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인간의 원시적인 욕망(欲望)을 절제하라. - 消渴 禁忌

by 예당한의원 2025. 5. 24.
반응형

당뇨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증상을 12가지로 분류하여 그림과 설명을 곁들인 그럼 사진
당뇨병 증상

 옛 말에 소갈병(消渴病)이라고 하는 것은 오늘날의 당뇨병(糖尿病)에 해당된다.

 

 구갈증(口渴症)이 심하여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小便) 횟수가 잦으며 소변(小便)의 맛이 달다고 하였다.

 

 소갈병(消渴病)의 경중(輕重)에 따라 소중(消中), 격소(膈消), 폐소(肺消), 소신(消腎),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보면 옛사람들도 당뇨병(糖尿病)에 관한 연구가 세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종기(腫氣)가 생기면 좀처럼 낫지 않아 위험하고, 다식(多食)을 하여도 점점 여위어가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빠지고, 시력(視力)도 약해지며 심하면 실명(失明)하게 된다고 하였다.

 

 ‘凡消痺肥貴人則膏粱之疾也 此人因數食甘美而多肥故 其氣上溢 轉爲消渴

 

 무릇 소단(消癉)은 살찌고 귀()하게 생긴 사람, 즉 부귀(富貴)한 사람이 미식(美食)을 하여 생기는 병()이다. 이런 사람들은 감미로운 음식을 자주 먹어 살이 찜으로써 기운이 위로 넘쳐서 소갈(消渴)이 되는 것이다.

 

 소단(消癉)은 소갈(消渴)과 같은 뜻이다.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란셋과 당뇨측정기를 통하여 당뇨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인의 오른쪽 검지 손가락 끝부분에 피를 내려고 하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당뇨 혈당 측정

 원래 당뇨병(糖尿病)이란 신장기능장애(腎臟機能障礙), 심장혈관부전(心臟血管不全), 수분대사중추장애(水分代謝中樞障礙) 등이 겹쳐서 생기는 전신병(全身病)으로 오랜 동안의 원인이 누적되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에도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禁忌法 : 消渴病 宜愼者有三 一飮酒 二房勞 三鹹食及麵 能愼此三者雖不服藥 亦可自愈

 

 당뇨병(糖尿病) 환자가 해서는 안 되는 것 : 소갈병(消渴病)에 삼가야 할 일이 세 가지 있으니, 첫째는 술을 마시지 말 것이며, 둘째는 성관계(性關係)를 삼가며, 셋째는 짠 음식과 면류를 먹지 말아야 한다. 이 세 가지를 잘 지키면 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저절로 병()을 고칠 수 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가장 원시적인 욕망(欲望)인 주(), (), ()의 세 가지가 지나치거나 마음이 언제나 불안(不安)하여 스트레스와 초조감에 사로잡혀 있을 때 당뇨병(糖尿病)이 유발되기 쉽다고 하니, 모든 것에 분수를 지키는 것이 당뇨병(糖尿病)을 예방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