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방광염(膀胱炎)을 앓을 때는

by 예당한의원 2024. 6. 11.
반응형

인체의 오장육부 중에서 방광의 형태와 내부를 그림으로 그린 이미지 사진
방광

 남성의 요도(尿道) 길이는 7~8인데 비해, 여성의 요도(尿道) 길이는 평균 4~5에 불과하다.

 

 그래서 여성이 남성보다 방광염(膀胱炎)에 더 잘 걸린다.

 

 특히 밀월성(蜜月性) 방광염(膀胱炎)’이라고 해서 성접촉(性接觸) 후 신혼의 신부에게 방광염(膀胱炎)이 많은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처럼 방광염(膀胱炎)은 대개 요도(尿道)로부터의 역행성 감염에서 비롯된다.

 

 또는 소변(小便)을 많이 참아 세균(細菌)이 방광(膀胱) 내에 머무름으로 인해 생기기도 하며, 영양(營養)이 부족하거나 수면(睡眠)이 부족할 때도 저항력(抵抗力)이 약해져서 생긴다.

 

한 여성이 방광염으로 인한 소변을 자주 보는 소변빈삭증 때문에 소변을 참으면 화장실에 서 있는 사진
소변빈삭

 일단 방광염(膀胱炎)에 걸리면 소변(小便)을 자주 보며 참지 못하고 잔뇨감(殘尿感)과 배뇨통(排尿痛)이 있다.

 

 심한 경우에는 소변(小便)이 탁하고 피까지 섞여 나오기도 한다.

 

 이럴 경우 자극성 있는 음식과 단 음식을 금하고 물과 보리차를 충분히 먹는 것이 좋다.

 

 또 하복부(下腹部)를 따뜻하게 하고 꽉 조이는 옷을 입지 않도록 한다.

 

 방광염(膀胱炎)은 재발이 많으므로 안정과 휴식을 취해야 하며, 청결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며, 원인은 정확히 알고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방광염(膀胱炎)으로 소변(小便)이 잘 나오지 않고 소변(小便)의 색이 흐릴 때나 방광염(膀胱炎)에 의한 통증(痛症)과 혈뇨(血尿)가 있을 때에는 이렇게 해보자.

 

야생에서 채취를 한 팥을 잘 세척한 후에 대리석 바닥 위에 패브릭 깔판을 깔고 그 위에 동그란 나무 그릇에 수북하게 쌓아 두고, 그 옆에도 나무 숟가락과 함께 수북하게 놓아 두고 찍은 사진

 먼저 팥 40g을 잘 불리고 파 한 뿌리를 잘 볶은 뒤 함께 끓인다.

 

 그런 다음 청주 한 컵을 붓고 한소끔 끓여 걸러낸 후 그 즙을 따끈할 때 마신다.

 

야생에서 자라고 있는 연의 뿌리인 연근을 잘 세척한 후에 노란 바닥 위에 놓아두고 그 중에 한뿌리는 수직으로 잘라서 속에 구멍이 보이게 놓고 찍은 사진
연근

 방광염(膀胱炎)에 의한 배뇨통(排尿痛)에는 소염(消炎), 진통(鎭痛), 지혈(止血) 작용이 있는 연근 즙을 마시도록 한다.

 

 먹는 방법은 연뿌리 생것 200g을 잘 씻고 껍질을 벗겨서 강판에 간 다음 생즙을 내어 소주잔으로 한 잔씩 하루 3~4번 공복에 마신다.

 

인체에 흐르는 경락 중에 배꼽 양쪽 옆으로 3~4c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천추'혈의 위치를 나타내주는 이미지 사진
천추혈

 소변(小便)을 봐도 시원찮고 방광(膀胱)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나 방광점막(膀胱粘膜) 염증(炎症)으로 열감(熱感)이 있을 때는 파의 잔뿌리까지 짓찧어 거즈에 싸서 천추(天樞)’경혈(배꼽 좌우 4부위에 있는 경혈)에 붙이고 온찜질을 한다.

 

인체의 경혈 중에서 손의 합곡혈과 발의 태충혈의 위치를 정확한 설명과 표시를 해주는 이미지 사진
사관혈

 또는 빨간 고추를 끓인 물에 양발을 담그고 고춧물 속에서 사관(四關)’경혈(엄지와 둘째손가락 사이의 합곡(合谷) 경혈과 엄지와 둘째발가락 사이의 태충(太衝) 경혈, 네 개의 경혈 총칭)을 지압한다.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방광염(膀胱炎)에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이 있다고 했다.

 

 실증(實證)은 방광(膀胱) 부위가 터질 듯 아프고, 소변(小便)을 볼 때 통증(痛症)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

 

 허증(虛證)은 방광(膀胱) 부위를 누르면 오히려 시원한 느낌이 들며, 소변(小便)이 자주 마렵고 보아도 또 보고 싶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실증(實證)에는 쇠비름나물을 20g씩 물 500로 끓여 차()처럼 마시고, 허증(虛證)에는 참마 생것을 갈아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해서 먹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