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리밥3

치질(痔疾)은 식생활 개선으로 고칠 수 있다. - 治病治法 병원의 외과(外科)를 찾는 환자의 약 60%가 치질(痔疾)환자라고 할 정도로 치질(痔疾)을 앓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다. 치질(痔疾)은 직장(直腸) 하부 항문(肛門) 근처의 혈액순환(血液循環)이 나빠서 울혈(鬱血)되어 정맥(靜脈)이 부풀어 올라 생긴다. 원인은 산성식품(酸性食品), 예컨대 쌀밥, 육류(肉類) 등의 과식(過食), 전신(全身)의 울혈(鬱血), 직장(直腸) 점막(粘膜)의 만성적인 자극, 술이나 매운 음식, 운동(運動) 부족, 직업상 하루 종일 앉아 있거나 서 있어야 할 때, 동물성 지방(脂肪)의 과잉 섭취, 전립선비대(前立腺肥大), 부인(婦人)인 경우에는 임신(妊娠) 때에 자궁(子宮)이 팽창되어 항문(肛門) 근처의 혈액순환(血液循環)이 나빠져서 생긴다. 치질(痔疾)의 예방은 .. 2025. 8. 18.
보리밥은 오장(五臟)을 튼튼하게 한다. - 五穀之長 요즘 일본(日本)에서는 보리밥이 성인병(成人病) 예방 또는 치료약이 된다고 하여 보리 혼식(混食)이 크게 보급되고 있다. 쌀이 남아서 수출하는 형편이니 쌀 모자라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억지로 보리 혼식(混食)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장내(腸內) 세균(細菌)의 번식이 잘되어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비타민-B5)과 비타민-B6 등이 많이 생겨 그것이 혈관(血管)의 탄력성을 좋게 하여 주는 결합질 생성에 없어서는 아니 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쌀밥을 먹으면 바로 혈당(血糖) 수치가 상승된다. 그러나 보리밥은 그런 폐단이 없기 때문에 당뇨식(糖尿食)으로 좋다는 것도 이미 상식이 되어 가고 있다. ‘糯米 : 令人多熱 大便堅 壅諸經絡氣 使四肢不收 發風動氣.. 2025. 7. 15.
딸기, 보리 - 소양인(少陽人)에게 맞는 음식 ◉ 딸기 - 잇몸에서 피가 날 때나 구취(口臭)에 딸기우유가 좋다. 딸기는 잇몸을 튼튼하게 해주므로, 잇몸에서 피가 잘 나고 치조농루(齒槽膿漏)로 고생하기 쉬우며 구내염(口內炎)에 잘 걸리고 구취(口臭)가 심해지기 쉬운 소양인(少陽人)에게 좋다. 또, 딸기에는 철분(鐵分)이 많이 들어 있어 빈혈(貧血)이 있는 사람에게 좋고 혈색(血色)도 좋게 해준다. 비타민-C를 비롯하여 피부(皮膚)를 윤택하게 해 주는 여러 가지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들이 해열(解熱), 이뇨(利尿), 거담(去痰) 작용도 하기 때문에 감기(感氣), 기관지염(氣管支炎), 기타 호흡기(呼吸器) 질병에 딸기를 먹으면 좋다. 딸기는 간세포(肝細胞)의 기능을 되살려주는 작용도 한다. 따라서 담배 피는 소양인(少陽人) 여성은 딸기를 많이 먹.. 2023.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