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욕부진4 남성 호르몬 작용과 정액(精液)을 증가시키는 약 – 淫羊藿 여성에게는 뚜렷한 갱년기(更年期)가 있지만 남성은 유야무야로 갱년기(更年期)를 넘기게 된다. 그러나 머리털에 차츰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고 눈이 멀어지는 것까지는 좋은데, 정력(精力)이 현저하게 감퇴되기 시작하면 인생(人生)이 갑자기 삭막해지고 의욕(意慾)이 떨어지게 되는데, 그게 바로 남성의 갱년기(更年期)인 것이다. 이런 때 잘못하면 성호르몬제 주사니 정력제(精力劑)니 하여 부작용(副作用) 있는 약(藥)을 남용하여 도리어 노화(老化)를 촉진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런 분들에게 생약(生藥)으로 되어 있는 정력강장제(精力强壯劑)를 소개하고자 한다. ‘淫羊藿 : 主陰萎 此興陽之劑也 取一斤酒浸服之 或作丸 久服亦可 補腰膝 丈夫絶陽不起 女人絶陰無子 老人昏耄 中年健忘 益氣力 堅筋骨 丈夫久服令有子 一名 仙靈脾 .. 2025. 6. 1. 밥 안 먹고 투정 부릴 때는 어린이가 밥 안 먹고 투정부리다 못해 음식 냄새까지 싫어하고 음식만 봐도 메스꺼워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 신경성(神經性)일 경우로서 감정 변화에 따라 식욕도 변하며 트림을 하고 옆구리가 아프다. 이럴 경우에는 차조기 잎이 좋다. 차조기 잎을 1일 12g씩 끓여 하루 동안 나누어 먹이도록 한다. 이것은 신경성(神經性) 식욕부진(食慾不振)은 물론 투정부리고 짜증부리는 것마저 내리며 감기도 예방한다. 둘째, 식사가 불규칙하거나 기름진 것 또는 단 것을 선호하여 식욕이 떨어진 경우인데, 음식 냄새를 싫어하고 피곤(疲困)이 심하며 대변(大便)이 시원치 않다. 이럴 경우에는 치자(梔子) 열매 1개를 으깨어 뜨거운 물을 붓고 10분간 우려내 윗물만 먹인다. 셋째, 열성(熱性) 질환을 .. 2024. 6. 25. 입맛이 없다.(食慾不振, Anorexia) 신경(神經)을 많이 쓰고 긴장(緊張)을 많이 하게 되는 수험생(受驗生)의 경우, 식욕부진(食慾不振)인 예가 많다. 편식(偏食)하면 신경질적인 성격으로 변하고, 정서(情緖)와 안정성(安定性)에 문제가 생긴 듯, 식욕부진(食慾不振) 또한 만사에 의욕(意慾)을 잃게 하고, 전신의 기력(氣力)이 약해지고, 정서불안(情緖不安)이 오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심한 경우에는 표준 체중보다 20% 이상이나 말라서 매우 수척해진 경우들도 볼 수 있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월경(月經)을 안하거나 월경량(月經量)이 현저히 주는 등 심각한 월경불순(月經不順)까지 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래서 편식(偏食)하거나 식욕부진(食慾不振)으로 소식(小食)하는 경우에는 이를 빨리 개선해야 한다. 특별히 질병 때문인지를 .. 2023. 12. 7. 밥투정이 심하다.(食慾不振, Anorexia) 식사 때마다 먹지 않으려는 아이와 씨름을 하는 엄마들이 있다. 하지만 먹기를 싫어하는 것이 일시적이며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란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문제는 먹기 싫어하는 아이들 대부분이 허약(虛弱)한 체질(體質)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가 밥투정을 부리며 잘 안 먹으려 하면, 억지로 먹기를 강요하기보다는 아이의 체질(體質)을 강화해 주는 것이 급선무이다. 영양(營養)이 풍부하고 체질(體質)을 강화할 수 있는 음식들을 중심으로 균형 있는 식단을 짜는 것이 필요하고, 조리법 역시 소화흡수(消化吸收)가 잘 되고 식욕(食慾)을 자극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량음료나 인스턴트 음식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 대추건강약밥 – 영양(營養)이 풍부해 간식으로 좋다. 대추(大.. 2023. 11.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