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은 먹은 음식물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육식(肉食)을 하면 흑갈색, 식물성 음식을 먹으면 노란색이나 연녹색, 섭취한 음식물에 철분이 많으면 흑녹색을 띤다.
만일 까만 타르 같은 변(便)이면 궤양(潰瘍)을, 선홍색 피가 묻어 있으면 항문질환(肛門疾患)이나 암(癌)을, 흰 연변(軟便)을 보면 간(肝)이나 담낭질환(膽囊疾患) 또는 장(腸)의 흡수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위벽(胃壁) 긴장 때나 위장(胃腸) 연동(蠕動)운동이 약할 때, 산후(産後)나 땀을 많이 흘린 후, 구토(嘔吐)나 설사(泄瀉) 후, 노인(老人)이나 허약(虛弱)할 때, 피가 부족할 때 등은 변(便)이 단단해져 변비(便祕)가 된다.
그리고 너무 굶거나 너무 배부를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을 많이 먹거나 과로(過勞)했을 때, 변(便)이 장(腸)에 오래 머무를 때 등에도 변비(便祕)가 되거나 변(便)이 토끼똥처럼 동글동글해진다.
낮에 변(便)을 보기가 힘들면 기병(氣病), 밤에 변(便)을 보기가 힘들면 혈병(血病)이다.
변비(便祕)에도 허실(虛實)이 있으며, 암(癌), 장협착(腸狹窄), 항문질환(肛門疾患), 중풍(中風)일 경우에도 올 수 있다.
설사(泄瀉)는 냉기(冷氣), 열기(熱氣), 습기(濕氣) 등에 의해 오며, 열증(熱症)은 실증(實症), 냉증(冷症)은 허증(虛症)에 속한다.
과식(過食)에 의한 설사(泄瀉)는 배에서 소리가 나며, 복통(腹痛)이 심하고 신트림이 난다.
피곤(疲困)하고 식욕(食慾)이 부진하면 안색이 누렇게 뜨고 소화(消化) 안 된 설사(泄瀉)를 한다.
또 소장(小腸)이 약하면 소변(小便)이 잘 나오지 않고 피고름 섞인 설사(泄瀉)를 한다.
비장(脾臟)이 약하면 복부(腹部)가 부풀어 오르면서 구토(嘔吐)와 설사(泄瀉)를 한다.
대장(大腸)이 약하면 식사 후 곧 복부(腹部)가 당기며 아프고 꾸르륵대면서 설사(泄瀉)하는데, 설사(泄瀉) 후 뒤가 묵직한데도 변(便)이 나오지 않고 때로 음경(陰莖)에 통증이 온다.
설사(泄瀉)는 위산(胃酸)의 산도가 낮아졌거나 암(癌), 장유착(腸癒着), 급성간염(急性肝炎), 식중독(食中毒), 식품 알레르기에 의해서도 오므로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병(火病)은 왜 생길까? (31) | 2024.06.18 |
---|---|
꿈으로 건강을 체크해 보자. (62) | 2024.05.04 |
소변(小便)을 보고 병을 알아보기 (55) | 2024.05.02 |
비장(脾臟)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59) | 2024.05.01 |
위장(胃腸)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51)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