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사람은 밥보다 잠을 더 참아내지 못한다. - 老少之睡不同

by 예당한의원 2025. 5. 12.
반응형

중년의 서양 여성이 침대에 옆으로 누워서 파란색깔의 이불을 덮고 숙면을 취하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수면

 사람의 건강(健康)에 있어서 잠을 잘 잔다는 것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

 

 밥은 굶어도 며칠을 살 수 있지만, 잠을 자지 못하고는 생명(生命)을 지탱할 수 없다.

 

 그렇다고 잠을 잘 자기 위하여 수면제(睡眠劑)를 남용하다가는 영원히 잠들게 되는 수가 있으니 어찌 무섭지 않은가?

 

 요즘 숙면(熟眠)의 생리가 뇌파(腦波) 등을 측정하여 세밀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완전한 숙면(熟眠)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아도 충분하니 잠을 잘 때에는 전후불각(前後不覺)으로 완전하게 수면(睡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노소지수부동(老少之睡不同 : 노인과 젊은 사람은 잠자는 것이 다르다.)”라는 제목 아래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老人之不夜瞑 小壯之不晝瞑者何氣 壯者之氣血盛 其肌肉滑 氣道通榮衛之行不失其常故 晝精而夜瞑 老者之氣血衰 其肌肉枯 氣道澁 五藏之氣相搏 其榮氣衰 少而衛氣內代故 晝不精而 夜不眠

 

서양의 노인 부부가 침대에서 남편은 옆으로 누워서 잠을 잘 자고 있는데, 부인은 불면증 때문에 침대에 턱을 고이고 앉아 있는 것을 찍은 사진
노인 불면증

 노인(老人)은 밤에 자지 못하고 젊은 사람은 낮에 잠자지 않는 이치가 무엇 때문인가? 장년(壯年)은 기혈(氣血)이 왕성하고 피부(皮膚)나 근육(筋肉)이 모두 윤활하며 혈액순환(血液循環)이나 신진대사(新陳代謝)가 모두 정상적이기 때문에 낮에는 정신이 맑고 밤에야 잠을 자게 되는데, 노인(老人)은 기혈(氣血)이 쇠약하고 피부(皮膚)와 근육(筋肉)이 모두 말라빠지고 혈액순환(血液循環)이나 신진대사(新陳代謝)가 순조롭지 못하며 모든 내장(內臟)의 기능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낮에도 흐리멍덩하고 밤에도 자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뇌파(腦波)를 사용해서 밝혀낸 수면생리(睡眠生理)의 연구처럼 구체적이지 못한 흠은 있지만, 하여튼 모든 기능이 쇠약해서 노인(老人)의 잠자리가 건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만은 틀림없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멧대추의 씨인 산조인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산조인

 잠을 잘 못 이루는 사람은 산조인(酸棗仁)을 달여 마시면 좋다고 하였다.

 

 산조인(酸棗仁)은 보통 대추(大棗)보다 작은 멧대추의 씨인데, 현대 약학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신경진정(神經鎭靜)작용이 실제로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멧대추의 씨인 산조인을 불에 볶은 산조인초를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볶은 산조인

 ‘睡多則生用 不得睡則炒熱用之

 

 잠이 많은 사람은 날 것을 달여 마시고, 잠자지 못할 때는 볶아서 달여 마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