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앙환(鴛鴦丸)이라는 처방은 사상자(蛇床子), 파고지(破古紙), 육종용(肉蓯蓉)을 같은 비율로 섞어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하여 청심환(淸心丸) 크기로 알을 빚어 술로 하루 한두 차례 복용하는 처방이다.
중국 한(漢)나라 때 성제(成帝)라는 황제가 밤마다 운우지정(雲雨之情)에 빠지다가 그 황홀감에 지쳐 복상사(腹上死)했다는 처방인 ‘신솔교’라는 처방을 더 강화하여 만든 것이 원앙환(鴛鴦丸)이다.
원앙(鴛鴦)처럼 금슬(琴瑟)이 좋아져 한시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루(早漏)에 좋고 정액(精液)의 양이 한두 방울에 불과하거나 정액(精液)이 멀건 상태를 다스려서 희열(喜悅)의 감격을 느끼게 해 주는 처방이다.
남성의 귀두(龜頭)가 차디차고 고환(睾丸) 밑이 축축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새큰하며, 손발이 냉(冷)하면서 추위를 잘 타는 증상까지 없어진다.
원앙환(鴛鴦丸) 처방 중의 사상자(蛇床子)는 강정(强精)작용이 대단한 약재이다.
동물실험에 의하면 정상 쥐의 경우에는 교미기(交尾期)를 연장시키며, 거세한 쥐에게는 교미기(交尾期)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호르몬의 양을 늘려주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실험적으로 사상자(蛇床子)의 효능은 남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고, 최음(催淫)작용을 하며, 자궁(子宮) 및 난소(卵巢)의 무게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국 최대 약물학(藥物學) 사전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사상자(蛇床子)는 비단 남성뿐 아니라 여성에게도 이익이 된다. 세상 사람들은 이 같은 효능이 있는 사상자(蛇床子)를 모르고 외국이나 먼 곳에서 보약(補藥)을 찾고 있다.’고 했으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남성의 음위(陰痿, 임포텐츠(Impotenz))에 좋고,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안색(顔色)이 좋아진다.’고 했다.
원앙환(鴛鴦丸) 처방 중 파고지(破古紙)는 대단한 강정제(强精劑)이다.
옛날 과거시험 보러 집을 떠난 선비가 이것을 상복한 끝에 객지에서 춘정(春情)을 이겨내지 못하고 혼자 자위(自慰)하다가 사정(射精)을 했는데, 그 사정(射精)의 힘이 얼마나 강했던지 펼쳐 놓았던 책장이 모두 찢어지고 파지(破紙)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약명도 ‘파고지(破古紙)’라고 했다.
일명 보골지(補骨脂)라고도 하며, 정액(精液)을 고정시키고 정액(精液)을 늘리며 소변(小便)이 잦은 것을 줄여서 개선한다고 했다.
예로부터 몸이 차고 추위를 잘 타며 손발이 냉(冷)하고 아랫배나 엉덩이가 냉(冷)하면서 새벽녘에 설사(泄瀉)를 잘 하거나 혹은 냉(冷)한 음식을 들기만 해도 걸핏 설사(泄瀉)하는 경우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경(陰莖)의 끝이 차디차고 야간 빈뇨(頻尿)가 심하며 임포텐츠(Impotenz)가 되었을 때도 효과가 큰 약이다.
'질병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도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있다. (6) | 2025.01.13 |
---|---|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이 약해지면 성욕(性慾)도 떨어진다. (4) | 2025.01.12 |
말벌벌집으로 만든 약이 복상사(腹上死)를 예방한다. (10) | 2025.01.06 |
정력(精力)을 절제 없이 소모해도 병(病)이 된다. (11) | 2025.01.05 |
스태미나를 위한 약용차(藥用茶)와 음식(飮食) (3)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