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압6

발이 건강해야 전신이 건강하다. 변강쇠가는 판소리 12마당의 하나인 가루지기타령이다.  남남북녀인 변강쇠와 옹녀가 장승을 패어 태운 죄로 죽은 뒤 앙갚음을 받는 음잡한 소리인데, 이중 옹녀는 이렇게 하소연조의 타령을 한다.  ‘사주에 청상(靑孀)살이 겹겹이 쌓인 고로 상부를 하여도 징글징글하고 지긋지긋하게 단콩 주어먹듯 하것다. 열다섯에 얻은 서방 첫날 밤 잠자리에 급상한(急傷寒)에 죽고, 열여섯에 얻은 서방 당창병(唐瘡病, 매독)에 튀고, 열일곱에 얻는 서방 용천병(湧泉病)이 펴고, 이렇게 해서 스무 살까지 다섯 서방을 얻었건만 모두 죽어 서방에 회가 나고 송장 치기 신물 난다.’  타령에 나오는 용천병(湧泉病)이란 용천(湧泉)이라는 경혈에 생긴 종양(腫瘍)을 말한다.  용천(湧泉) 경혈은 발바닥에 있는 경혈이다.  자세히 말하면 엄.. 2025. 3. 1.
대맥(帶脈)을 자극해야 건강할 수 있다. 인체를 앞쪽에서 좌우로 나누는 임맥(任脈)은 복부(腹部) 한가운데를 지나는 선으로 이것은 인체의 모든 음(陰)에너지 즉 음기(陰氣)를 담임 선생님처럼 통괄하고 있다.  또 독맥(督脈)은 척추(脊椎) 정중선을 지나는 선이나 뒷머리의 움푹 파인 선으로 이것은 인체의 모든 양(陽)에너지 즉 양기(陽氣)를 감독하며 통괄하고 있다.  만일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이 약해지면 음양(陰陽)은 조화를 잃게 되고, 인체 기능은 좌우로 쪼개지고 말 것이다.  그래서 대맥(帶脈)이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이 좌우로 흩어지지 않도록 허리띠처럼 몸통 한가운데를 묶는 역할을 한다.  대맥(帶脈)은 배꼽을 중심으로 가로로 몸통을 휘감고 돌면서 인체의 앞과 뒤, 인체의 오른쪽과 왼쪽을 꽉 묶고 있는 띠와 같은 것이며, 아울러 인.. 2024. 10. 1.
간단한 병은 지압(指壓)으로 해결하자. 기(氣)란 생체 에너지원이요, 생명(生命)의 추진력이며, 질병(疾病)을 이겨내는 저항력(抵抗力)이다.  이 기(氣)를 체표(體表)에 자극하여 생체 내에 전달한다면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축농증(蓄膿症)일 때는 ‘천주(天柱)’경혈을 지압, 자극하여 기(氣)를 생체 내에 전달한다.  이 경혈은 뒷머리카락 시작 부위의 홈파진 중앙선에서 좌우 3㎝ 양옆에 있다.  또 집게와 셋째손가락을 펴 V자를 취하여 콧방울 양쪽 주위를 문지른다.  콧방울 바로 옆 부분에는 ‘영향(迎香)’경혈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향기를 맞아들인다는 뜻이다.  따라서 냄새를 잘 맡지 못할 때나 비염(鼻炎)에도 효과가 있다.  기분 울체나 분노에 의한 스트레스성 두통(頭痛)에는 ‘태양(太陽)’경혈을 지압하면 좋다.  이 경혈은.. 2024. 9. 30.
두통(頭痛)을 해소하는 지압법 두통(頭痛)에는 지압(指壓)이 좋다.  지압(指壓)은 태양(太陽), 풍지(風池), 풍부(風府), 태충(太衝), 내관(內關), 용천(湧泉) 경혈을 중심으로 세게 누르지 말고 가벼운 압력으로 10초씩 지속적으로 3회 정도 한다.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와 귀 중간에 있는데, 무엇을 씹으면 움직이는 곳이다.  이 부위는 신경(神經)이 예민해졌을 때 퍼런 핏줄이 불룩 튀어 나온다.  따라서 기분(氣分)의 울체(鬱滯)나 울화(鬱火), 분노(忿怒)에 의한 두통(頭痛) 등 스트레스성 두통(頭痛)에 효과가 있다.  풍지(風池) 경혈은 유양돌기(乳樣突起) 뒤쪽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곳인데, 유양돌기(乳樣突起)란 귀 뒤에서 뒷머리카락 쪽에 있는 엄지손톱 크기의 둥근 돌기이다.  풍부(風府) 경혈은 좌우 두 .. 2024. 8. 13.
화병(火病)을 기(氣)로 다스린다. 슬픔이 남에게 향할 때 슬픔은 한(恨)이 되고, 한(恨)이 자신의 가슴속에 쌓일 때 한(恨)은 울화(鬱火)로 바뀌어 화병(火病)을 일으킨다.  이처럼 화병(火病)은 감정의 격앙이 정신과 신체 조절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기(氣)의 조절이 제대로 되지 못해 이루어진 병이라고 할 수 있다.  기(氣)란 생체 에너지원이요, 장기(臟器) 기능의 추진력이며, 질병(疾病)을 막는 저항력(抵抗力)이다.  그래서 화병(火病)일 때는 기력(氣力)이 떨어지고 의욕(意慾)이 저하되며 온몸이 쑤시고 아파온다.  장기(臟器) 기능도 제대로 추진되지 못해 식욕(食慾)이 떨어지고 소화(消化)가 안 되며 숨이 차다.  소변(小便) 역시 좋지 않고, 생리통(生理痛)이나 월경불순(月經不順)이 오며 질병이 잘 올 수도 있다. .. 2024. 6. 21.
저혈압(低血壓)에 좋은 가정요법 저혈압(低血壓)에는 제1흉추부터 제12흉추까지 척추(脊椎) 양옆으로 부항(附缸)을 붙여 진공상태를 만든 뒤 혈액(血液)을 빨아들여 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가 있다.  부항(附缸)요법에는 침(鍼)을 놓고 피를 빼는 습부항법(濕附缸法)인 포지티브 요법과 그저 체표(體表)에 부항(附缸)만을 붙이는 건부항법(乾附缸法)인 네거티브 요법이 있는데, 가정에서는 건부항법(乾附缸法)인 네거티브 요법을 쓴다.  혈액(血液)이 깨끗해져 흐름이 좋아지며, 전신 기능이 강화되고 잔병이 없어지며, 특히 결리고 쑤시는 증상이나 근육(筋肉)의 뭉침이 풀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전신 건강을 위해서라도 부항(附缸)을 자주 붙여 보자.  물론 지압(指壓)도 전신 건강에 좋고 손 자극만으로도 전신 건강이 활기를 띤다.  생체에는 생명 에너.. 2024.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