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황정4

황정(黃精)은 늙지 않는 보약(補藥)이다. 황정(黃精)의 뿌리에는 영양가가 많아서 예로부터 신선(神仙)들이 즐겨 먹던 양식으로 알려져 왔다.  까닭에 선인유량(仙人遺糧)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 사슴들이 즐겨 찾아 먹는 풀이라 하여 녹죽(鹿竹)이라고도 한다.  이 황정(黃精)은 익히지 않은 채 날 것은 그대로 먹기도 하고, 이른 봄에 돋아난 새싹을 삶은 다음 나물처럼 무치거나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한다.  아니면 꽃을 따서 무쳐 먹을 수도 있다.  뿌리, 싹, 꽃 모두 영양가가 풍부해 몸에 좋다.  그래서 구황(救荒)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일명 구궁초(救窮草)라고도 불렸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와 있는 황정(黃精)을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뿌리, 줄기, 꽃, 열매 모두 복용할 수 있는데, 뿌리를 채취하여 먼저 물에 담가서 쓴.. 2025. 2. 10.
중년(中年)의 성기능(性機能) 강화식품으로 산딸기와 검은깨가 좋다. 중년(中年)이 되면 발기부전(勃起不全)이 자주 되거나 발기(勃起)가 되더라도 강도가 약해지게 마련이며, 성욕(性慾)은 있되 부부 화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중년(中年)답지 않게 조루(早漏)나 몽정(夢精)으로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때 미열(微熱)을 느끼거나 잠자는 동안 땀을 많이 흘리거나 잠을 깊게 이루지 못하고 괜히 번거롭고 답답해서 한숨을 쉬며 감정 조절이 안 되고 눈이 충혈(充血)되면서 갈증(渴症)이 심해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를 한의학(韓醫學)적 전문용어로 ‘음허화동(陰虛火動)’이라고 한다.  이럴 때는 산딸기가 좋다.  이걸 먹으면 소변(小便)이 어찌나 세어지는지 요강을 뒤엎어 넘어뜨릴 정도가 된다고 해서 ‘복분자(覆盆子)’라고 불리기도 한다.  말린 산딸기를 건재약국에서 구해서.. 2025. 1. 3.
젊어지는 황정(黃精)술 황정(黃精)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낚시둥글레의 뿌리줄기이다.  만물을 육성하는 황토(黃土)의 정기를 듬뿍 지녔다 해서 황정(黃精)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신선(神仙)들이 밥 대신 먹던 양식이라 해서 일명 ‘선인유량(仙人遺糧)’이라고도 한다.  낚시둥글레는 이른 봄 새싹을 삶아 무쳐 먹거나 기름에 볶아 먹으며, 꽃도 따서 무쳐 먹을 수 있고, 뿌리줄기를 쪄서 말렸다가 껍질을 벗겨 약으로 쓰기도 한다.  한나라 무제가 만난 노인이 황정(黃精)을 캐어 먹고 장수(長壽)했다고 하듯이 옥렬이라는 신선은 황정(黃精)을 먹고 338세에도 청년의 모습이었으며, 윤첩이라는 신선은 황정(黃精)의 꽃을 계속 먹어 수백 세를 살았다고 한다.  이러한 장수식품 황정(黃精)은 스테로이드 물질, 당분, 사포닌, 강심 배당체 .. 2024. 9. 23.
신선(神仙)이 먹던 선인주(仙人酒)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강정제(强精劑)로 쓰이는 단방으로 21가지를 권하고 있는데, 토사자(菟絲子), 육종용(肉蓯蓉), 오미자(五味子), 하수오(何首烏), 구기자(枸杞子)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중 구기자(枸杞子)는 장수(長壽)의 대명사로 꼽히는 ‘팽조’라는 신선(神仙)이 즐겨 먹었다고 한다.  그는 기원전 2,700년경의 중국 초대 천자였던 황제의 증손자로 은나라 말에 나이가 이미 700세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중국의 서하지방 사람들도 구기자(枸杞子)를 상복하여 피부(皮膚)가 윤택하고 근골(筋骨)이 강건하며,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이 강해서 허리 아픈 것도 모르고 지냈다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구기자(枸杞子)를 끓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어도 좋지만 술을 담가 먹으면 더 좋다고 했다. .. 2024.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