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공황장애(恐慌障礙)란?

by 예당한의원 2024. 10. 24.
반응형

공황장애로 고통을 받고 잇는 한 여성의 얼굴이 금이 가면서 정신이 분열되고 있는 것을 형상화 한 이미지 사진
공황장애

 요사이 걸핏하면 공황장애(恐慌障礙)라는 병명을 갖고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이유 없이 갑자기 공포심(恐怖心)이 극도로 심해지며 숨이 막히거나 심장(心臟)이 터져 버릴 것 같은 극단적인 불안(不安) 증세가 1시간가량 지속되며, 이 증상이 대개 주 2회 정도 나타날 때, 이를 공황장애(恐慌障礙)라고 한다.

 

 그러니까 예고 없이 발작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고, 비교적 순식간에 악화되었다가 빠르게 또는 서서히 가라앉는 것이 특징이다.

 

한 여성이 비닐 막 저편에서 나오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는 것을 형상화하면서, 공황장애로 인해서 답답해 하는 것을 형상화한 이미지 사진
공황장애

 주 증상은 강한 공포, 곧 죽지 않을까 하는 불안이며, 이와 함께 숨이 갑갑한 느낌, 어지럼증, 흉부 통증, 흉부 불쾌감, 질식감, 휘청거리는 느낌, 자기나 주위가 달라질 것 같은 비현실감, 발한(發汗), 메스꺼움, 복부 불편감, 손발이 저리는 감각 이상이나 몸의 떨림, 때로는 돌발적인 열감이나 냉감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울러 미칠 것 같은 조절 되지 않는 행동을 할 것 같은 공포, 또는 실신하거나 죽을 것 같은 공포 등이 엄습한다.

 

 또다시 이런 발작이 오지 않을까 하는 예기불안에 평소 매시간 떨게 되며, 발작이 일어났던 장소나 상황을 피하려는 회피행동이 나타나고, 외출을 피하고, 혼자 있기를 두려워하거나 광장공포증(廣場恐怖症)에 떨기도 한다.

 

한 어린 학생이 광장공포증으로 인해서 두려움에 어두운 방구석의 의자에 청바지와 긴팔을 입고 쪼그리고 앉아서 머리를 손으로 감싸며 고통스러워 하고 있는 사진
공황장애

 광장공포증(廣場恐怖症)이란 공공장소, 특히 급히 빠져나갈 수 없는 상황에 혼자 있게 되는 것에 대한 공포이다.

 

 이러한 공포의 결과로서 여행이 제한되고 집에서 나갈 때 동반자가 필요하게 되기도 하므로, 이를 경도, 중등도, 고도의 3단계로 나누고 있다.

 

 공황장애(恐慌障礙)의 반은 회복되는 편이다.

 

 그러나 공황장애(恐慌障礙)는 유전적 소인을 갖고 있어서 완전하게 치유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한 젊은 남성이 우울증으로 인해서 땅바닥에 무릎을 굽히고 쪼그리고 앉아서 안쪽 손으로 무릎을 잡고 괴로워 하고 있는 것일 형상화한 이미지 사진
우울증

 대략 20%가 만성화 경향을 보이는데, 만성화되면 70% 정도 우울증(憂鬱症)이 생겨날 가능성이 있고, 자살(自殺)의 우려도 있다.

 

 때로는 강박증(强迫症)이나 건강염려증(健康念慮症)이 합병되기도 한다.

 

 강박증(强迫症)이란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을 반복하는 상태로, 강박증(强迫症)으로 내재한 불안은 조절되지만 이런 사고나 행동을 중지하면 불안해서 견딜 수 없기 때문에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반복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의심을 확인하려는 행동, 쓸데없는 자질구레한 헛걱정을 되풀이 하는 것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이를 스스로 불합리하다고 인정하면서도 중단하지 못해 괴로워하게 된다.

 

 가정요법으로는 합환피차(合歡皮茶), 음양곽차(淫羊藿茶) 등이 좋은데 마음이 한결 편안해지고 다소의 도움이 되는 약차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자귀나무의 껍데기인 합환피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시킨 것을 편으로 썰어서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쌓아두고 찍은 사진
합환피

 합환피차(合歡皮茶)는 합환피(合歡皮) 12g을 물 50에 넣고 끓여 반으로 줄면 하루 동안 나누어 마시면 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음양곽 풀의 줄기와 잎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쌓아두고 찍은 사진
음양곽

 음양곽차(淫羊藿茶)는 음양곽(淫羊藿) 20g을 물 500~800에 넣고 10~20분 이내로 끓여 하루 동안에 여러 번 나누어 마시면 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보조요법(補助療法)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