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강정제2

보신탕, 뱀장어는 음식(飮食)도 되고 정력제(精力劑)도 된다. - 令强熱大 정력제(精力劑)일 뿐만 아니라 여름철을 이겨내는 데는 그만큼 좋은 음식이 또 어디 있겠느냐고 한여름 내내 땀을 뻘뻘 흘리며 보신탕집을 드나드는 신사들이 있는가 하면, 그런 끔찍한 ‘몬도가네(Mondo Cane)’ 악식가(惡食家)들은 마주서기조차 싫다는 결벽가(潔癖家)도 있다. 개고기를 영양학적으로 따지자면 동물성 단백질 음식으로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별 다를 것이 없겠지만 개고기가 과연 정력제(精力劑)가 되느냐, 특별한 약효가 있느냐 하는 문제에 이르면 현대 과학으로서는 아직 이렇다 할 말이 없다. 그만큼 단백질이나 지방질의 약리작용을 따지는 것이 힘들며 아직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黃狗肉 壯陽道 和五味煮熱空心服’ 누렁 개고기는 양기(陽氣)를 왕성하게 해 주니 잘 양념을 하여 끓여서 공복.. 2025. 7. 30.
말벌벌집으로 만든 약이 복상사(腹上死)를 예방한다. 성행위 도중의 돌연사(突然死)를 복상사(腹上死)라고 한다.  일명 ‘상마풍(上馬風)’이라고도 하며 ‘색풍(色風)’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복상사(腹上死)는 흉측한 죽음, 즉 흉사(凶事)로 보기보다는 행복한 죽음, 즉 길사(吉事)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어차피 죽음이란 슬프고도 애석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돌연사(突然死)는 관상동맥경화증(冠狀動脈硬化症) 등 어떤 병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심장(心臟)의 혈액(血液) 공급이 원활치 못한 상태에서 성적흥분(性的興奮), 과음(過飮), 심한 스트레스 등의 자극을 받았을 때 갑자기 심장(心臟)의 근육(筋肉)이 마비(痲痺)를 일으켜서 오는 현상이다.  특히 비만체(肥滿體)이거나 애연가(愛煙家), 애주가(愛酒家)가 위험인물이며, 최음(催淫) 효과의 미약(媚藥.. 2025. 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