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로4 마음이 흐트러져 고민과 갈등이 생기면 육체도 병든다. - 神見於外 사람의 생명현상(生命現狀)을 관조하는데 있어서 옛사람들은 지나치게 정신(精神)에 치중한 나머지 물질적인 법칙을 무시하였던 감이 있고 현대과학은 반대로 물질로만 육체(肉體)를 보고 육체(肉體) 뒤에서 정신(精神)이 원동력 작용을 하는 것을 소홀히 하였던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심신상관의학(心身相關醫學)이 발달됨에 따라 정신(精神)작용이 사람의 건강(健康)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알려져 가고 있다. 마음이 편안하면 건강(健康)하고, 마음이 흐트러져 고민(苦悶)과 갈등(葛藤)이 생기면 육체(肉體)도 따라서 병(病)들게 된다는 것이다. 또 이와 반대로 육체(肉體)가 병(病)들어 쇠약하면 정신(精神)과 신경(神經)도 약해지게 마련이다. 정신(精神)과 육체(肉體)를 이원론적으로 .. 2025. 9. 3. 식욕(食慾)이 없으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 不嗜飮食 소화(消化)기능과 식욕(食慾)은 전신 건강상태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당뇨병(糖尿病)처럼 식사조절을 해야 할 경우에 너무 병적으로 식욕(食慾)이 좋아서 곤란한 예외도 있다. 그러므로 소화(消化)기능이 약해지고 식욕(食慾)이 신통치 않은 것을 단순히 위장병(胃腸病)으로 생각하여 소화제(消化劑)로 다스릴 것이 아니라 보다 더 근본적인 원기(元氣) 회복의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不嗜飮食 由下元陽衰 : 不進食 服補脾藥不効者 蓋腎氣怯弱 眞元衰削 是以不能消化飮食 譬之鼎釜之中置諸米殺 下無火力 終日米不熱其何能化’ 식욕(食慾)이 떨어져서 구미(口味)가 없는 것은 하초(下焦)의 원기(元氣)가 쇠약하기 때문이다. 식욕(食慾)이 없을 때 비위(脾胃)를 보(補)해 주는 약(藥)을 써 봐도 효과가 나타나지 .. 2025. 8. 24. 모든 병(病)은 기(氣)가 소통되지 않아 생긴다. - 九氣 사람의 생각이란 예나 지금이나 철학(哲學)이나 과학(科學)이나 결국은 같은 것이어서 알고 보면 비슷한 것을 이렇게도 표현하고 저렇게도 표현하는데 복잡성이 있는 것 같다. 옛날에 일기유체설(一氣留滯說)이라는 것이 있어 사람의 모든 병(病)이 생기는 것은 기(氣)가 소통되지 못하고 한 군데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며 기(氣)가 막히지 않게 하는 것이 건강(健康)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우리 속담에도 ‘기(氣)가 꺾인다.’는 말이 있다. 의기(意氣)가 줄어들면 혈액순환(血液循環)이나 소화기능(消化機能)이 소침하여 기능이 떨어지게 마련이며 기(氣)가 막히면 그야말로 기막힌 상태가 되어 만사가 손에 잡히지 않고 넋을 잃은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기(氣)가 막히는 것이 놀라운 일이나 나쁜 일에 의해서만 .. 2025. 8. 15. 중년 이후, 순리에 따르면 곱게 늙는다. - 弱陽諸物 중년 이후가 되면 시력(視力) 조절이 잘 안 되어 책 읽기가 힘들어지고 치아(齒牙)가 약해져서 어금니가 한두 개씩 떨어져 나가기 시작하면 자연히 건강(健康)이나 연령(年齡)에 대한 관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또 한 가지 결정적으로 남성들을 쓸쓸하게 위축시키는 것이 정력감퇴(精力減退)이다. 자기만이 유난히 약한 것이 아닌가 하는 열등의식처럼 사람을 쓸쓸하게 하는 것이 없다. 이럴 때일수록 순리대로 곱게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절대로 필요하다. 정력(精力)을 왕성하게 일으키는 정력제(精力劑)도 좋겠지만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정력(精力)을 약화시키는 일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陰痿 皆 耗散過度’ 음위(陰痿)는 모두 지나치게 몸과 마음을 소모시킨 데서 온다. 더욱이 요즘은 육체적.. 2025. 7.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