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밤에 울고 짜증이 심할 때는

by 예당한의원 2024. 6. 26.
반응형

밤에 잠을 자지를 않고 떼를 쓰고 울면서 자꾸 엄마한테 가서 안기려고 침대 위로 올라오려고 하는 것을 찍은 사진
밤에 우는 아이

 짜증을 잘 부리는 신경질적인 어린이가 밤에 잘 울고 보채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한 밤울음증은 한증(寒證) 및 열증(熱證) 또는 입 안이 헐었을 때나 객오(客忤)에 의해서도 많이 온다.

 

 한증(寒證)은 배가 아파 우는 것으로, 입김이 싸늘하며 배가 차고 허리를 구부리고 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까치콩, 즉 백편두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한 것을 커다란 자루에 가득 담아두고 나무 숟가락을 꼿아 놓고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까치콩(백편두)

 이때에는 까치콩을 볶아 가루 내어 4g12~3회 진한 대추차로 먹인다.

 

 까치콩은 변두콩 또는 백편두(白扁豆)라고도 하는데, 까치콩이나 대추(大棗)는 신경안정(神經安靜)에 효과가 뛰어나다.

 

 열증(熱證)은 속이 답답해 우는 것으로, 얼굴이 벌겋고 소변(小便)이 붉으며 입 안과 배가 뜨겁다.

 

 그리고 땀을 흘리며 몸을 뒤로 젖히고 울거나, 초저녁부터 새벽까지 운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골풀의 속살, 즉 등심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똑같은 크기로 잘라 놓은 것을 한움큼 모아서 끈으로 묶은 것을 흰색 바닥 위에 놓고 찍은 사진
등심

 이때에는 골풀의 속살, 즉 등심(燈心)을 쓴다.

 

 이것은 신경(神經)을 안정시키고 열()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등심(燈心) 12g을 물 300로 끓여 반으로 줄어들면 하루 동안 조금씩 차게 식혀 먹는다.

 

 한편 입 안이 허는 것 역시 열()에 의해 오며, 밤에 울며 보채고 짜증 부린다.

 

 객오(客忤)는 이상한 물체에 놀란 병으로 누르스름하거나 하얀 거품을 게우며 물 설사(泄瀉)나 소화(消化)가 안 된 설사(泄瀉)를 한다.

 

 그리고 얼굴빛이 여러 가지 색으로 변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주엽나무의 열매, 즉 조협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말린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여러 개 놓아두고 찍은 사진
주염나무 열매(조협)

 이렇게 객오(客忤)로 밤에 울고 보채며 흰 거품을 게우고 설사(泄瀉)를 할 때는 주염나무 열매를 식초에 축인 후 숯처럼 되도록 불에 태워 그 연기를 쏘이도록 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굴조개껍질을 잘 세척한 후에 아주 잘게 갈은 것을 검고 네모난 그릇에 수북하게 쌓아두고 찍은 사진
굴조개껍질(모려)

 통용으로는 굴조개껍질을 쓴다.

 

 이것은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인산칼숨, 유산칼슘, 케라틴도 함유되어 있으며 진정(鎭靜)작용과 해열(解熱)작용이 강하다.

 

 그래서 초조, 불안해하고 밤에 보채면서 짜증낼 때 또는 미열(微熱)이 있거나 땀을 흘릴 때에는 굴조개껍질을 씻어 12g을 물 300로 끓여 하루 동안 여러 번 분복시킨다.

 

 진정, 해열에는 생껍질을 쓰고, 땀이 많을 때는 프라이팬에 볶은 후 끓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