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양곽8 남성도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있다. 갱년기(更年期)라고 하면 흔히 여성 갱년기(更年期)를 생각하게 된다. 그만큼 여성에게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많이 나타난다는 얘기다. 여성이 갱년기(更年期)에 접어들면 아이도 못 낳고, 단지 하나의 빈껍데기가 되는 듯한 생각에 빠져 들게 된다. 이런 감정에서 비롯되는 여성의 갱년기(更年期), 신경질환(神經疾患)을 텅 빈 자궁(子宮) 탓이라 해서 ‘빈 둥지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그렇다면 자궁(子宮)이 없는 남자에게는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없을까? 아니다. 남성에게도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있다. 여성만큼 드러내 놓고 얘기를 하지 않을 뿐이지 수많은 남성들이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로 갖가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육체적 기능 저하와 함께 삶의 허탈이 심리적, 육체적 증상을 일으키기 때.. 2025. 1. 13. 흥분성(興奮性) 강정제(强精劑)로 바다에 사는 ‘해마(海馬)’라는 것이 있다.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제우스 대신의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져 있다가 열 달 만에 출산했다는 그리스 신화라면 몰라도 수컷이 새끼를 배고 낳았다는 실화가 있다면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믿기 어려운 사실을 연출하는 것이 해마(海馬)라는 바닷물고기다. 수놈이 자기 뱃속에 있는 알집 주머니라는 육아낭(育兒囊)에 암놈이 까는 알을 받아들인 후, 수놈 뱃속에서 수정, 부화시키는 애처가 노릇을 한다. 20여일 정도 품고 있다가 출산을 한다. 그러나 출산에 혼쭐이 났는지 새끼를 낳자마자 줄행랑을 치고 마는 비정(非情)의 부성(父性) 때문에 역시 동물은 새끼를 암컷이 낳고 기르기 마련인가 싶다. 탄생과 동시에 고아가 된 새끼 해마(海馬)는 적으로부터 생명을 스스로 지켜야 하고 스스로 먹이를 찾아야 하기 때문.. 2025. 1. 9. 인삼(人蔘)으로 체력을 다지면 직장에서도 빛이 난다. 인삼(人蔘)은 작업 능력이나 기억력(記憶力)을 증진시킨다. 방사선(放射線)에 의한 손상으로 빨리 회복시키며, 기아(飢餓) 상태를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고, 질병(疾病)에 대한 저항력(抵抗力)을 높인다. 알코올의 산화(酸化)를 촉진하여 숙취(宿醉)를 빨리 풀어주기도 한다. 또 성장발육(成長發育)을 돕고 성선(性腺) 자극 작용 및 성신경(性神經)에 대한 흥분 작용도 한다. 그래서 정낭(精囊), 난소(卵巢)의 무게가 늘며 정자(精子)가 증가하고 정자(精子) 활동이 활발해지고 정자(精子)의 체외생활 지속 시간도 길어지고, 배란(排卵) 날짜가 연장되기도 한다. 인삼(人蔘)은 조혈(造血) 기능을 자극하여 혈구(血球)를 늘리고 백혈구(白血球)의 탐식(貪食) 기능을 높이며, 산성체질(酸性體質)을 개선하고 각종.. 2024. 12. 24. 우울증(憂鬱症)에 특효인 음양곽(淫羊藿)은 정력강장제(精力强壯劑)이다. 우울하고 의욕이 감퇴되어 울증(鬱症)이 나타날 때에는 음양곽(淫羊藿)이 좋다. 옛 중국 사천 북부 지방에 하루에도 백회 이상 교미하는 색정이 강한 숫양이 있었는데, 이 음란한 양은 교미를 끝내면 콩잎 같은 풀을 뜯어먹고 정력(精力)을 회복한 뒤 광적인 교미를 거듭했기 때문에 이 최음(催淫)의 풀을 음양곽(淫羊藿)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이 음양곽(淫羊藿)이 우울증(憂鬱症)의 치료가 된다. 울증(鬱症)을 풀고 의욕을 돋우며 머리를 맑게 하고 삶의 보람을 추구하게 하는 신비의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물론 음양곽(淫羊藿)은 강력한 강정제(强精劑)이다. 혹설엔 옛날 한 노인이 이 풀을 먹고는 짚고 있던 지팡이를 내던지고 부랴부랴 집에 달려와 할머니 품에 안겼다는 기적 같은 얘기가 전해올 정도.. 2024. 11. 25. 불임증(不姙症), 남성의 책임도 있다. 결혼을 하고 정상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피임(避姙)을 하지 않았는데도 2년이 지나도록 임신(妊娠)을 하지 않았다면 불임증(不姙症)이 아닌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정성적으로 성관계를 맺은 부부의 90% 이상이 2년 안에 임신(妊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임증(不姙症)이라고 해서 다 같은 것은 아니다. 아예 임신(妊娠)을 한 번도 해보지 못한 불임(不姙)이 있는가 하면, 임신(妊娠)이나 출산(出産) 경험까지 있어서 멀쩡하다고 자부하는데도 더 이상 임신(妊娠)이 되지 않는 불임증(不姙症)도 있다. 한 번도 임신(妊娠)이 안 된 경우를 ‘원발성(原發性) 불임증(不姙症)’이라 하고, 경험은 있지만 더는 임신(妊娠)을 못하는 경우를 ‘속발성(續發性) 불임증(不姙症)’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원발성이든.. 2024. 11. 11. 인삼(人蔘)으로 체력을 보강한다. 인삼(人蔘) 한 가지만 끓여 마시면 약효가 강하므로 다른 약재가 식품과 배합해 복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인삼(人蔘)과 음양곽(淫羊藿)을 배합하면 성기능 쇠약이나 갱년기 장애에 효과적이다. 이것을 여러 동물에게 실험해 보니 거세한 수탉의 벼슬이 자랐고, 개의 고환이 커지며 정자수가 늘어났다고 한다. 또 암쥐의 젖꼭지가 핑크색을 띠고 난소(卵巢)와 자궁(子宮)의 무게가 늘어났다고 한다. 복용법은 인삼(人蔘) 6g을 끓인 물에 음양곽(淫羊藿) 12g을 넣어 10분 동안 우러낸 뒤 하룻동안 분복하면 된다. 또한 인삼(人蔘)과 오미자(五味子) 각 4g에 맥문동(麥門冬) 8g을 배합하면 간장(肝臟)과 심장(心臟)기능 강화에 좋다. 인삼(人蔘) 6g을 꿀물에 적시고 볶은 황기(黃芪) 12g을 배합해.. 2024. 7. 26. 흔히 먹는 식품으로 고혈압(高血壓)을 고친다. 고혈압(高血壓)에는 감즙, 무즙이 좋다. 감즙은 생감의 껍질을 벗긴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거즈에 싸서 힘껏 눌러 즙을 낸 것이다. 이것 2숟가락에 껍질째 갈은 무즙 2숟가락을 섞어 1회 양으로 먹되, 하루 2~3회 공복에 마시는 것이 좋다. 감에는 비타민-C가 사과의 8~10배나 들어 있고, 비타민-A와 칼슘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세포(細胞)를 싱싱하고 활기차게 만드는 각종 효소도 듬뿍 들어 있다. 특히 감의 타닌은 고혈압(高血壓)과 중풍(中風)에 효과가 있고, 신경(神經)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무는 껍질째 즙을 짜면 세포(細胞) 활성 효소가 풍부해 세포(細胞)와 혈관(血管)을 튼튼하게 하므로, 고혈압(高血壓)과 뇌출혈(腦出血)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위장(胃腸)이 약하고 소화(消化.. 2024. 5. 17. 불임(不姙, Infertility) 요즘에는 불임(不姙) 때문에 걱정하는 부부(夫婦)들이 의외로 많다. 보통 결혼(結婚)을 한 후 피임(避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2년 정도 지나도 임신(妊娠)이 되지 않으면 불임(不姙)이라고 한다. 불임(不姙)의 원인은 아주 다양하다. 호르몬에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고, 난관(卵管), 자궁(子宮) 등에 병이 생겨 정자(精子)나 수정란(受精卵)이 통과하는 난관(卵管)이 좁아지거나 약해지는 경우도 많다. 또 자궁경관(子宮頸管)이나 질(膣)에 문제가 생길 때도 불임(不姙)이 되기 쉽다. 그러나 불임(不姙)의 원인이 여성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요즘에는 남성 쪽의 원인으로 인한 불임(不姙)도 점차 증가해, 불임(不姙) 부부의 절반은 남성에게 문제가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불임(不姙) 검사를 받을 때는 부부(夫.. 2023. 11.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