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참깨는 젊어지는 강장(强壯)식품이다.

by 예당한의원 2024. 12. 25.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참깨를 잘 세척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흰색 바닥 위에 하얀 숟가락 하나를 놓아두고 거기에 가득 담아두고 찍은 사진
참깨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에 이런 믿지 못할 옛 얘기가 실려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삽주뿌리, 즉 백출을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편으로 썰어서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백출(삽주뿌리)

 중국 노나라의 한 여인은 참깨를 날로 먹고 삽주뿌리를 먹으면서 곡기(穀氣)를 끊었는데도 80세의 힘이 젊은이 못지않게 원기(元氣)가 왕성하여 하루에 300리길을 거뜬하게 걸을 정도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참깨의 효능이 대단하다 하여 그 이름도 거승(巨勝)’이라고 했다.

 

야생에서 채취한 참깨를 껍질을 까서 하얀 알맹이만 남은 것을 바닥에 가득 놓아두고 그 위에 커다란 나무숟가락에 참깨를 가득 채운 것을 놓아두고 찍은 사진
참깨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참깨를 오래 먹으면 늙지 않고, 굶어도 배고프지 않으며 수명(壽命)이 연장되고, ()한 것을 돕고 근력(筋力)을 강하게 하면서 대소장(大小腸)을 윤활하게 하고, 모발(毛髮)을 잘 자라게 하며, 신진대사(新陳代謝)를 촉진한다고 했다.

 

 참깨를 효과적으로 먹으려면 오마환(烏麻丸)’이라는 처방이 제일 좋다.

 

 명나라의 원군이라는 재상이 티베트의 라마승으로부터 황금 10냥쭝을 주고 샀다는 처방이다.

 

 원군 재상의 88세 되는 해의 일기에는 약을 먹기 시작하여 3개월이 지난 뒤 몸에서 활력(活力)이 생기고, 반 년 뒤에는 흰머리가 검게 되고 주름살이 적어지고 힘이 생기며, 눈이 밝아지고 모든 병이 물러가므로 장수(長壽)할 수 있었다.’고 쓰여 있다.

 

 유명한 시인 소동파(蘇東坡)도 자기 시에서 이 약의 효력을 말한 바 있다는데, 만드는 법이 다소 까다롭다.

 

 우선 물에 씻은 참깨를 9번 찌고 9번 말린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적하수오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편으로 썰어 놓은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적하수오

 그리고 적하수오(赤何首烏) 1,200g을 검은콩 1되와 함께 찐 다음 검은콩을 제거하고 적하수오(赤何首烏)만 여덟 번 찌고 여덟 번 말린다.

 

 이제 준비된 참깨와 적하수오(赤何首烏)를 합쳐 가루를 낸다.

 

야생의 대추나무에서 채취를 한 빨간 대추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하얀 바닥 위에 여러 개 놓아두고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대추

 한편 대추(大棗) 2되를 쪄서 살만 발라 은근히 달여 고약(膏藥)처럼 만든다.

 

 이를 대추고(大棗膏)’라고 하는데, 대추고(大棗膏)로 약가루를 반죽해서 녹두알 크기로 알을 빚는다.

 

 이것을 30~50알씩 따끈한 물 또는 물과 술을 반씩 섞어 따끈하게 한 것으로 복용한다.

 

 이 처방이 번거롭다면 다음 같은 방법도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검은깨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하얀 바닥 위에 수북하게 놓아두고 찍은 사진
검은깨

 첫째, 참깨 1을 쪄서 말리기를 두세 번 거듭한 다음 가루 내어 꿀에 버무려 3g 정도의 알약을 만들어 133알씩 따끈한 물로 먹는다.

 

 이 약을 흑지마환(黑芝麻丸)’이라고 한다.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좋아지고 근육(筋肉)과 뼈가 강화되어 사지무력증(四肢無力症), 중풍후유증(中風後遺症)에 의한 반신불수(半身不隨), 혹은 걸핏하면 손발이 저릴 때 좋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하수오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검은 바닥 위에 동그란 나무 깔판을 두고 그 위와 옆에 여러 개를 놓아두고 찍은 사진
하수오

 둘째, 참깨, 하수오(何首烏), 구기자(枸杞子)를 같은 양으로 섞어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10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11~2일씩 12~3회 공복에 따끈한 물로 복용한다.

 

 이 약은 지마수오기자환(芝麻首烏杞子丸)’이라고 한다.

 

 새치나 탈모(脫毛) 등에도 좋다.

 

대나무로 만든 동그란 바구니에 벼와 쌀을 더불어 놓아두고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셋째, 참깨와 쌀로 죽을 쑤어 먹는다.

 

 참깨와 쌀 각 한 홉을 잘 씻어 물에 담갔다가 건져서 말린 후 볶는다.

 

 이것을 가루 내어 물 5홉을 붓고 죽을 쑨다.

 

 설탕을 40g 정도를 섞어 먹으면 맛이 더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