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에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라고 하였다.
더운 여름철에 무슨 감기냐는 뜻도 되고 여름 감기는 아주 고약하다는 뜻도 된다.
옛사람들은 여름철에는 복음(伏陰)이 재내(在內)하기 때문에 복중(腹中)이 냉(冷)하여 더위에 지쳐서 병(病)이 생긴다고 하였다.
요즘 말로 하면 더위 때문에 피부(皮膚) 혈관(血管)이 확대되어 체내의 혈액(血液)이 표면에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위장(胃腸)에는 혈액(血液)이 적어져서 소화(消化)기능이 떨어진다는 뜻도 되겠다.
기온(氣溫)이 높아서 신진대사(新陳代謝)는 왕성한데 섭취하는 영양분은 적고 찬물만 마시며 밤이 짧아 수면(睡眠) 시간이 부족하고 더위에 지쳐서 성미(性味)가 급해져 짜증만 나며 여름에는 여성들의 피부(皮膚) 노출 면적이 많아 남성의 눈길을 끌어 주색(酒色)이 지나치기 쉽고 이래저래 여름철은 고단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여름철에는 정력(精力)을 소모하는 일을 하여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夏月感寒者 乃取凉之過也 或納凉於凉亭水閣 風寒以傷其外 又食氷雪生冷苽果以傷其內 其證頭疼 身痛發熱 惡寒或胸痛嘔吐泄瀉’
여름철의 감기는 너무 냉(冷)하게 하여서 생기는 것이다. 예컨대 시원한 정자(亭子)나 강변(江邊)에서 피서(避暑)를 할 때 찬바람이 밖을 상하게 하고 빙수(氷水)나 차게 한 참외, 수박 등을 과식(過食)하여 뱃속을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여름 감기의 증상은 두통(頭痛)이 나면서 전신(全身)이 쑤시며 열(熱)이 나고 오한(惡寒)이 나며 때로는 가슴도 아프며 구토(嘔吐), 설사(泄瀉)하는 경우도 있다.
‘夏一季 是人脫精神之時 心旺腎衰腎化爲水 至秋乃凝 及冬始堅 尤宜保惜故 夏月不問老幼 悉喫煖物 至秋卽不患···腹中常煖者 諸疾自然不生 血氣壯盛也’
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기(精氣)가 빠지는 계절이며 심장(心臟) 활동만 왕성해지고 정력(精力)은 쇠퇴하여 모두 땀으로 나와 버리니 가을철에 들어서야 고정되기 시작하고 겨울에 비로소 굳어지니 만사에 무리하지 말고 노소(老少)를 불문하고 모두 더운 음식을 먹어야 가을이 되어도 병(病)이 생기지 않는다. 뱃속이 언제나 더운 사람은 모든 병(病)이 생기지 않으므로 혈기왕성(血氣旺盛)하게 되는 것이다.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지런한 활동이 건강(健康) 제일 - 氣逸則滯 (6) | 2025.07.31 |
---|---|
보신탕, 뱀장어는 음식(飮食)도 되고 정력제(精力劑)도 된다. - 令强熱大 (5) | 2025.07.30 |
중년 이후, 순리에 따르면 곱게 늙는다. - 弱陽諸物 (4) | 2025.07.29 |
중풍(中風), 안면마비(顔面麻痺) 솔잎술로 고칠 수 있다. - 治中風口喎 (5) | 2025.07.28 |
옛 사람들은 비상시에 솔잎가루로 생명을 유지했다. - 服松葉法 (4)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