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종용7

노인(老人)에게 좋은 양삼탕(兩蔘湯) 인삼(人蔘), 구기자(枸杞子), 육종용(肉蓯蓉)의 한약재 끓인 물에, 닭 날개 튀긴 것을 넣고, 닭 뼈 국물을 부어 10분간 찐다. 여기에 간장, 설탕을 넣고 버섯, 해삼(海蔘)을 섞어 3~4분 정도 볶다가 간 맞추고 물 녹말로 걸쭉하게 한 다음 참기름, 조미료 등으로 마무리를 한다.  노인식(老人食)으로 먹는 약닭이 있다.  노인식(老人食)이란 글자 그대로 노인(老人)의 건강(健康)을 위한 음식이다.  각종 노인병(老人病)을 예방하여 보다 장수(長壽)할 수 있는 건강식이어야 하며, 노인(老人)들은 소화력(消化力)이 감퇴되어 있으므로 쉽게 소화(消化)되는 음식이어야 한다.  치아(齒牙)가 부실하므로 될수록 부드러워야 하고, 흡수력(吸收力)이 약하므로 강력한 영양식(營養食)이어야 하며, 장(腸)의 연동(蠕.. 2025. 4. 2.
정력(精力)을 살리는 처방 몇 가지 뱀밥풀(뱀도랏)은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 뱀이 이 풀 덩굴에 몸을 서리고 이 씨를 즐겨 먹는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이 씨를 약명으로는 사상자(蛇床子)라고 한다.  강정(强精)작용이 대단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실험적으로 사상자(蛇床子) 엑기스는 남성호르몬 같은 작용을 하며 최음(催淫)작용을 한다.  또한 자궁(子宮) 및 난소(卵巢)의 무게를 증가시킨다는 것도 밝혀졌다.  그래서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부인의 자궁(子宮)을 뜨겁게 하고 남자의 음력(淫力)을 강하게 한다.’고 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비록 남자뿐만이 아니라 여자에게도 이익이 된다.’고 하면서, ‘세상 사람들은 이 같은 효능이 있는 사상자(蛇床子)를 모르고 외국이나 먼 곳에서 보약(補藥)을 찾고 있다.’고 개탄하고 있다... 2025. 2. 22.
흥분성(興奮性) 강정제(强精劑)로 바다에 사는 ‘해마(海馬)’라는 것이 있다.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제우스 대신의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져 있다가 열 달 만에 출산했다는 그리스 신화라면 몰라도 수컷이 새끼를 배고 낳았다는 실화가 있다면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믿기 어려운 사실을 연출하는 것이 해마(海馬)라는 바닷물고기다.  수놈이 자기 뱃속에 있는 알집 주머니라는 육아낭(育兒囊)에 암놈이 까는 알을 받아들인 후, 수놈 뱃속에서 수정, 부화시키는 애처가 노릇을 한다.  20여일 정도 품고 있다가 출산을 한다.  그러나 출산에 혼쭐이 났는지 새끼를 낳자마자 줄행랑을 치고 마는 비정(非情)의 부성(父性) 때문에 역시 동물은 새끼를 암컷이 낳고 기르기 마련인가 싶다.  탄생과 동시에 고아가 된 새끼 해마(海馬)는 적으로부터 생명을 스스로 지켜야 하고 스스로 먹이를 찾아야 하기 때문.. 2025. 1. 9.
육종용(肉蓯蓉)이라는 정력제(精力劑)는? 육종용(肉蓯蓉)은 양귀비(楊貴妃), 그리고 중국의 많은 궁녀들이 은밀히 애용했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약재로 일명 ‘사막의 인삼(人蔘)’으로 불리고 있다.  주로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陰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의 하나이다.  이것을 정력증강(精力增强)의 요약(要藥)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그의 생김새가 남성의 그것과 너무 흡사할 뿐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마저 남성의 그것과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고양이 이것을 즐기기 때문에 이 약물 속에 성(性) 유인물질(誘引物質)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까닭이었을 것이다.  사실 육종용(肉蓯蓉)은 교감신경(交感神經)을 강하게 하고 고환(睾丸)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땅 속의 정기(精氣)를 듬뿍 흡수한 금덩어리같.. 2025. 1. 8.
변비(便祕)로부터 해방됩시다. 변비(便祕)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려면 우선 규칙적인 배변(排便) 습관을 가져야 한다.  조건반사 원리 그대로 배변(排便) 역시 생체 시계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변의(便意)야 있건 없건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에 갔다 오는 습관을 들이다 보면 생체 시계가 여기에 맞춰져 그 시간만 되면 어김없이 변의(便意)를 느끼게 되고 고질적인 변비(便祕)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수가 많다.  이와 더불어 변(便)의 양을 늘리고 장(腸)의 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는 섬유질 식품을 많이 먹는다.  섬유질은 야채, 해조류, 버섯, 과일 등에 많은데, 비만(肥滿)은 물론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가정요법으로 변비(便祕)에 좋은 것을 꼽으라면 단연코 알로에가 첫손에 꼽힌다.  알로에는 장연동(腸蠕動) 운동을 항진시키고 식욕.. 2024. 6. 9.
간경화(肝硬化), 이렇게 다스린다. 간경화(肝硬化)란 섬유조직 증식, 간세포의 결절성 재생, 가짜 소엽 형성 등 3가지 변화로 진행되어, 간혈관의 만곡, 변형이 일어나, 간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모든 형태의 만성 간질환을 말한다.  이 병은 대상형 초기 증상을 거쳐 복수기와 혼수기로 악화될 수 있으며, 일부는 간암(肝癌)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무서운 질병에 걸릴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간경화(肝硬化)는 우선 민간요법보다 주치의의 지시를 엄격히 따라야 한다.  그리고 영양물질 대사장애성 간경화(肝硬化) 초기 때는 인진쑥 15g씩을 끓여 차(茶)로 마신다.  이것은 황달(黃疸)에도 좋은데, 해열(解熱)작용이 있고 혈청 콜레스테롤과 베타-리포프로테인을 떨어뜨리며 담즙(膽汁) 분비를 촉진하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간헐적으로 초룡담(.. 2024. 6. 3.
해삼을 이용한 음식보약 “부부화합에 매우 좋은 음식이다.” 해삼(海蔘)은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貧血)을 보(補)하고, 치아(齒牙)와 골격(骨格)의 형성을 도우며, 근육(筋肉)의 정상적인 수축과 혈액(血液) 응고(凝固)에 절대적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 그래서 성장기(成長期) 어린이나 임신부(姙娠婦)에게도 좋은데 특히 부부(夫婦)가 함께 먹으면 부부화합(夫婦和合)과 금실(琴瑟)이 좋아지는 신비한 효능이 있다. 말린 해삼(海蔘)은 보통 해삼(海蔘)보다 단백질이 32%나 증가하기 때문에 말린 해삼을 넣은 요리는 예로부터 중국에서도 신선(神仙)들이 먹는 음식이라고 했을 정도다. 한방서적에 보면 ‘의부인’이라고 해서 임신부(姙娠婦)와 부녀자(婦女子)에게 좋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해삼(海蔘)의 콘드라이친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이 콘.. 2024.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