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력4

간(肝)이 나쁘면 눈이 침침하다. 어느 내장(內臟)에 병(病)이 생겼을 때 그에 대응하는 증상이 얼굴이나 피부(皮膚)에 나타나는 수가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다. 가령 간(肝) 기능이 나빠지면 눈의 흰자위가 노래지며, 도대체가 몸 전체의 컨디션이 나빠지면 자연히 눈이 침침해질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눈이 광채(光彩)를 잃는다. ‘目者肝之竅’ 눈은 간(肝)의 밖에 나타난 구멍이다. ‘目者肝之外候···肝腎之氣充 則精彩光明 肝腎之氣乏 則昏蒙眩暈’ 눈은 간(肝) 기능이 밖으로 나타난 징후이기 때문에 간(肝) 기능과 스태미나가 충실하면 눈에 정기(精氣)가 감돌아 빛나고 모자라면 눈이 캄캄해지면서 현기증(眩氣症)이 생긴다. 이와 같은 간(肝) 기능과 눈과의 특별한 친화관계를 말하듯이 한의학(韓醫學)에서는 심(心), 비(脾), 폐(肺), .. 2025. 11. 23.
망원(望遠) 훈련 되풀이하면 노화(老化)를 방지할 수 있다. - 老人眼昏 흔히 하는 말에 사람이 늙는 징조는 ‘눈(目), 이빨(齒), 신(腎)’에 나타난다고 한다. 아무리 겉으로는 젊어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나이는 속일 수 없어 40대에 들어서면서 맨 처음 나타나는 징조가 시력(視力)이 나빠지는 것이다. 책을 들고 있는 손이 벌써 멀찌감치 떨어지게 된다. 눈의 조절력(調節力)이 저하되는 것이 40~45세경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노안(老眼)이라는 것인데 가까운 것을 볼 때 수정체(水晶體) 렌즈의 초점(焦點)을 맞추는 능력이 나빠지는 것이다. 그 다음에 나타나는 노화(老化) 현상이 치아(齒牙)가 나빠지는 것이며 다음이 신(腎)의 힘이 빠지는 것이다. 돋보기안경을 쓰지 않으려고 오기를 부려보지만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이 시력(視力)이 떨어지는 것을 통절하게 느끼게 마련이다... 2025. 9. 24.
결명자(決明子)는 충혈(充血)된 눈을 맑게 한다. - 讀書損目 언제나 독서(讀書)는 필요하다. 그런데 옛날과 달라서 요즘 인쇄물이 글씨가 너무 잘고 색채가 자극적이어서 눈이 피로(疲勞)하기 쉬우며 머리가 무겁고 눈이 아파지며 때로는 속이 메스꺼워지기까지 하는 안정피로(眼睛疲勞)가 되기 쉽다. 더군다나 생활환경이 복잡하게 되어 TV를 장시간 보거나, 환각적이면서도 원색적인 사이키델릭(Psychedelic) 무대를 보는 등의 눈을 혹사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신경성인 안정피로(眼睛疲勞)가 많다. 이와 같은 치료는 안과(眼科)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으로도 고찰하여야 한다. 생활태도, 정신상태 등을 고쳐서 건전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도 시력(視力)의 건강(健康)을 위하는 한 방법이 되겠다. 그러나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안정피로(眼睛疲勞)가 있을.. 2025. 9. 23.
건강(健康)이 좋아야 눈도 맑게 빛난다. - 眼病所因 사람이 늙는 징조가 어디에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가 하면 시력(視力)이라고 되어 있다. 40세가 지나면 잔글씨 보는데 눈과 글자와의 거리를 멀리 떼어 놓아야 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람의 원기(元氣), 그 중에서도 특히 간(肝)기능과 정력(精力) 및 시력(視力)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눈병이 생기는 원인을 수없이 나열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몇 가지를 골라보자. ‘生食五辛 夜讀細書 久處烟火 博奕不休 飮酒不休 泣淚過多 房室不節 數向日月輪看 冒涉風霜’ 다섯 가지 매운 것의 생식(生食), 밤에 잔글씨 읽기, 연기 자욱한 곳에 오래 있기, 도박(賭博)하느라고 밤새우기, 지나친 음주(飮酒), 울어서 눈물 많이 흘리기, 성관계(性關係)를 지나치게 하였을 때, 해나 달을 자주 쳐다보기, 찬바람.. 2025. 5.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