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는 생체 활동을 추진해 주는 열에너지원이 있다.
이를 양기(陽氣)라고 한다.
양기(陽氣)가 허(虛)해지면 열에너지원이 바닥났으니 추위를 잘 탄다.
꽃샘추위에도 오슬오슬 떤다.
손발이 냉(冷)하다.
소변(小便)은 맑고 양이 많으며 횟수가 잦다.
그래서 잠자다 말고 수세 차례 소변(小便)보느라 일어나다 보니 숙면(熟眠)을 취할 수 없다.
걸핏하면 설사(泄瀉)를 하거나 대변(大便)이 묽고, 식사했다 하면 뒤가 무지근해서 잘 나오지도 않는 대변(大便)을 보느라 애를 쓴다.
귀울림, 시력감퇴(視力減退), 어지럼증, 가슴 두근거림이 나타나고 머리카락이 몰라보게 희어지거나 하고 집중력(集中力)이나 판단력(判斷力)도 떨어진다.
잠도 숙면(熟眠)을 취하지 못한다.
몽정(夢精), 조루증(早漏症) 등 성신경쇠약증(性神經衰弱症)도 두드러지게 심해지며 아예 성욕(性慾) 자체가 없다.
이런 증상을 양기(陽氣)가 허(虛)해진 증상이라고 한다.
이럴 때 가장 강력한 보양제(補陽劑)로 쓰이는 처방이 ‘반룡환(斑龍丸)’이다.
양기(陽氣)를 강화하며 골수(骨髓)를 보(補)하고 뼈를 튼튼하게 한다.
간장(肝臟)과 신장(腎臟) 기능을 강화하며, 심장(心臟)의 혈액(血液)과 신장(腎臟)의 정액(精液) 부족으로 심신(心身) 허약(虛弱)의 증상을 일으킨 데 쓸 수 있으며, 정신(精神)을 안정시켜 준다.
노화(老化)방지 작용까지 있어서 상복하면 병(病) 없이 장수(長壽)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 처방이다.
녹각교(鹿角膠), 녹각상(鹿角霜)과 함께 정신 신경 안정제인 백자인(柏子仁)과 보혈제(補血劑)인 숙지황(熟地黃), 그리고 위력이 대단한 정력(精力) 보강제인 토사자(菟絲子)를 각 300g씩 배합한다.
항스트레스 작용이 뛰어난 백복령(白茯苓)과 스태미나 강화제인 파고지(破古紙)도 각 150g씩 섞는다.
이상을 가루 내어 알약을 만든 것이 반룡환(斑龍丸)이다.
반드시 한의사(韓醫師)와 상담을 하여 본인의 체질(體質)에 맞는지를 확인을 한 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식품으로는 호두(胡桃)가 좋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호두(胡桃)는 살을 찌개 하고 몸을 튼튼하게 하며 피부(皮膚)를 윤택하게 하고 머리털을 검게 하며 기혈(氣血)을 보(補)하고 하초(下焦) 명문(命門)을 보(補)한다.’고 했다.
하초(下焦) 명문(命門)이란 인체에 절대 필요한 열 에너지원을 간직한 생명(生命)의 문(門)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양기(陽氣)의 발원지인 것이다.
까닭에 호두(胡桃)는 양기(陽氣)를 강화하는 식품인 셈이다.
호두(胡桃)는 고단백에 마그네슘, 망간, 철, 칼슘, 비타민-A, B, C, E 등을 함유하고 있고 아주 엄청난 열량을 지닌 강정(强精)식품이다.
개에게 호두(胡桃) 섞인 혼합지방 사료를 먹이면 몸무게가 아주 빨리 늘며, 혈청 알부민이 증가하고, 콜레스테롤의 체내 합성 및 그 산화와 배설에 일정한 영향을 미쳐 콜레스테롤을 조절해 준다고 한다.
그래서 양기(陽氣)가 허(虛)해진 중노년층의 보양제(補陽劑)로 그만이다.
호두(胡桃)는 이렇게 먹는 것이 좋다.
첫째, 호두육(胡桃肉)을 기름에 튀긴 다음 설탕을 조금 넣고 짓찧어서 자주 먹는다.
둘째, 내피(內皮)까지 벗긴 호두(胡桃) 10개와 쌀 한 컵을 물에 잘 불려 믹서에 갈고, 설탕으로 조미를 한 다음 끓여서 죽(粥)을 쑤어 수시로 먹는다.
셋째, 호두(胡桃) 10개와 뿔도마뱀 암수 한 쌍을 함께 가루 내어 4g씩, 1일 3회 온수로 복용한다.
뿔도마뱀은 건재약국에서 ‘합개(蛤蚧)’라는 약명으로 구입할 수 있다.
초강력 강정제(强精劑)인데, 반드시 암수 한 쌍을 함께 써야 효력이 있다.
'질병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미나를 위한 약용차(藥用茶)와 음식(飮食) (3) | 2025.01.04 |
---|---|
중년(中年)의 성기능(性機能) 강화식품으로 산딸기와 검은깨가 좋다. (10) | 2025.01.03 |
잘못 먹으면 해(害)가 되는 어패류(魚貝類) - (2) (5) | 2024.12.30 |
잘못 먹으면 해(害)가 되는 어패류(魚貝類) - (1) (8) | 2024.12.29 |
약(藥)이 되는 생선 (9)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