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루증4

몸이 냉(冷)한 사람들이 먹는 약닭 닭 1마리, 인삼(人蔘) 40g, 당귀(當歸) 천궁(川芎) 12g, 의이인(薏苡仁) 8g, 부자포(附子炮) 4g을 물에 달여 5되 가량 만들어 차게 보관해 두었다가 3일간 수시로 복용한다.  몸이 냉(冷)한 사람들이 먹는 약닭이 있다.  특히 여성 중에 하복부(下腹部)가 얼음처럼 차면서 응결되고 복통(腹痛)과 함께 허리까지 무지근한 대하증(帶下症)에 더없이 좋으며, 추위를 잘 타고 무릎에서 찬바람이 나온다는 남성으로 조루증(早漏症), 몽정(夢精), 발기부전(勃起不全) 등이 있을 때 좋다.  인삼(人蔘)은 기력(氣力)을 돋우는 보기제(補氣劑)의 으뜸이고, 당귀(當歸)는 천궁(川芎)과 함께 혈액(血液)을 보충하고, 혈액(血液)의 흐름을 원활케 하는 보혈제(補血劑)의 으뜸이고, 의이인(薏苡仁)은 일명 율무로 .. 2025. 3. 26.
육종용(肉蓯蓉)이라는 정력제(精力劑)는? 육종용(肉蓯蓉)은 양귀비(楊貴妃), 그리고 중국의 많은 궁녀들이 은밀히 애용했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약재로 일명 ‘사막의 인삼(人蔘)’으로 불리고 있다.  주로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陰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의 하나이다.  이것을 정력증강(精力增强)의 요약(要藥)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그의 생김새가 남성의 그것과 너무 흡사할 뿐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마저 남성의 그것과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고양이 이것을 즐기기 때문에 이 약물 속에 성(性) 유인물질(誘引物質)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까닭이었을 것이다.  사실 육종용(肉蓯蓉)은 교감신경(交感神經)을 강하게 하고 고환(睾丸)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땅 속의 정기(精氣)를 듬뿍 흡수한 금덩어리같.. 2025. 1. 8.
남성의 은밀한 고민 남성에게는 모름지기 지켜야 할 여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앙(昻)’이니 발기력(勃起力)이 좋아야 하고, 둘째는 ‘온(溫)’이니 음부(陰部)가 뜨거워야 하고, 셋째는 ‘대(大)’니 귀두(龜頭)가 커야 하며, 넷째는 ‘장(長)’이니 길어야 하고, 다섯째는 ‘건(建)’이니 단단해야 하고, 여섯째는 ‘지(遲)’니 느지막하게 사정(射精)할 정도로 조정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여섯 가지 의무를 다 지키지 못하고 고민하는 남성들이 있다.  그것도 일곱 가지나 된다.  이것을 ‘칠상(七傷)’ 병증이라고 한다.  첫째는 ‘음한(陰寒)’이니 음부(陰部)가 냉(冷)하고 습(濕)한 것이요, 둘째는 ‘음위(陰痿)’니 발기부전(勃起不全)을 말함이요, 설령 발기(勃起)가 이루어졌다 해도 끈기가 없어 곧 수.. 2025. 1. 1.
동충하초(冬蟲夏草)를 이용한 음식보약 “만성피로(慢性疲勞)에 좋다.” 동충하초(冬蟲夏草)는 겨울에는 벌레였다가 그 안으로 균(菌)이 들어가 벌레의 영양분을 빨아 먹고 나서 벌레는 죽고 그 벌레가 썩지 않고 미이라가 되어 그 영양분으로 여름철 보기에 예쁜 풀처럼 자란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중국에서만 나왔는데 요즘은 우리나라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재배되기 전에는 굉장히 구하기도 힘들고 값이 비싼 약재였다. 중국에서는 사천 지방이 특산물로 등소평도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동충하초(冬蟲夏草)를 즐겨 먹었다고 한다.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때 중국 육상 선수들이 금메달을 휩쓴 이유도 동충하초(冬蟲夏草)를 끓여서 만든 음료수를 먹었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동충하초(冬蟲夏草)는 피로회복(疲勞回復)에도 좋지만 폐(肺)기능을 강화시키고 면역력(免疫力.. 2024. 2. 19.
반응형