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체3

마음이 흐트러져 고민과 갈등이 생기면 육체도 병든다. - 神見於外 사람의 생명현상(生命現狀)을 관조하는데 있어서 옛사람들은 지나치게 정신(精神)에 치중한 나머지 물질적인 법칙을 무시하였던 감이 있고 현대과학은 반대로 물질로만 육체(肉體)를 보고 육체(肉體) 뒤에서 정신(精神)이 원동력 작용을 하는 것을 소홀히 하였던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심신상관의학(心身相關醫學)이 발달됨에 따라 정신(精神)작용이 사람의 건강(健康)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알려져 가고 있다. 마음이 편안하면 건강(健康)하고, 마음이 흐트러져 고민(苦悶)과 갈등(葛藤)이 생기면 육체(肉體)도 따라서 병(病)들게 된다는 것이다. 또 이와 반대로 육체(肉體)가 병(病)들어 쇠약하면 정신(精神)과 신경(神經)도 약해지게 마련이다. 정신(精神)과 육체(肉體)를 이원론적으로 .. 2025. 9. 3.
마음을 다스리면 육체(肉體)도 건강(健康)하다. - 火爲元氣之賊 사람의 성미(性味)가 병(病)이나 건강(健康)과 관계가 깊다는 것은 누구나 다 느끼는 바이지만, 미국의 의사(醫師)이자 심신의학자(心身醫學者)인 마이어 프리드먼(Meyer Friedman) 박사가 성격(性格) 패턴과 심장병(心臟病)과의 상관성을 통계적으로 연구한 결과가 보도되었다. 성격(性格)이 깔끔하고 무슨 일이든지 끝장을 봐야 하고 한 번 틀린 사람과는 다시는 사귀지 않는 철저한 성미(性味)를 지닌 사람을 A형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로 둥글둥글하여 얼른 보면 무원칙적인 것 같으면서도 마찰 없이 일을 처리해 나가는 사람을 B형이라고 하여 사람의 형태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 것이다. 그런데 심장질환(心臟疾患)은 주로 A형인 사람에게 많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차츰 확대시켜 보았더니 심장병(心臟病)뿐만 .. 2025. 7. 18.
건강한 정신(精神)은 완전한 건강(健康)을 선물한다. 건전한 육체(肉體)는 정신(精神)을 더욱 건전하게 한다.  정신(精神)이야말로 건전한 육체(肉體)의 밑거름이 된다.  그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도 인체에 가장 필요한 세 보물로 정(精), 기(氣), 신(神)을 들고 있다.  그리고 우리말에도 ‘정신(精神)이 나가다.’, ‘넋이 빠지다.’하여 정신(精神), 넋이 건전치 못하면 육체적으로도 얼마나 건전치 못한 증상들이 나타나는지를 여실히 표현하고 있다.  ‘간이 콩알만 하다.’, ‘쓸개 빼진 놈’, ‘심보 사납다.’, ‘비위 거스른다.’, ‘허파에 바람 든다.’하는 말로써 육체적 여러 증상들이 모두 정신(精神)의 건전성이나 불건전성에 의해 좌우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여기고 있을 정도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기쁨, 노여움, 슬픔, 공포 등 일곱 가지 정..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