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화불량3 불섭생, 근심, 무절제가 원인 - 內傷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藥)이 소화제(消化劑)이다. 소화제(消化劑)는 소화불량(消化不良)에 사용하는 약(藥)이 아니냐고 하면 그만이지만 소화불량(消化不良)이 도대체 어떤 병(病)이냐고 하면 대답이 막힌다. 원인이 분명한 위장장애(胃腸障碍), 예컨대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술을 과음(過飮)한 후에 음식이 체(滯)해서 잘 내려가지 않아 트림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급성소화불량(急性消化不良)이라고 한다면, 이렇다 할 뚜렷한 위장병(胃腸病)도 없이 식욕(食慾)이 없고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아 전신(全身)에 기운(氣運)이 없는 사람들이 흔히 자기는 위장(胃腸)이 약해서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만성소화불량(慢性消化不良)이라고 할 수 있다. 소화불량(消化不良)은 하나의 증상이지.. 2025. 8. 23. 비기(脾氣), 위기(胃氣)가 허(虛)해도 병이 된다. 혀에 광택이 있고 설태(舌苔)가 없으면 위기(胃氣)가 심히 손상된 것이요, 위증(危症)이다. 그리고 설태(舌苔)가 얇은 것은 비위장(脾胃腸) 질병이 경증(輕症)이요, 두터운 것은 중병(重病)이다. 설태(舌苔)가 백색이면 비위장(脾胃腸)이 냉(冷)한 것이요, 황색(黃色)이면 비위장(脾胃腸)에 열(熱)이 있는 것이다. 또 혀가 건조한 것은 비위장(脾胃腸) 내의 진액(津液)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비위장(脾胃腸) 질병 중 위기(胃氣)나 비기(脾氣)가 허(虛)하면, 사지(四肢)가 권태롭고 식욕이 부진하며 식사 후 명치 밑에 통증이나 더부룩한 감을 느낀다. 그리고 트림, 신물 토함, 구토(嘔吐), 부종(浮腫)이 오며, 대변(大便)이 묽고 소변(小便)은 맑고 많다. 안색(顔色)은 누렇게 들떠 소위 위황.. 2024. 5. 29. 소화불량(消化不良, Dyspepsia)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해야 하는 사무직 근로자들은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消化)가 안 되는 증세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소화기관(消化器官)과 관련해서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세가 바로 소화불량(消化不良)이기도 하다. 식사는 잘 하는데, 왠지 속이 더부룩하고 속이 아픈 것이 주증상인 신경성(神經性) 소화불량(消化不良)이나, 위(胃)가 늘어진 위하수(胃下垂), 또는 위궤양(胃潰瘍), 위(胃) 협착증(狹窄症) 등도 직장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위장병(胃腸病)이다. 위장(胃腸)이 좋지 않아 소화(消化)가 잘 안 될 때는 밀가루 음식을 삼가고, 맵거나 짠 음식 등 자극성 있는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 장액(腸液)을 역류시키는 작용을 하는 담배, 카페인과 칼슘 성분이 많아 위산(胃酸) 분비를 촉진하는 우.. 2023. 10.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