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수험생들의 불안(不安), 초조(焦燥), 우울증(憂鬱症)은 양파로 다스릴 수 있다.

by 예당한의원 2025. 1. 14.
반응형

서양의 한 젊은 수험생 남성이 목에 헤드폰을 끼고 교실의 책상에 앉아서 공부에 집중하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수험생

 수험생들의 심신불안증(心神不安症)을 일률적으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개인차가 심하니까, 호소하는 증상들도 그만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두통(頭痛), 두중(頭重), 두현(頭眩)의 증상들이다.

 

인체의 365혈 중에서 머리에 위치를 하고 있는 백회, 태양, 풍지 경혈의 위치를 설명하는 글을 그림과 함께 나타낸 그림
백회, 태양

 두통(頭痛)은 두통(頭痛)이되 쪽머리라고 불리는 편두통(偏頭痛)은 드물고, 백회(百會) 경혈과 양쪽 태양(太陽) 경혈을 잇는 삼각형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향이 크다.

 

 백회(百會) 경혈은 정수리 정중앙 부위이고,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 끝과 귀 사이의 오목한 부위로 좌우 두 곳에 있다.

 

 이것을 잇는 삼각형 부위니까 두통(頭痛)의 호소 범위는 주로 정수리로부터 이마, 눈 뿌리, 관자놀이 둘레가 된다.

 

 그러나 두통(頭痛)보다는 두중(頭重), 두현(頭眩)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

 

 두중(頭重)이란 머리가 맑지 못하고 무겁다는 뜻이다.

 

 머리에 무엇을 뒤집어 쓴 듯싶고, 안개 속에 갇혀 있는 듯싶다는 증상이다.

 

두현 증상으로 인하여 바로 앞에 보이는 쇼파나 사람이 선명하게 보이지를 않고 빙글빙글 도는 듯이 어지럽게 보이는 것을 나타내주는 사진
두현

 두현(頭眩)이란 뇌()가 출렁거리는 듯, 빙글빙글 도는 듯 어찔한 중상이다.

 

 주로 눈까지 아물거리거나 눈까지 어질거리는 증상을 수반한다.

 

 초조(焦燥), 우울(憂鬱), 의욕감퇴(意慾減退), 불안(不安) 등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불면(不眠), 취면(就眠), 다몽(多夢) 등의 증상도 생긴다.

 

 그러니까 잠을 잘 이루지 못하거나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꿈이 많다는 것이다.

 

 입이 쓰고 하품이 매우 잦다.

 

 심장(心臟)이 무엇에 놀란 듯 마구 뛰기도 한다.

 

 팔다리가 저리거나 뼈 마디마디가 뿌듯해지기도 하고, 온몸이 나른하여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힘들 때도 있다.

 

 무력감(無力感)이 대단하며, 심해지면 체중이 감소한다.

 

 이럴 때는 양파가 좋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양파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나무로 만든 네모난 도마를 두고 그 옆에 1개, 그 위에 1개를 두고, 도마 위에 한 쪽에는 양파를 까서 채를 썰어 놓은 것을 한움큼 놓아두고 찍은 사진
양파

 양파에는 유화아릴이라는 성분이 있어 심신을 안정시키고 비타민-B1을 체내에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데, 만일 비타민-B1이 부족하면 불안(不安)과 초조(焦燥)가 심해지고 숙면(熟眠)을 제대로 취할 수 없게 되며 특히 부산해진다.

 

 그러니까 진득하게 앉아서 공부하지 못하고 좀이 쑤셔서 못 견디는 것이다.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고 짜증이 심해진다.

 

 그러니까 양파를 자주 먹어서 비타민-B1을 한껏 활용할 수 있다면 이런 증상들은 쉽게 개선될 수 있다.

 

 양파는 날것이 더 좋다.

 

 수험생이라면 양파를 씻지 말고 썰어 사과, 토마토 등과 함께 녹즙기에 갈아 즙을 마시게 하면 더욱 좋다.

 

 이때 식초를 조금 떨어뜨리면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양파 마시기를 싫어하는 수험생이라면 검은콩으로 대신할 수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검은콩을 검은 바닥 위에 직물 깔판을 깔고 그 위에 동그란 나무 그릇과 나무 숟가락에 가득 담아두고, 주변에 검은콩을 여러 개 흩어놓고 찍은 사진
검은콩

 흑태(黑太)라고 불리는 검은콩은 체내 노폐물(老廢物)을 빨리 배출시켜 피로(疲勞)를 쉽게 풀어주고 영양공급에도 좋다.

 

 검은콩은 씻지 말고 프라이팬에 볶아 껍질을 벗기고, 120g 정도를 500의 물로 끓여 반으로 줄면 차()처럼 마신다.

 

 이때 우유로 마시면 더 좋다.

 

 우유 1컵에 200의 칼슘이 있으므로 하루에 2컵 정도면 충분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