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식2

소화(消化)를 돕고, 당뇨(糖尿)의 갈증(渴症)을 푸는 해독약(解毒藥) – 茶, 淸頭目藥 우리나라에 원래부터 차(茶)나무가 자생하여 온 것인지 또는 외국에서 전래된 것인지 전문학자들 사이에서도 분명치 않은 것 같다. 그러나 하여튼 차(茶)가 우리 생활에 깊숙이 뿌리박혀 온 것만은 틀림없는 것이 일상 쓰는 우리말 가운데 항다반사(恒茶飯事)니 다반사(茶飯事)니 하는 표현이라든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기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 또는 다례(茶禮)라고 하며 다식(茶食), 다식과(茶食菓), 다식판(茶食板) 등은 일상생활화 되어 왔고 속담에까지 “다식판(茶食板)에 막아내듯”이라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옛날에는 차(茶)가 일상생활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은 일본(日本)이 다도(茶道) 문화의 본고장처럼 되어 있으나 일본(日本)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차(.. 2025. 9. 29.
당뇨병(糖尿病), 두려울 것이 없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을 간장(肝臟)의 소설(疏泄) 장애로 당(糖) 생성과 분해에 이상이 있거나, 위장(胃腸), 대장(大腸), 췌장(膵臟) 등 내장기의 열(熱) 축적에 따른 번열(煩熱)과 영양물질이나 호르몬 등 음액(陰液)이 부족한 상태인 음허(陰虛)에 의해 삼초(三焦) 기능에 장애가 와서 삼초(三焦) 부위에 발생하는 전신성, 복합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삼초(三焦)는 기체 대사를 하는 상초(上焦), 수분 대사를 하는 중초(中焦), 호르몬 대사를 하는 하초(下焦) 등 인체의 상중하부에 있는 기능계를 말한다.  당뇨병(糖尿病)은 병의 진행 시기와 경과 기간, 발병 원인, 발병 연령 등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의 혈당치가 120㎎/100㎖을 넘으면,.. 2024.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