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소변(小便)이 너무 말간 경우에는

by 예당한의원 2024. 6. 13.
반응형

소변의 색깔을 투명한 색부터 점점 짙어지면 갈색에 가까운 소변까지 8가지로 구분하여 양변기와 함께 그린 그림
소변 색

 소변(小便)이 너무 말갛다 못해 맹물 같을 때가 있는데, 이것은 신양허증(腎陽虛證)일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신양허증(腎陽虛證)이란 신장(腎臟)에 간직된 열에너지원이 부족된 병증으로 온몸이 차고, 찬기가 매우 싫어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기운이 없고 숨이 차며, 내쉬는 숨보다 들이쉬는 숨이 적을 뿐만 아니라, 목소리가 기어들어 가듯 약하고, 움직이면 숨찬 증상이 더 심해지면서 땀까지 흐른다.

 

 이러한 증상이 오래 되면 몸이 마르게 된다.

 

 또한 소변(小便)이 잦고 배뇨(排尿) 후에도 깨끗하게 끝나지 않은 듯 뒤끝이 무지근하며 소변(小便)의 양이 적어서 항상 찔끔찔끔 거리는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

 

밤에 소변을 자꾸 보고 싶은 야뇨증 때문에 젊은 남녀가 아랫배에 양쪽 손을 대고 참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빈뇨

 심하면 소변(小便)을 참지 못해 지리거나 기침할 때 소변(小便)이 나오기도 하고 하룻밤에도 몇 차례씩 소변(小便)을 보는 야간빈뇨증(夜間頻尿症)으로 잠을 설치게 된다.

 

 또한 제법 나이가 들어가는데도 불구하고 어린 아이마냥 야뇨(夜尿) 현상을 보이거나 잘 붓기까지 한다.

 

 그래서 아침에 일어나면 얼굴과 손이 부석부석하고 불편한 대로 오전 나절 움직이다 보면 어느새 부기(浮氣)가 쭉 빠지기도 한다.

 

 때로는 부기(浮氣)가 하루 종일 가기도 하는데, 허리 아래가 더 심하게 부으며, 부은 자리를 누르면 손가락이 쑥 들어갈 정도로 함몰한다.

 

 머리도 맑지 못하고 멍하며, 마치 머리가 붕 뜨는 것처럼 부풀어 오른다.

 

 또한 청력(聽力)이 떨어지거나 이명(耳鳴)이 있으며,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면서 새큰거린다.

 

 게다가 성능력(性能力)도 떨어지고 여성이라면 묽고 냉()한 대하(帶下)가 많이 나온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삼합개산(人蔘蛤蚧散)을 쓴다.

 

 인삼합개산(人蔘蛤蚧散)은 인삼(人蔘) 9g, 합개(蛤蚧) 한 쌍을 가루낸 것으로 12~3, 11~1.5g씩 복용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뿔도마뱀의 배를 갈라서 내장을 뺀 후에 넓게 펴서 바싹 말린 합개 사진
합개

 합개(蛤蚧)는 뿔도마뱀의 배를 갈라 내장을 없애고 물에 씻어 넓적하게 펴서 말린 것을 말하며, 보통 암수 두 마리를 묶어 한 쌍으로 건재약국에서 판매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