疾) 때문에 같은 자리에 오래 앉아있지를 못했다고 하며, 각기(脚氣)가 심하여 보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하고, 소갈증(消渴症)까지 심했다고 한다.  이토록 심한 병고에 시달리자 왕실과 조정은 세종대왕(世宗大王)의 환후를 염려하여 흑염소를 달여서 드실 것을 지성으로 청하였으나, 세종대왕(世宗大王)은 흑염소가 다른 나라에서 들여온 귀한 짐승이라 약으로 써서 멸종케 할 수 없다면서 완곡히 사양하였다고 한다.  명군(名君) 세종대왕(世宗大王).  그러나 개인적으로 질병으로 오랫동.. 2024. 10. 30.
당뇨병(糖尿病)에 좋은 천화분차(天花粉茶) 하눌타리는 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덩굴진 풀로, 꽃은 자줏빛이고, 열매는 주홍색이며 달걀만하다.  “허울 좋은 하눌타리”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 말은 겉으로는 훌륭하나 그 속은 보잘 것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그렇지만 하눌타리 열매 속의 씨도 약으로 쓰이고, 뿌리인 괄루근(瓜蔞根)이나 괄루근(瓜蔞根)의 생즙을 짜서 말린 천화분(天花粉)도 좋은 약재로 쓰인다.  당뇨병(糖尿病)에 해당하는 병증을 한의학(韓醫學)에서는 ‘소갈증(消渴症)’이라고 하는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소갈증(消渴症)에 가장 으뜸 되는 약이 천화분(天花粉)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갈증(消渴症)의 ‘소(消)’란 소모(消耗)된다는 뜻으로 지방(脂肪)이 소모되어 야위고 소변(小便)이 잦아 체내 수분이 소모된다는 것이며, ‘갈(渴)’은 .. 2024. 9. 9.
당뇨병(糖尿病), 두려울 것이 없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을 간장(肝臟)의 소설(疏泄) 장애로 당(糖) 생성과 분해에 이상이 있거나, 위장(胃腸), 대장(大腸), 췌장(膵臟) 등 내장기의 열(熱) 축적에 따른 번열(煩熱)과 영양물질이나 호르몬 등 음액(陰液)이 부족한 상태인 음허(陰虛)에 의해 삼초(三焦) 기능에 장애가 와서 삼초(三焦) 부위에 발생하는 전신성, 복합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삼초(三焦)는 기체 대사를 하는 상초(上焦), 수분 대사를 하는 중초(中焦), 호르몬 대사를 하는 하초(下焦) 등 인체의 상중하부에 있는 기능계를 말한다.  당뇨병(糖尿病)은 병의 진행 시기와 경과 기간, 발병 원인, 발병 연령 등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의 혈당치가 120㎎/100㎖을 넘으면,.. 2024.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