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페식 식사에서 지나치게 가지 수 많게, 예를 들자면 육류(肉類)만 하더라도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모든 종류를 망라하고 거기에 햄, 소시지, 치즈에 생선까지 곁들여 먹었을 때 소화(消化)가 잘 되지를 않아 뱃속이 거북하게 될 때가 있다.
생각건대 너무 여러 가지 종류를 한꺼번에 먹다 보면 배합금기(配合禁忌)가 되는 음식물이 서로 상충되어 그런 결과가 되는 것 아닐까?
약(藥)을 여러 가지 배합할 때에도 병용효과니 상호작용이니 하는 복합효과가 나타나서 때로는 약효가 더욱 잘 나타나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약(藥)의 작용이 서로 상쇄되거나 흡수(吸收), 배설(排泄) 또는 대사(代謝)에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을 나타내어 지장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약(藥)을 복용할 때 음식물도 그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술이나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고 주의를 주는 경우가 있다.
옛사람들도 ‘복약식기(服藥食忌 : 약(藥)을 복용할 때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물)’를 지정하고 있다.
흔히 ‘계저주면(鷄猪酒麵)’이라고 하여 닭고기, 돼지고기, 술, 메밀국수 등의 음식이 좋지 않다고 되어 있는데, 과연 어느 정도로 어떻게 나쁜지를 과학화할 필요가 있다.
‘凡服藥 不可多食 生胡菜及蒜 雜生菜 又不可食諸滑物 果實等又不可多食 肥猪犬肉 油膩肥羹 魚膾腥臊等物 服藥通忌’
모든 약(藥)을 복용할 때 생고수풀, 마늘 및 여러 가지 날 채소를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또 모든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며 과일도 너무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기름진 돼지고기, 개고기, 기름진 고깃국, 생선회 등 비린 음식은 모두 약(藥)을 먹을 때는 피하여야 한다.
열(熱)이 나거나 몸의 컨디션이 나빠질 때는 자연히 입맛이 떨어지며 특히 기름진 고깃국 같은 것은 냄새만 맡아도 비위(脾胃)가 뒤집혀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도 자연의 섭리인 것 같다.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消化)기능 좋게 하고 술을 깨게 하는 영양 과일 - 柿有七絶 (1) | 2025.09.30 |
---|---|
소화(消化)를 돕고, 당뇨(糖尿)의 갈증(渴症)을 푸는 해독약(解毒藥) – 茶, 淸頭目藥 (0) | 2025.09.29 |
인체(人體)는 소우주(小宇宙), 자연법칙(自然法則)에 따르면 장수(長壽)한다. - 法則天地 (0) | 2025.09.28 |
기생충(寄生蟲)이 있으면 아무리 보약(補藥)을 먹어도 소용없다. - 五臟蟲 (0) | 2025.09.27 |
말을 많이 하면 그만큼 원기(元氣)를 해친다. - 言語法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