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

심장(心臟)을 보(補)하며 뇌(腦), 신경(神經)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 山芋粥 우리나라 음식 중에서 죽(粥)처럼 다양하면서도 특색 있고 맛 나는 음식은 드물 것이다. 얼핏 생각에는 밥거리가 없을 때 죽(粥)이라도 쑤어서 입에 풀칠하는 것으로 생각할는지 모르나 소화(消化)가 잘 되면서도 몸을 보(補)하는 음식으로 여러 가지 죽(粥)이 개발되어 왔다. 팥죽, 녹두죽, 콩죽, 율무죽, 호박죽, 깨죽, 잣죽, 전복죽, 우유죽 등이 있어 덜 깬 아침참에 간밤의 피로(疲勞)를 회복하는 데 한 그릇 먹음직하다. 산우죽(山芋粥)이라는 것은 마를 넣고 만든 죽(粥)인데,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자양강장제(滋養强壯劑)가 되며 당뇨병(糖尿病) 식사로도 아주 좋다. ‘山芋粥 能潤肺益氣 山芋生者去皮於石上 或新瓦上 細磨如泥 二合蜜二匙牛乳一鍾 於慢火上同炒 令極熟 乃投白粥一椀中攪 勻服之 不極熟則辣喉’ .. 2025. 9. 25.
조반(朝飯)으로 죽(粥)을 먹으면 정신(精神)이 맑아진다. - 백죽(白粥) 세상이 왜 그렇게도 촉박하게 돌아가는 것일까? 일에 쫓기다 보면 어느덧 해와 달이 바뀌게 마련이다. 이럴 때일수록 경황(景況)을 차려서 먹을 것은 먹고, 휴식해야 할 시간은 휴식을 취하도록 해야지 먹는 것, 자는 것까지 소홀히 해서 나의 생명이라는 본전마저 잃게 해서는 안 된다. 옛말에 ‘완물상지(玩物喪志)’라는 말이 있다. 사물에 사로잡혀서 인생의 본뜻을 잃는다는 의미인데, 아무리 사업이 중하더라도 건강(健康)을 해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해야 한다. ‘飮食有節 起居有常 不妄作勞’ 먹고 마시는데 절도(節度)가 있어야 하며, 자고 일어나고 활동하는데 규칙적이어야 하며, 함부로 몸을 헤프게 써서는 안 된다. 아침에 조반(朝飯)을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다르다. 국제적인 .. 2025.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